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상] 용산 미 8군 기지 이전 (조선일보 2017.07.12 이하원 논설위원)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을 태운 헬기가 서울 상공으로 솟구쳤다. 2003년 노무현 정부가 용산 미군 기지 이전을 요구하고 있을 때였다. 헬기 창문을 통해 용산 일대를 내려다보던 그가 참모에게 한마디 했다. "렛츠 겟 아웃." 용산기지에서 미군이 떠나자는 뜻이었다. 그는 나중에 "만약 뉴욕 센트럴파크에 외국 군대가 주둔하고 있다면 미국인들은 어떻게 생각하겠느냐"고도 했다. ▶용산 미군 기지 이전은 사실 부시 미 정부가 더 원한 것이었다. 9·11 테러로 안보 환경이 급변하자 미국은 해외 미군 재배치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휴전선에서 인계철선(引繼鐵線) 역할을 하던 2사단과 용산기지를 통합해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이때 대선에서 반미(反美) 정서를 활용했던 노무현 대통령이 미군 기지 이전 문제를 꺼내 든 것이다. 미국은 못 이기는 척 이전에 동의했다. 9조원에 달하는 이전 비용을 한국이 부담하는 조건은 미국엔 더할 나위 없이 반가운 것이었다. ▶6·25 참전을 계기로 미군이 자리 잡기 전 용산에는 일제의 군 사령부가 있었다. 1904년 무렵 러·일 전쟁 이후부터였다. 1930년대 일제가 펴낸 관광지도를 보면 현재의 용산고 근처에 보병 78·79연대와 포병대, 경리단길에 사격장이 있었다. 지금의 동부이촌동에는 기병대, 서빙고동에는 공병대가 있었다. ▶용산에 주둔한 미 8군은 1944년 창설돼 2차대전 때 일본과 싸운 부대였다. 미 8군 관계자의 초청으로 기지 내 드래곤 호텔에서 스테이크를 먹는 것은 소수의 계층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었다. 자동차에 부착된 용산기지 출입증은 한때 신분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쓰였다. 패티킴 신중현 윤복희 등 대중음악 스타들이 용산기지의 무대에서 이름을 알렸다. 철없는 미군 병사들의 일탈 행위가 사회문제가 된 적도 있었다. 이런 미 8군이 어제 64년간의 용산 시대를 마감하고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 새 청사에 입주했다. ▶얼마 전 둘러본 캠프 험프리스는 미국의 웬만한 소도시보다 훨씬 커 보였다. 미군과 미군 가족 4만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주한 미군 사령관과 미 8군 사령관이 자신의 사무실에서 활주로를 내려다보며 근무할 수 있게 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주한 미군은 그동안 북한의 위협을 잠재우며 대한민국 발전의 울타리 역할을 했다. 한·미 동맹은 이제 상호 호혜적인 관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런 역사적 사실을 잘 모르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올해 중 방한한다. 그가 캠프 험프리스에서 한·미 동맹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느껴보기 바란다. |
굿바이 용산… 주한미군, 64년만에 '평택 시대' (조선일보 2017.07.12 평택=유용원 군사전문기자) 새 청사 개관식 열고 공식 입주… 미군 해외기지 중 최대 규모 한 미군의 주축이자 상징인 미 8군사령부가 64년 만에 주둔지를 서울 용산에서 경기 평택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는 작업을 마무리하고 11일 새 청사 개관식과 함께 공식 입주했다. 토머스 밴달 미 8군사령관(육군중장)은 이날 개관식에서 "총 107억달러가 투입된 이 건설 프로젝트(평택 기지 건설 사업)는 험프리스 기지의 규모를 확장해 미 국방부 해외 육군 기지들 중 최대 규모의 기지로 거듭나게 했다"며 "미 국방부의 해외 시설들 중 단연 최고"라고 말했다. 주한 미 2사단을 지휘하는 8군사령부가 평택 기지로 이전함에 따라 주한 미군의 심장부가 한강 이남 시대를 맞게 됐다. 용산에 남은 일부 부대도 한미연합사령부를 제외하고 올해 말까지 이곳으로 이전한다. 한강 이북의 미 2사단은 내년 말까지 이전한다. 워커 장군 동상 제막식 - 토머스 밴달 미8군 사령관과 관계자들이 11일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서 열린 미8군 사령부 신청사 개관식에서 ‘워커 장군 동상 제막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미 8군 사령부는 64년간의 ‘용산 시대’를 마감하고 평택에 공식 입주했다. /김지호 기자 평택 기지는 인근에 오산 공군기지와 평택항, 철도 시설 등을 갖춰 유사시 미 증원(增援) 전력의 전개가 쉽다. 이날 개관식에는 한국 측에선 백선엽 미8군 명예사령관, 임호영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서주석 국방부 차관, 이상철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 등이 참석했다. |
