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들이 자유롭게 헤엄치고 있는 모습은 유유자적하고 평화스럽고 한가로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물고기 그림을
옛 선비들은 즐겨 감상하였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권력의 굴레를 벗어나 자연을 즐기는 선비의 안빈락도(安貧樂道) 정신과
상통하기 때문이다.
물고기는 벽사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항상 눈을 뜨고 있기 때문이다. 귀중한 것을 간직하는 다락문에
물고기 그림을 붙이거나 물고기 모양의 자물쇠 또는 손잡이를 붙이는 것은 항상 눈을 뜨고 있는 물고기가 이것을 지켜주리라
믿기 때문이다.
많은 알을 낳기에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특히 배가 부른 물고기가 그러했으며 자식을 낳아야 할 부녀자들에게
물고기 모양의 노리개를 달아주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남녀의 성기를 닮은 물고기나 물 속 생물을 그려 넣어 부부의 성적화합이나 금술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런 경우
대체로 쌍으로 표현되어 부부를 표현하기도 한다.
잉어들이 떼를 지어 헤엄치고 있다. 바위에 꽃나무가 피어 있는데 어디까지가 물 속인지 알 수 가 없다. 잉어 밑에는 게 두
마리가 있다. 게는 등이 딱딱하여 으뜸을 뜻하는 갑(甲)으로 쓰였다. 게가 크고 작은 두 마리이기에 소과(小科)와 대과(大科)를
뜻하여 장원급제를 말한다.
떠오르는 아침햇살 아래 뛰는 잉어그림을 과거를 앞 둔 벗에게 출세를 기원하며 격려의 선물로 선사했던 경우가 많았으며,
선비가 과거에 급제하기를 스스로 다짐하면서 자신의 책상머리에 붙여 놓아 결의와 소망을 염원하는 그림이다. 세 마리 잉어
중에서 큰 잉어 한 마리가 물결을 거슬러 뛰어오르려는 자세이다. 이것은 선비가 글공부를 해서 과거시험에 급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새우 두 마리는 부부가 해로이니, 열심히 공부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오랫동안 부부가 해로하라는 뜻이다
아침해가 막 떠오를 때 커다란 잉어가 공중으로 뛰어 오르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후한서(後漢書)》 <이응전(李膺傳)> 주해에 따르면, 황하강 상류에 용문이라는 계곡이 있는데, 그 근처에 흐름이 매우 빠른
폭포가 있다. 그 아래에는 큰 물고기들이 항상 수 없이 많이 모여들어 그 폭포를 오르려고 하였지만 오를 수 없었다. 만약
물고기가 이곳을 오르기만 하면 용이 된다고 하였다.
이것은 수 많은 인재들이 지원하는 과거에 급제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비슷한 의미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출세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간혹 이러한 모습을 꿈으로 꾸면 아들 꿈으로 생각하는데, 그것은 잉어의 머리가 남자의 성기 모양을 한 때문이라고 한다.
저 멀리 아침해가 이제 막 떠오르기 시작하고 있다. 잉어 한 마리가 번쩍 뛰어올라 여의주를 물려 하고 있다. 왠지 모르게
힘들게 보이는데, 아마도 세속의 출세도 이처럼 힘든 일일 것이다.
잉어 한 마리도 번쩍 뛰어오르고 있는 모습이다. 용이 되고자 하는 갈망인지 수염을 뻗어 해를 잡으려는 듯 보인다
자료 : 한국애석문화연구소, 우리역사 바로알기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28] 수염이 하나도 없는 이 남자, 어떻게 功臣에 올랐나 (0) | 2013.08.12 |
---|---|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27] 남편들이여, 이젠 저렇게 밥상을 차려라 (0) | 2013.08.11 |
숨은 그림 찾기 - 고령 바위 그림(고령암각화) (0) | 2013.08.08 |
거북선에 웬 태극기?.. 통영 '수조도' 미스터리 (0) | 2013.08.07 |
조선시대 그림 가격은 얼마였을까(2) (0) | 2013.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