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서영수의 돈이 되는 茶이야기] 양귀비의 마음을 산 그 차

바람아님 2017. 3. 26. 23:48

[중앙일보] 입력 2017.03.26 00:02 


현종, 몽정차(蒙頂茶)와 황실공차(皇室貢茶)로 구애... 숙종은 차 대중화에 앞장
 
중국 화가 샤오 위티엔이 그린 양귀비 상상도.

중국 화가 샤오 위티엔이 그린 양귀비 상상도.


당(唐, 618~907)나라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25%를 점유하는 경제대국이었다. 역대 왕조에서 산발적으로 운용하던 조세 체계를 완성해 국가 재정을 공고히 했다. 균전제(均田制)를 기반으로 조용조제(租庸調制)를 전국적으로 실시했다. 지방의 특수사정을 파악해 부과하는 다양한 잡세(雜稅)와 소금과 차에 대한 전매제도를 탄력적으로 실시했다. 당나라 중기에 일어난 안·사의 난 이후 국가재정이 어려워진 당나라는 세율을 높이고 전매사업을 강화했다. 일시적인 세수는 늘었지만 과도한 세금에 시달린 백성들이 밀매업자로 전락하고 무리를 지어 강적(江賊)이 돼 국가재정과 치안을 흔들었다.

당나라를 세운 이연은 수나라를 창건한 문제와 동서지간이다. 수나라와 당나라는 북방의 유목민족인 선비족 군사집단인 관롱집단에 뿌리를 두고 있다. 건국 초기에 당 태종 이세민은 영토 확장과 부국강병의 초석을 세웠다. 중국 역사상 유일무이한 여성 황제인 측천무후는 기행과 만행으로 악명을 떨쳤지만 민생과 경제만큼은 활성화시켰다. 관롱집단을 앞세운 공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고종의 황후로 654년 10월 13일 등극한 측천무후는 683년 12월 27일 고종이 서거할 때까지 전권을 휘둘렀다. 측천무후는 사궤(四軌)라는 투서함을 활용한 밀고 정치를 펼쳐 관롱집단을 비롯한 반대파를 무자비하게 숙청했다.
 
차 재배·제조 기술 발전시킨 황실공차
중국 정부가 공식 인증한 양귀비 초상.

중국 정부가 공식 인증한 양귀비 초상.


황태후로서 황제를 마음대로 갈아치우며 권력을 위해 친아들을 죽일 정도로 무자비했던 측천무후는 황제인 아들도 믿지 못해 자신이 황제가 되기로 결심했다. 당나라 최대 정치세력인 관롱집단을 무력화시키고 당나라의 맥을 끊고 대주(大周)를 세워 16년 동안 공포정치로 통치하던 측천무후는 권력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수면 부족에 시달렸다. 병세가 깊어져 정신이 혼미해진 측천무후는 온갖 약재를 써봤지만 병세가 호전되지 않았다. 3000년 전부터 허난성 신양에서 만든 신양마오젠(信陽毛尖)을 마시게 된 측천무후는 머리가 맑아지며 정무를 다시 보게 됐다. 측천무후는 신양마오젠을 황실공차(皇室貢茶)로 지정하고 생산지인 차운산(車雲山) 일대를 황가다원(皇家茶園)으로 지정했다.

당나라의 황실공차 제도는 차나무 재배와 차 제조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지만 백성들의 부담은 가중되는 양면성이 있었다. 수나라가 건설한 경항대운하(京杭大運河)를 따라 남부지방의 토산물인 차가 중국 전역으로 이동하며 차는 중국남쪽의 지역문화에서 대륙 전체의 문화로 확대 재생산됐다. 당나라 수도 장안에서 산동의 태산까지 차 마시는 문화가 일상화됐다. 당나라 차와 티베트 말을 교환하는 차마호시(茶馬互市)가 민간차원에서 시작되어 차마고도(茶馬古道)의 효시가 됐다.
 
당나라 현종.

당나라 현종.


