其他/韓.日수교50년

"일본 우습게 보는 나라 한국밖에 없어.. 자립적 역사발전, 객관적으로 볼 필요"

바람아님 2016. 2. 2. 00:57
동아일보 2016-2-1

‘일본을 우습게 보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는 얘기가 있다. 일제강점기를 경험한 한국인은 그 반작용으로 일본이라면 뭐든 폄하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는 얘기다.

일본이 한때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될 수 있었던 저력의 뿌리는 19세기 메이지 유신이다. 일본의 근대국가 건설 시기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 ‘조용한 혁명’(소명출판·사진)이 최근 나왔다. 일본 역사의 한 시대를 종합한 국내 연구서는 드물다. 동서대 초빙교수를 지낸 저자 성희엽 씨(국제학 박사)는 “서양의 침탈에 맞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면서 자립적으로 발전한 일본 근대사를 들여다봤다”고 말했다.

‘조용한 혁명’의 저자 성희엽 박사는 “메이지 유신 다음 세대의 일본 지도자들은 군국주의 파시즘이라는 최악의 선택으로 일본을 파멸로 이끌었다”고 말했다. 성희엽 박사 제공

메이지 유신은 통상 ‘혁명’으로 불리지 않는다. 저자에 따르면 그 이유는 ‘천황가(家)’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일본의 전통, 메이지 유신이 전(前)근대적 절대주의 국가를 만들었다고 보는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영향, 위로부터의 변화에 불과했다는 서구학자들의 편견 탓이다. 성 박사는 “침략적 팽창정책을 추진하면서 의미가 퇴색되기는 했지만 일본의 유신과 건국은 왕정복고 쿠데타일 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봉건적 껍데기를 벗고 근대적 전환에 성공한 사회경제적 혁명”이라고 말했다.


이 책은 일본이 근대화를 이룰 수 있었던 큰 요인으로 덴포(天保·일본 연호·1830∼1844년) 시기에 태어나고 자란 ‘덴포기의 아이들’, 즉 청년 사무라이 혁명가들의 형성을 들었다. 이들은 지역과 신분으로 분열된 봉건 막번(幕藩) 체제(절대 지배자인 쇼군이 막부를 장악하고, 그 아래 여러 다이묘의 번이 자치권을 행사하는 정치 제도)에서는 군사력이 월등한 서구 열강의 위협을 극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강렬한 민족적 정체성과 근대적 국가의식을 갖게 된 이들이 혁명의 주력이 됐다는 것이다.

1부 ‘유신과 건국의 기원’에서는 국학 유학 난학(蘭學·네덜란드에서 전해진 지식을 연구한 학문) 등 메이지 유신의 바탕이 되는 사상적 변화를 조명했고, 2부 ‘유신 혁명’과 3부 ‘건국’에서는 혁명 과정과 경제 군사 법률 제도의 성립을 다뤘다.


800쪽에 가까운 이 책이 나오기까지 7년이 걸렸다. 부산시장 대외협력보좌관, 기획재정부 홍보전문관 등으로 6년간 일하던 저자는 연구와 집필에 집중하기 위해 2011년 말 직장을 그만뒀다. 언어적인 어려움이 가장 컸다. 국학을 공부하려면 한문과 고대 일본어도 알아야 했다. 책에는 저자가 메이지 유신과 관련된 도시 25개를 탐방하면서 찍은 사진이 실려 이해를 돕는다.


성 박사는 “식민 지배를 겪은 우리는 한일관계의 적대적 측면에만 주목해 일본 현대사를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며 “한국의 국력이 일본을 많이 따라잡은 오늘날에는 일본의 역사 발전을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