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경우도 1447년 독일의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를 발명한 것보다 210~70년 앞섰음을 알 수 있다. 2005년 서울디지털포럼에 참석한 앨 고어 전 미국부통령은 “스위스 인쇄박물관에서 들었다”면서 “구텐베르크는 고려를 방문해서 인쇄술 기록을 가져온 교황청 사절단 친구를 만난 뒤 금속활자를 만든 것”이라 전했다. 근거가 있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고려의 인쇄술이 당시 세계제국이던 원나라를 통해 유럽을 전파됐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사실 활판인쇄로 금속활자를 대량보급한 것은 구텐베르크였다. 수도사가 한자 한자 필사해서 10~15일에 겨우 한 권의 성경을 만들었던 때가 아닌가. 같은 책을 수십, 수백권씩 찍어냈으니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은 마법 같았다. 책의 대량 보급은 유럽을 종교개혁과 과학혁명, 문예부흥
의 시대로 이끌었다.
반면 최초 발명국이었던 고려·조선에서 서적은 대중용이 아니었다. 왕실과 사대부용이었다. 조선왕조실록처럼 몇 부 찍어 4~5대 사고(史庫)에 보관하는데 그쳤으니 지식의 확대 재생산에는 한계가 있었다. 안타까운 일이다.
책을 찍을 때 사용한 금속활자 역시 몇 점 남아있지 않다. 몇 년 전 <남명천화상송증도가>를 찍어냈다는 ‘증도가자’가 100여점 나왔으나 아직 진위확인 중이다. 그것을 제외하면 그동안 남북한이 각 1점씩 보관해왔다. 남측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복’자와 북측 조선중앙역사박물관이 보관하고 있는 ‘전’자이다. ‘복’자는 1913년 10월7일 덕수궁 구 왕궁박물관이 일본인 골동품상 아카보시(赤星佐七)로부터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12원을 주고 사들인 것이다. 아카보시는 개성의 어느 무덤에서 발굴한 것을 사들였다고 한다. ‘전’자는 1956년 개성 만월대 회경전 서쪽 300m 지점에서 수집됐다고 한다. 그런데 지난해 남북한의 개성 만월대 공동조사 때 또 한 점이 발굴됐다. 남북한 학계가 축제무드에 젖었지만 남북관계가 경색
국면으로 빠지는 바람에 찬물을 뒤집어썼다. 올 4월 북한의 만월대 단독발굴에서 4점이 더 확인됐다.
그제 한국고고학회가 개최한 ‘통일고고학을 위한 연구현황과 과제’ 학술대회에서 안타까운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실물을 볼 수 없으니 발만 동동 구를 수밖에…. 다 제쳐두고 금속활자 하나만은 남북한 공동으로 조사하면 어떨까. 금속활자만큼은 세계최초라는 자부심으로 똘똘뭉친 남북이 아닌가.
<이기환 논설위원>
'人文,社會科學 > 歷史·文化遺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사임당은 언제, 어떻게 '현모양처' 대표주자가 됐나 (0) | 2016.08.30 |
---|---|
'650년 된 이야기'..40년이 지나 완독하다 (0) | 2016.08.27 |
[문화 실험실]종이갑옷인데 조총도 못 뚫었다니… (0) | 2016.08.23 |
일본인처럼 자란 덕혜옹주.. 이우는 히로시마 原爆에 희생돼 (0) | 2016.08.19 |
[박보균 칼럼] 광개토대왕비 우울한 진실 (0) | 2016.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