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전화국에서 근무중인 전화교환원
1970년대와 그 이전에는 수동식 전화기가 주로 쓰였다. 수동식에는 자석식과 공전식이 있다. 모두 교환원이 필요하다. 자석식은 전화기에 붙은 핸들을 돌리면 교환원이 나오고 전화번호를 말하면 교환원이 연결해 준다. 공전식은 전화기를 들기만 하면 교환원이
나온다. 교환원은 '교환수'라고 불리기도 했다. 교환원은 가입자가 번호를 말하면 받는 사람의 전화로 연결해 준다.
사진은 1967년 3월 전화국에서 근무하던 교환원들의 모습이다. 이런 수동식 전화 연결은 전화 가입자가 적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1960년에 전화 가입자는 8만 6600여명에 불과했다. 서울에서는 겨우 몇 만명에 지나지 않았다. 자동전화도 부분적으로
개통됐는데, 1960년 2월 24일 서울 영등포 전화국에서 자동전화가 개통될 때에는 이승만 대통령도 참석했다. 당시 이 전화국에
총 42명의 전화교환원이 근무했다고 한다.
전화는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보급이 따라주지 못했다. 한 동네에 전화가 한 대밖에 없는 곳도 있어서 동네 사람들이 같이 썼다.
197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전화 신청이 밀려 백색전화 한 대 값이 250만원대까지 치솟기도 했다. 집 한 채 값을 웃도는 금액이었다.
백색전화는 투기의 대상이었다. 백색전화는 소유할 수 있어서 사고 팔 수 있는 전화를 말한다.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아 양도할 수
없는 전화는 청색전화라 불렀다. 백색과 청색은 전화기 색깔이 아니라 가입 대장 명부의 색깔이었다.
'生活文化 > 그때그일그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간 피터' 연극인 추송웅 (0) | 2013.07.29 |
---|---|
소녀상 점검하는 김씨 부부 (0) | 2013.07.28 |
1967년 서강대 강의실 교육용으로 등장한 TV (0) | 2013.07.26 |
1964년 홍수로 물에 잠긴 동부이촌동 판잣집 (0) | 2013.07.25 |
1964년 국산자동차 ‘신성호’ 전시회 (0) | 201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