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와다 하루키 "위안부 합의에도 아베 태도가 한국인에 다시 상처"

바람아님 2016. 11. 21. 23:34
연합뉴스 2016.11.21 16:40

"위안부 사죄하려면 공식 문서 작성해야".."中·北 피해자에도 사죄 필요"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합의에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태도가 한국 국민의 감정에 다시 상처를 줬다며 문서화를 통한 공식 사과를 주장했다.

와다 명예교수는 21일 월간지 '세카이'(世界) 12월호에 실린 기고문에서 "한국 사회의 동요와 일본 사회 내부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를 공식 문서를 통해 하지 않았다"며 "이 같은 거만한 태도가 한국 국민의 감정에 또 다시 상처를 입혔다는 것은 굳이 말할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작년 12·28 한일 합의 당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대신 아베 총리의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전한 적은 있지만, 아베 총리가 그동안 공개된 자리에서 서한이나 육성을 통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직접 사과한 적은 없다.

대신 아베 총리는 지난달 국회에서 사죄 서한을 전달할 용의가 있는지에 대해 "털끝만큼도 없다"고 말해 한일 합의시 사죄의 진정성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와다 명예교수는 "아베 총리가 한일 합의의 실행을 위해 직접 자신의 서명이 담긴 사과의 글을 공식 문서로 작성해야 한다"며 "이왕 합의를 했으니 이는 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와다 명예교수는 '위안부 합의'에 참여하지 않은 할머니들의 명예가 훼손되지 않게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그는 "합의에 반대하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은 1천300회 이상 25년간 매주 수요일 (일본대사관 앞) 집회에 참가한 분들"이라며 "초인적인 운동을 했던 분들의 명예가 (위안부 합의를 통한) 해결 과정에서 상처를 받아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한편 와다 명예교수는 일본 정부가 한국 뿐 아니라 중국과 북한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사죄와 배상금 지급에도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베 총리는 기시다 외무상의 발언을 통해 '위안부로서 많은 고통을 겪고 심신에 걸쳐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은 모든 분들'에게 사죄를 표명했다"며 "여기에는 한국 이외 국가의 피해자들도 포함됐으니 이들에 대해서도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북한에는 정부에 등록한 피해자 수만 200명 이상이며 이들 중 10명 정도는 아직 생존해 있다"며 "일본 정부가 북한과는 국교가 없으니 조처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지만, 피해자들이 몇 명이라도 생존에 있을 동안 사죄와 배상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안부문제 강연하는 와다 하루키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아시아여성기금 전무이사를 지낸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가 13일 오후 일본 도쿄도(東京都) 지요다(千代田)구 소재 참의원 의원회관에서 일본 시민단체 '위안부 문제 해결 모임'을 상대로 강연하고 있다. 2016.1.13 sewon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