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科學과 未來,環境

‘국가 석학’도 중국으로 떠난다… “정년 되니 연구할 곳 없어”

바람아님 2024. 6. 22. 06:31

조선일보  2024. 6. 22. 05:14

최고과학인상 받은 물리학자 이기명 올해로 정년 맞아
“남아 있고 싶어도 연구할 곳이 없어”
파격 대우 제시한 중국 연구소 가기로

2006년 ‘국가 석학’으로 선정된 고등과학원의 이기명(65) 부원장이 올해 8월 중국의 베이징 수리과학및응용연구소(BIMSA)로 간다. 이 부원장은 우주의 기원을 연구하는 ‘초끈이론’ 전문가로 국내 이론물리학의 대표 학자로 꼽힌다. 해당 분야 난제를 해결해 국내 학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받기도 했다.

이 부원장이 고등과학원을 그만두는 표면적 이유는 정년 때문. 하지만 지난해에도 과학기술 논문 색인(SCI)급을 포함해 5건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연구 활동은 여전히 현역이다. 그가 한국을 떠나 중국으로 가는 데 또다른 이유가 있다. 이 부원장은 본지에 “한국에 남아 후학들과 같이 연구하고 싶어도, 연구할 곳이 마땅찮다”며 “중국이 많은 지원을 약속하니 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고등과학원의 박사후 연구원 한 명도 BIMSA로 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과학계는 이 부원장의 중국행을 단지 과학자 한 명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기초과학에 무심한 한국, 인재를 나이·국적 제한 없이 유치하는 중국의 대비되는 모습을 우려하는 것이다.

한국 정부도 우수 인재 영입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도하고 있지만 과학기술 인재의 유출은 계속되고 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에 따르면 한국의 두뇌 유출 지수는 2020년 5.46점에서 2023년 4.66점으로 악화됐다. 순위는 64국 중 36위에 그쳤다. 이 지표는 10점 만점으로 0점에 가까울수록 두뇌 유출이 국가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기초과학 분야에서 인재 유출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별도의 통계조차 집계되지 않는 상황이다.


https://v.daum.net/v/20240622051411614
‘국가 석학’도 중국으로 떠난다… “정년 되니 연구할 곳 없어”

 

‘국가 석학’도 중국으로 떠난다… “정년 되니 연구할 곳 없어”

2006년 ‘국가 석학’으로 선정된 고등과학원의 이기명(65) 부원장이 올해 8월 중국의 베이징 수리과학및응용연구소(BIMSA)로 간다. 이 부원장은 우주의 기원을 연구하는 ‘초끈이론’ 전문가로 국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