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17.08.30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황성동석실분 출토 토제 여인상. 높이 16.1㎝. /국립경주박물관
1987년 5월 19일. 경주 황성동에서 신라 석실분 발굴이 시작됐다.
조사단장인 이강승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실장, 발굴 책임을 진 동국대 이희준 교수는
분노를 억누르며 조사에 임했다. 이들이 분노한 것은 옛 무덤임을 알면서도 건설회사 측이
포클레인으로 유적을 두 번에 걸쳐 무참히 파괴했기 때문이다.
무덤 전체를 8조각으로 구획하고 서남쪽부터 조사를 시작했다.
곧이어 흙더미에서 자그마한 토용(土俑)이 연이어 출토되자 절망이 희망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한 해 전 십이지와 토용 발굴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경주 용강동고분에 버금가는
중요 유적임을 알았기에 안타까움도 더욱 커졌다.
이어 동북쪽 흙 속에서 완전해 보이는 토용 1점이 모습을 보였다.
흙을 제거하자 반듯하게 엎드린 여인상의 윤곽이 드러났다. 깨끗이 세척하니 오른쪽으로
몸을 조금 비튼 채 만면에 미소를 머금은 여인이었다.
머리는 곱게 가르마를 타 뒤에서 묶었고 소맷자락에 파묻힌 왼손으론 부끄러운 듯 입을
살짝 가렸다. 오른손엔 술병을 들었고 긴 치마 앞으로 두 발끝이 살짝 드러나 있었다.
조사단은 헌화가 속 수로부인(水路夫人)을 떠올렸고 수로부인은 이 토용의 애칭이 됐다.
이 교수는 토용의 복식으로 보아 무덤의 조성 연대를 7세기 중엽으로, 주인공을 왕에 준하는 지위의 진골 귀족으로 보았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는 지증왕 3년(502년) 순장을 금지했다고 한다. 그 후 사후세계에서 함께 지낼 사람들을 흙으로 빚어
묻어주게 됐다. 이 무덤 주인도 사랑스러운 '수로부인'과 함께하고 싶다는 소망을 유언으로 남긴 것은 아닐까?
석실분 훼손 사건을 계기로 경주 일원 유적들의 보호 필요성이 대두됐다. 1990년에는 인접한 곳에서 신라 초기의
대규모 제철단지가 발굴됐다. 이 교수는 무참히 부서진 황성동석실분의 음덕 때문에 지금까지 황성동 일대에서
중요 유적이 연이어 발굴될 수 있었다고 한다.
[이한상의 발굴 이야기] [9] 도굴꾼 '無知' 덕에 살아남은 2000년 된 보물상자 (조선일보 2017.09.06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창원 다호리 1호 무덤, 옻칠 된 대나무 바구니, 길이 65㎝, 국립중앙박물관. 1988년 1월 하순. 국립중앙박물관 고고부에 제보가 접수됐다. 철새 도래지로 유명한 창원 주남저수지 주변 동네 다호리에서 중요한 유물이 도굴되었다고 했다. 이건무 부장은 곧바로 이영훈 학예관, 윤광진 학예사를 대동하고 창원으로 향했다. 다호리 유적 일대는 처참했다. 유적이 분포된 논바닥 곳곳에서 도굴 구덩이가 확인됐다. 발굴에 착수한 것은 1월 21일. 혹한의 추위에도 무덤 속은 질퍽거렸다. 구덩이 안에서 도굴꾼이 흘리고 간 쇠도끼, 옻칠 된 부채자루 등이 수습됐다. 조사를 이어가던 윤 학예사가 소리쳤다. "부장님! 목관이 있어요. 통나무예요." 2000년 전 것이라 믿기 어려울 정도로 상태가 좋은 목관이 모습을 드러냈다. 다시 희망을 가지고 목관 내부까지 다다랐으나 유물은 한 점도 남아 있지 않았다. 목관을 수습하는 날. 끈을 넣어 목관에 감고 장비를 이용해 들어 올리는 순간 무덤 속에 있던 윤 학예사의 다급한, 그러나 환희에 찬 목소리가 다시 한 번 울려 퍼졌다. "쫙 깔렸습니다. 유물이 엄청 많아요." 목관을 들어 올린 다음 그 속을 바라본 조사단원들은 감격했다. 도굴꾼은 목관 아래에 유물이 묻혀 있을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던 것이다. 목관을 내릴 때 사용한 노끈, 요즘도 흔히 볼 수 있는 옻칠 목기, 제사를 지내면서 뿌려진 밤톨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특히 이목을 집중시킨 것은 수많은 보물이 가득 담긴 대나무 바구니였다. 이토록 보존 상태가 좋았던 것은 무덤 바닥에서 샘이 솟아 늘 촉촉한 상태를 유지해주었기 때문이다. 이건무 부장은 바구니 속 유물 가운데 붓 5자루와 삭도(削刀) 1점에 주목하며 "고대사회 관리들이 문서행정을 할 때 사용하는 필수품으로 이미 2000년 전 변한(弁韓)에서 문자생활, 더 나아가 문서행정을 했음을 알려주는 결정적 자료"라 해석했다. 이토록 소중한 유물이 하마터면 도굴꾼의 손을 탈 뻔했다고 생각하면 지금도 아찔해진다. |
'人文,社會科學 > 歷史·文化遺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미얀마의 로힝야족 탄압… 英 식민 지배가 낳은 비극 (0) | 2017.09.14 |
---|---|
[토요기획]"조선인 돈된다".. 아이-여자까지 새끼줄로 목 묶어 끌고가 (0) | 2017.09.10 |
[신병주의 '조선의 참모로 산다는 것'] 선조에 왜란 대비 강조했던 이이 경제·군사·사회개혁 주창한 선구적 사상가 (0) | 2017.09.05 |
의병과 손잡고 ‘국내 망명’ … 일제 만행에 ‘최대의 반격’ (0) | 2017.09.04 |
[토요기획]조선인 코 베어오면 ‘영수증’… 왜장들 “포상 근거”소중히 보관 (0) | 2017.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