당나라의 부국강병과 태평성대를 이끌었지만 지나친 풍류와 여인 사랑으로 당나라를 헤어날 수없는 수렁에 빠트리기도 한 현종은 차에 조예가 깊었다. 푸젠성 출신으로 차와 가무에 능한 강채평(江采萍)을 총애한 현종은 매일 차로 승부를 겨루는 투차(鬪茶)로 세월을 보냈다. 강채평을 매비(梅妃)라 칭하고 황궁 안에 매화를 심어 그 곳에 살게 했다. 여름 휴가지로 유명한 화청지(華淸池)에서 며느리 양옥환을 보고 한 눈에 반해버린 현종은 황제만이 누릴 수 있는 귀한 진상품을 며느리에게 선물로 보냈다. 하늘에 제를 올릴 때만 사용하는 진귀한 몽정차(蒙頂茶)와 공이 가장 큰 신하를 선별해 1년에 한번만 특별히 하사하던 황실공차를 아낌없이 보내며 밀회에 성공했다. 현종은 매비의 만류를 무시하고 745년 양옥환을 귀비로 책봉했다. 61세의 현종이 맞이한 양귀비는 27세였다. 술을 좋아하고 통통한 양귀비는 중국 4대 미녀 중에서 꽃도 마주치면 부끄러워 고개를 숙인다는 수화의 주인공이다. 현종은 양귀비를 말을 이해하는 꽃이라며 해어화(解語花)라고 불렀다.
 
차에 최고 50% 세금 부과
황차원.

황차원.


당나라를 세계 최강의 국가로 만든 현종은 당나라를 쇠락의 길로 이끈 왕이기도 하다. 나라의 재정을 탕진한 현종은 무력 기반인 부병제(府兵制)를 버리고 모병제(募兵制)로 전환했다. 변방의 절도사였지만 당나라 전체 군사력의 40% 이상을 장악한 안녹산(安祿山)은 사사명(史思明)과 함께 안·사의 난(755~763년)을 일으켜 순식간에 장안으로 쳐들어 온다. 안·사의 난은 오합지졸의 농민반란이 아니라 이민족이 주체가 되고 군벌이 가세한 조직적인 군사 행동이었다. 안·사의 난을 수습하고 황제에 오른 숙종(756~762년)은 금주령을 반포했다. 승려, 도사, 문인을 중심으로 술 대신 차를 마시면서 차 마시는 풍습이 중국 전역에 유행하게 됐다.

당나라 황실 귀족문화를 넘어 대중문화와 주요산업으로 발전한 차에 대한 세금을 782년 처음으로 부과한 당나라 덕종은 백성들의 원성이 심해지자 784년 차에 대한 세금을 폐지했다. 세수 부족을 메우기 위해 덕종은 793년 차 가격의 10%를 세금으로 받았다. 세율은 점점 높아져 821년에는 50%가 넘는 세금을 부과했다. 차를 생산하는 지역에는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하고 차를 취급하는 상인이 지나는 길목에서도 세금을 징수했다.

소금처럼 차도 전매품목으로 지정했다. 세원 파악을 쉽게 하기 위해 개인이 키우던 차나무를 관장(官場)이 관리하는 장소로 옮겨 심도록 하기도 했다. 관료주의와 세금 폭탄을 피해 차를 밀거래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배를 타고다니며 강변의 시장을 습격하며 불법 무장 부락을 이룬 강적들과 결탁해 세금을 피했다. 지방 토호와 상인의 반발도 심해졌다. 소금과 차를 밀매하던 황소(黃巢)가 일으킨 난(875년~884년)을 계기로 당나라는 국력이 급격히 기울며 중원에서 사라진다.

서영수 - 1956년생으로 1984년에 데뷔한 대한민국 최연소 감독 출신. 미국 시나리오 작가조합 정회원. 1980년 무렵 보이차에 입문해 중국 윈난성 보이차 산지를 탐방하는 등 차 문화에 조예가 깊다. 중국 CCTV의 특집 다큐멘터리 [하늘이 내린 선물 보이차]에 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