버스로 도는 데 40분… 평택 美기지는 여의도 5배 '자족 도시' (조선일보 2017.07.12 평택=이용수 기자) [美 8군 사령부, 평택으로 이전… 캠프 험프리스 돌아보니] - 웬만한 건 다 있는 동북아 거점 면적 1467만㎡, 4만2000명 수용 초중고·병원 등 편의시설 완비, 병력·물자수송 철도 기지도 갖춰 - 대구·부산 軍需, 평택 작전 허브 주한미군 173개 시설, 2곳에 통합… 미 2사단 등 내년까지 이전 완료 한미연합사는 당분간 용산 잔류 주한 미군은 11일 8군 사령부 신청사 입주식이 열린 경기도 평택의 주한 미군 기지 캠프 험프리스를 취재진에게 공개했다. 취재진이 버스로 기지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40분(제한속도 시속 40㎞)이 걸렸다. 기지 순환도로 둘레만 18.5㎞에 전체 면적은 1467만7000㎡(444만여 평)다. 여의도 면적의 5.5배다. 안내하는 장교는 "미군이 운용하는 해외 기지 가운데 최대 규모"라고 했다. ◇미군의 동북아 거점 기지 역할 차량에 탑승한 취재진을 가장 먼저 맞은 것은 2㎞ 길이 활주로를 따라 끝없이 도열해 있는 치누크 헬리콥터들이었다. 치누크 행렬이 끝나자 블랙호크 헬리콥터, 아파치 헬리콥터 행렬이 이어졌다. 버스가 활주로를 벗어나 북서쪽으로 5분 정도를 달리자 차창 왼편으로 장갑차, 수송 트럭 등 각종 차량들이 가득한 차량 정비 시설들이 한동안 이어졌다. 국방부 주한 미군 기지 이전 사업단 관계자는 "시설 1개당 크기는 3만2000㎡로, 총 89개가 있다"고 했다. 주한미군의 아파치 헬리콥터(왼쪽)와 치누크 헬리콥터가 11일 경기도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 활주로에 서있다. /김지호 기자 이곳에 새로 건설되는 건물은 총 513개동으로 주한 미군 1만3000명을 비롯해 그 가족과 군무원 등 총 4만2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웬만한 작은 도시 수준이다. 군인보다 상주 민간인이 더 많기 때문에 군사시설 외에 초·중·고등학교와 병원, 동물병원, 극장, 수영장, 교회 등 다양한 복지·편의시설이 들어섰다. 캠프 험프리스는 단순히 규모뿐 아니라 미군의 동북아 거점 기지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도 주목받는다. 인근 오산 미 공군 기지와 평택 2함대를 아우르는 육·해·공 통합 기지로, 유사시 미 신속 대응군이 출동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기지 내에 철도 차량 기지가 있어 유사시 부산 등으로 도착하는 대규모 증원 병력과 물자·장비를 신속하게 집결시킬 수 있다. 전쟁 발발 시 한국 내 미국인을 한반도 밖으로 대피시키는 '비전투원 소개 작전(NEO)'을 펴기에도 훨씬 유리해졌다는 평가다. 평택항, 평택역, 오산 기지 등은 유사시 주일 미군 기지 등에서 급파되는 미 증원 전력을 신속하게 전개하는 '입구'인 동시에 비전투원을 소개(疏開)하는 '출구' 역할도 하기 때문이다. 토머스 밴달 미 8군 사령관은 이날 캠프 험프리스 신청사 입주식에서 "이 프로젝트(기지 이전 사업)는 캠프 험프리스의 규모를 확장해 미 국방부 해외 육군 기지 중 최대 규모 기지로 거듭나게 했다"고 말했다. ◇한미연합사는 용산에 잔류 주한 미군 이전 사업은 1987년 노태우 대선 후보의 공약에서 출발했다. 당시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개발 열풍이 불면서 서울 도심 한복판을 차지하며 남북 교통축을 가로막고 있는 용산기지를 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따라 1990년 용산 기지 이전 한·미 기본합의서가 체결됐고 이듬해 미 8군 골프장이 반환돼 용산가족공원으로 꾸며졌다. 하지만 비용 문제 등으로 더 이상 진전을 보지 못하다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3년 4월 한·미 정상의 합의를 계기로 다시 본격 추진됐다. 주한 미군 이전 사업은 전국 91곳에 흩어져 있던 미군 기지·시설 173개를 평택 중심의 '작전 허브'와 대구·부산 중심의 '군수 허브'로 재배치해 주한 미군의 안정적인 주둔 여건을 보장하는 게 목표다. 이를 통해 전체 면적도 2억4197만㎡에서 7675만㎡로 줄어든다. 사업은 용산 기지를 평택 등지로 옮기는 'YRP 사업'과 의정부·동두천 기지를 이전하는 'LPP 사업' 두 갈래로 진행돼왔다. 사업 규모는 YRP가 약 8조9000억원, LPP가 약 7조1000억원(총 16조원)이다. YRP는 한국이, LPP는 미국이 비용을 부담한다. 다만 한미연합사(용산)를 비롯해 북한의 장사정포 대응 전력인 210화력여단(동두천), 121병원(용산) 등은 당분간 잔류한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의 한·미 연합 경비대대, 다목적 훈련장인 로드리게스 사격장(포천)은 계속 남는다. 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에 따르면 전체 이전 작업은 지난달 기준으로 약 94.4% 진척도를 보이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연말까지 용산 기지 이전이 마무리되고 내년까지 미 2사단을 포함한 대부분의 미군 부대 이전이 완료될 전망이다. 캠프 험프리스는 과거 주한 미 2항공여단 본부가 있던 곳으로, 미군 기지 이전 사업을 통해 3배로 확장됐다. |
'時事論壇 > 軍事·武器.安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한미군 빠지면.. '눈 가리고 車·包 떼고' 북한과 싸우는 꼴 (0) | 2017.08.02 |
---|---|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미국의 대북 선제타격 시 한반도 가상 시나리오 (0) | 2017.07.17 |
[김민석의 Mr.밀리터리] 북한은 ICBM 중국은 사드, 전략의 노림수 (0) | 2017.07.09 |
방미 앞둔 文대통령, 안보 집중..北도발 경고·한미동맹 강조 (0) | 2017.06.24 |
"공중전 시대 끝났다"..美일방적 우위로 상대국 교전 기피 (0) | 2017.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