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후배들에 실망한 노소영 "서울대는 잔뜩 경직…계명대생 질문은 정곡 찔러"

바람아님 2024. 6. 16. 15:58

아시아경제  2024. 6. 16. 11:30

두 대학 특강 후 "교육의 목적 자체를 재고할 때"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대학교와 계명대학교에서 특강한 소회를 밝힌 것이 뒤늦게 화제가 됐다. 노 관장은 "이제 교육의 목적 자체를 재고할 때"라고 말했다.

노 관장은 지난 8일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tabula rasa(타불라 라사)'란 제목의 글을 올렸다. 타불라 라사란 아무것도 안 쓰여 있는 백지를 뜻한다. 서울대와 계명대를 비교한 이 글은 전체 공개가 아닌 친구 공개로 작성됐다.

최근 두 학교에서 특강을 진행한 노 관장은 "학부생 수업이라 부담이 있었지만 비교해 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고 했다.

우선 계명대에 대해 "50분 정도 강연을 하고 학생들에게 포스트잇을 나눠주며 무엇(질문, 코멘트)이라도 써내지 않으면 저 문을 나가지 못한다고 했다"며 "무슨 질문이 나올까 궁금한 마음으로 한 장씩 읽는데, 질문들이 제대로 정곡을 찌르고 진지한 고민이 묻어났다"고 했다.

반면 서울대에서는 실망했다고 썼다. "강의가 끝나고 질의응답 시간에 가슴에서 나오는 질문을 더 좋아한다면서 진솔한 소통을 유도했는데, 이들은 가드를 내리지 않고 잔뜩 경직돼 있었다"면서 "나오면서 주임교수에게 좀 실망스러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노 관장은 "한쪽은 평범한 지방대, 다른 한쪽은 이 사회 최고 엘리트들이 모인 곳. 문제는 챗GPT 등 인공지능이 서울대 학부생들의 지능을 훨씬 넘어섰다"며 "이들 중 일부는 차후에 다음 단계의 인공지능을 만들 수도 있겠지만, 그건 매우 소수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은 정체성이 기반이 돼야 한다"며 "그래야 오리지널(독창성)이 생기고, 그것만이 인간이 기계를 이길 수 있게 한다"고 강조했다.


https://v.daum.net/v/20240616113039749
후배들에 실망한 노소영 "서울대는 잔뜩 경직…계명대생 질문은 정곡 찔러"

 

후배들에 실망한 노소영 "서울대는 잔뜩 경직…계명대생 질문은 정곡 찔러"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대학교와 계명대학교에서 특강한 소회를 밝힌 것이 뒤늦게 화제가 됐다. 노 관장은 "이제 교육의 목적 자체를 재고할 때"라고 말했다. 노 관장은 지난 8일 개인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