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고전·고미술

이규보 - 영정중월(詠井中月), '우물 속의 달을 노래하다'

바람아님 2013. 7. 31. 16:19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山僧貪月色 (산승탐월색)          산사의 중 달빛을 탐하여

幷汲一甁中 (병급일병중)          물병에 달을 함께 길었네

到寺方應覺 (도사방응각)          절에 돌아와 깨달았으리

甁傾月亦空 (병경월역공)          병 기울이면 달도 비게 되는 것을



고려 중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한시. 오언절구로, 작자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에는 보이지 않고, 

장지연(張志淵)이 편한 ≪대동시선 大東詩選≫에 이규보 작이라고 전한다. 이 시는 우물 속에 잠긴 달을 노래한 작품으로, 

산승(山僧)이 달빛을 사랑하여  물을 길으며 달을 함께 담아오지만, 절에 이르러서는 물병을 기울이면 달도 사라지고

만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감상)

달빛은 마냥 물 속에 풀려 있는 것이 아니며, 달이 사라지면 달빛도 사라지고 만다는 자명한 사실을 한 산승을 등장시켜

잔잔한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다.꿈이 영롱하게 서려 있는 달빛을 한 병의 물 속에 담아 내 것으로 하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님을 말하여준다. 

이 시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乖離)를 비유적으로 읊고 있다. 또 달을 하나의 진리라고 상정하여보면, 진리를 추구하여

가는 과정, 즉 수도(修道)의 어려움을 담고 있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여기에는 진리는 어디에나 있는 것이지만

그 진리를 찾아서 자기의 언어로 옮긴 순간 그 진리는 공허한 것이 되고 만다는 선사상(禪思想)이 내포되어 있다. 

짧은 4행시에 많은 뜻을 함축하여 상징적으로 처리한 수법이 탁월하다.


(다른 표현)

*.산승이 물병 속에 담아온 달은 인간의 탐욕일 수도 있고, 산승이 얻고자 하는 득도(得道)의 경지나 진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마침내 얻었다고, 도달했다고 생각하지만 한순간에 사라져 버릴 수 있음을 통하여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의 

불교관을 드러낸다. (두산백과)


(속인의 달놀이 사진)

Moon Games-Laurent Laveder


(구름낀 저녁- 핸드폰 사진-family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