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백영옥의 말과 글] [359] 다시 보기

바람아님 2024. 6. 22. 01:12

조선일보  2024. 6. 21. 23:55

얼마 전 친구들과 최신 개봉 영화 얘기를 했다. 나는 보지 못한 영화였다. 몇 년 전만 해도 나는 신작 영화와 신간을 거의 다 챙겨 보는 편이었다. 일종의 직업적 강박인 셈이다. 하지만 넷플릭스 같은 OTT 서비스와 함께 콘텐츠의 양에 압도되면서부터 곧 길을 잃기 시작했다. 가끔 스스로 너무 많은 음식이 적힌 메뉴판 앞에서 뭘 골라야 할지 몰라 당황한 외국인 여행객 같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종종 댐이 무너지듯 쏟아지는 콘텐츠 홍수의 흙탕물 속에서 무엇을 읽고, 보고, 들어야 할지 헤맬 때가 있다. ‘오메가3′ 섭취가 몸에 좋다는 뉴스와 나쁘다는 뉴스 사이에서 그렇게 길을 잃는다. 그때마다 등대의 불빛을 찾듯 오랫동안 반복해서 본 책과 영화를 떠올린다. 가령 그냥 기쁨이 아니라 ‘고집스러운 기쁨’ 같은 제임스 길버트의 시 구절은 여기저기 구겨진 나를 펴준다.

안전함을 찾아 나서는 방법은 저마다 다르다. 하지만 읽은 책, 본 드라마를 다시 보며 풍요와 행복을 느낀다면 그것이 나의 안전지대란 뜻이다. 많은 것이 빠르게 바뀌고 허물어질 때 우리가 되새겨야 할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그렇다면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바뀌지 않을 나만의 것은 무엇인가.


https://v.daum.net/v/20240621235513619
[백영옥의 말과 글] [359] 다시 보기

 

[백영옥의 말과 글] [359] 다시 보기

얼마 전 친구들과 최신 개봉 영화 얘기를 했다. 나는 보지 못한 영화였다. 몇 년 전만 해도 나는 신작 영화와 신간을 거의 다 챙겨 보는 편이었다. 일종의 직업적 강박인 셈이다. 하지만 넷플릭스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