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2019.02.22. 23:10
최근 한 방송국에서 영화 ‘쉰들러 리스트’를 방영했다. 25년이나 된 영화였으나 다시 봐도 좋은 영화였다. 마지막에 흘러나오는 테마곡의 여운은 자막이 올라가도록 화면을 끄지 못하게 만들었다. 겨울날의 햇살처럼 오래오래 즐기고 싶은 그 바이올린을 켠 이는 이차크 펄만이었다. 누군가가 그런 이야기를 한다. 펄만은 바이올린을 켜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바이올린으로 기도를 드리고 있는 거라고. 와인처럼, 사랑처럼 취하게 하는 그의 바이올린의 힘은 어디서 왔을까,
펄만과 부인 토비는 음악을 하는 다음 세대를 위해 스쿨을 연다. 그들이 세상으로부터 받은 사랑을 다시 세상으로 돌려주는 봉사처럼 느껴지는데, 그들의 생각은 다르다. 가르치면서 배우는 것이란다. 소통의 힘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다. 누군가가, 음악 하는 사람이면 한번쯤 경험하고 싶은 ‘펄만 음악 프로그램’에 대해 묻자 펄만은 이렇게 말한다. “음악은 그저 핑계고, 삶에 관한 거”라고. 그들에게 음악은 직업을 떠나 삶이고, 철학이고, 아름다움이다. 펄만이 학생들에게 묻는다.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하지요. 누군가가 음정이 악한 틀렸습니다. 직접 틀렸다고 말하는 것은 도움이 안 되는데, 그럼 어떻게 알려주면 좋을까요.” 어떻게 하면 거만하지 않게, 틀린 사람이 상처받지 않게 알려줄 수 있을까, 그런 물음을 품을 줄 아는 자는 정말 좋은 스승이 아닌가. 그 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최고의 인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토비의 말이 재미있다. 모두들 최고의 학생을 어떻게 가르치는지 궁금해하는데 그런 것은 없다고. 아이들은 모두 다른 속도로 성장하기 때문이란다.
음악 인생이 그들에게 인도하는 길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 거기 나도 좋아하는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협연하는 장면이 나온다. 펄만이 말한다. 음악으로 대화를 나누는 관계라고. 아르헤리치의 바흐를 들었을 때 그 소리에 맞춰 소나타를 연주하고 싶었다고. 음악이 말을 걸면 응답한다는 펄만, 음악으로 우리를 꿈꾸게 하는 펄만이 ‘나’의 꿈을 돌보게 만든다. 어찌 음악만 우리를 꿈꾸게 하겠는가. 열정을 바칠 수 있는 어떤 것이 우리를 꿈꾸게 하는 것일 것이다. 당신은 꿈꾸게 하는 어떤 것을 가졌는지.
꿈은 어디에서 올까. 꿈도 눈치가 빤해서 잘 먹고 잘 사는 일이 생의 목표가 된 사람에게는 찾아가지 않는다. 먹고사는 일 너머 혹은 이전에서 뭔가를 좋아하는 사람을 찾아가 그 사람에게 말을 건다. 마치 호기심 많은 친구처럼 그를 건드려 그 안에 있는 고유한 그를 깨우는 것이다. 이 세상 속에서 자기만의 세상을 만든 사람들, 우리는 그들을 통해 생존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주항 수원대 교수·철학
'人文,社會科學 > 人文,社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지문의 뉴스로 책읽기] [139] 虛無를 선사하는 정부 (0) | 2019.02.26 |
---|---|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꽃에서 느끼는 행복이 '소확행 5위'라네요 (0) | 2019.02.24 |
[남정욱의 영화 & 역사] 간교해진 술탄… 천년 '비잔틴' 제국 무너뜨리다 (0) | 2019.02.21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76〉해월의 하늘 (0) | 2019.02.21 |
[서지문의 뉴스로 책읽기] [138] 칼 찬 순사보다 무서운 것 (0) | 2019.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