(출처-조선일보 2016.06.18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
폴 어빙 '글로벌 고령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2050년까지 가장 빠르게 늙어갈 나라는 일본, 한국, 홍콩 등이다.
미국 통계국은 2050년 일본, 한국, 홍콩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을 40.1%(1위), 35.9%(2위),
35.3%(3위)로 각각 예측했다. 세 명에 한 명 이상이 노인이라는 이야기다.
대부분의 경제전문가는 이로 인해 경제 활력이 떨어지고 저성장이 고착화될 것을 우려한다.
여기에 '다른 시각'을 제시하는 책이 나왔다.
미국 밀켄 경제연구소가 발간한 '글로벌 고령화 위기인가 기회인가(아날로그)'이다.
고령화가 피할 수 없는 숙명이라면 이제 노인들을 어떻게 구할지는 그만 이야기하고
노인들이 이 세상을 어떻게 구할 것인지 이야기하자는 게 이 책의 주장이다.
어떤 이들은 70세가 넘은 정치지도자에 대해 나이가 많다고 비판하지만 다른 사례도 많다.
워런 버핏은 87세의 나이에도 전설적 투자자로 명성이 자자하고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 역시 70대에
국가 분쟁에서 탁월한 중재 역량을 보였다.
글로벌 고령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폴 어빙/ 아날로그(글담)
2016.05.01/ 392/ 원제 The Upside of Aging
도서관정보 - 331.3-ㅇ294ㄱ / [양천]책누리실(2층)
젊은 사람은 빨리 배우지만 나이 든 사람은 축적된 지식의 양 자체가 많고 풍부한 경험이란
강력한 무기가 있다. 작년에 개봉한 영화 '인턴'에서 70세의 로버트 드니로가 30세의 CEO를 도와
회사를 잘 이끈 것도 바로 경험 때문이다. 노인들이 세상을 구할 수 있다는 근거는 또 있다.
경제의 영역에서다. 이들은 금융시장과 산업의 지형도를 바꿀 수 있다.
'50+(플러스) 세대'는 능력도 있고 일할 의지도 있는데 일이 없는 50~64세 사람들을 가리킨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조사에 따르면 이들이 미국 양도성 예금증서의 85%,
채권과 주식의 79% 등 모든 금융자산의 72%를 소유하고 있다.
이쯤 되면 미국 금융시장은 '50+'세대가 좌지우지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의 49%, 고급차량의 48%, 호화 여행상품의 60% 그리고 각종 주류의 51%를
이들이 구입한다. 또한 손주들의 옷 역시 엄마 아빠보다 50+ 세대가 더 많은 돈을 쓴다.
이 책의 원제는 '고령화의 괜찮은 면'이다.
우리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가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고령화의 괜찮은 면을 개척하는 것도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일이다.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 | ||
|
'時事論壇 > 經濟(內,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북을 열며] 브렉시트에도 한국 금융회사가 차분한 이유 (0) | 2016.06.28 |
---|---|
中주도 AIIB 회원 수, 美·日주도 ADB 추월 '시간문제' (0) | 2016.06.27 |
[사설] 史上 최저 금리 부작용 무서울 수 있다 (0) | 2016.06.14 |
<금리 전격인하> '1천220조원' 가계부채는 어쩌나..증가세 가속될듯(종합) (0) | 2016.06.10 |
IMF "한국, 생산성 낮고 노동시장 왜곡..잠재성장률 둔화"(종합) (0) | 2016.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