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經濟(內,外)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바람아님 2021. 3. 3. 07:06
코로나 팬데믹 은 세계경제를 수년간 후퇴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모든 산업활동이 위축됨에 따라 각국은 저금리의 천문학적인 돈을 풀어 경기 부양을 꾀하고 있으나 경기는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돈의 가치만 하락하는 결과를 가져와 너도 나도 자산가치 상승을 기대 하며 부동산 투자 열풍이 불고 있다. 이런 열풍은 주택 수급이 불안정한 국가 일수록 더욱 심하다. 이에 따라 조선일보 차학봉 부동산전문기자가 부동산가격 급등 국가들 중심으로 그 원인과 가격상승현황을 분석 진단하는 기사를 연재한다.

 

“오늘 최고가는 내일의 최저가” 뉴질랜드의 집값 영구 상승론

조선일보 2021.02.02 14:03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① 뉴질랜드의 미친 집값

 

“주택 위기를 해결하는 것이 정부의 핵심 목표이다”, “집값이 더 이상 오르는 것을 방치하지 않겠다”, “공공주택을 대폭 확대하겠다. 저소득층의 내 집 마련을 돕겠다”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1/02/02/ZVZES533YJF5DAVV2MZQZEEWPA/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① 뉴질랜드의 미친 집값

 

“오늘 최고가는 내일의 최저가” 뉴질랜드의 집값 영구 상승론

연초에도 다시 집값이 급등하면서 부동산 버블 논쟁이 불 붙고 있다. 24번의 정책에도 집값 안정에 실패한 정부는 조만간 특단의 부동산 대책을 통해 주택가격을 잡겠다고 선언했다. 한국만 집

www.chosun.com

 

 

 

☞ <②집값 하락세로 돌아선 영국> "영국 1월 집값 하락, 주택 버블 붕괴의 전조?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바로가기

 

 

☞ <③끝 없이 치솟는 미국 집값> "코로나로 도심 엑소더스...미국 미친 집값, 교외-지방이 불붙였다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바로가기

골드만 삭스, 수요와 공급 불균형 계속돼 올해 4.7% 상승 예상 임대료 체납, 주택담보대출 연체 급증하면서 버블 붕괴론도 제기 바이든의 2100조원 코로나 부양책, 이민확대 정책 등 호재 많아

 

 

☞ <④10년째 논쟁 중인 중국버블, 언제 터지> “위장 이혼 찾아내라” 투기로 치솟는 집값에 중국이 내놓은 대책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바로가기

10년전부터 버블 붕괴론 제기, 빈집 6500만채에도 집값 급등 분양가 통제로 당첨되면 로또, 대학입시보다 어려운 청약 버블붕괴=체제위기 , 중국 당국 일본 연구해 대비책 마련

 

 

☞ <⑤주택난 대안으로 주목받는 싱가포르 모델 > "이재명도 극찬했던...싱가포르가 ‘주택천국' 된 비결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바로가기

싱가포르는 토지국유화 연금활용 교통망 연계 신도시 개발 등 일관된 정책 한국은 정권 교체, 집값 등락에 따라 정책 목표도 수단도 수시로 변경돼

 

 

☞ < ⑥주택 시장 과열 없는 일본 > "대출이 월세보다 싸도 집 안산다...일본만 집값 잠잠한 이유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바로가기

작년 집값 상승률 1.7%에도 “버블 우려 있다” 걱정 돈풀기 아베노믹스로 부동산 장기침체는 벗어났지만 과열은 없어

 

 

☞ <⑦미국 집값 추월한 캐나다의 투기 방지책 > "'중국인 투기로 집값 뛴다'...캐나다, 외국인 취득세 20% 높여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바로가기

인구 적어도 이민, 유학생 증가로 미국보다 집값 40% 비싸 20년 주택 호황, 대출 등 각종 규제에도 집값 계속 치솟아 서너채 사두고 임대조차 않는 중국인들 많아 빈집 투기세도 도입

 

 

☞ <⑧ 독일, 임대주택 천국의 추락 > "文정부가 꿈꾸는 ‘임대주택 천국’...독일도 집값 폭등, 무주택자만 운다 [차학봉 기자의 ‘팬데믹 주택 버블’ 연구] " 바로가기

주택 취득에 15% 중과세, 대출제한해 임대 유도, 자가 보유율 선진국 최하위 경제호황, 저금리,이민 유입으로 매매가와 임대료 동시 폭등, 빈부 격차 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