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文化/그때그일그사람

기생(1)

바람아님 2013. 2. 20. 19:39

기생의 역사


신라의 원화제도는 화랑 제도 이전에 있었던 제도로, 두 명의 여성을 대표로 뽑아 화랑도와 같은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지만 첫 번째 대표였던 남모와 준정이 서로 시기하여 준정이

남모를 죽이는 사건 이후 원화는 폐지되고 남성인 풍월주를 대표로 하는 화랑도로 대체되었다.

 

 


원화 제도와 기생의 연관성이 명확히 나와있는 역사 자료는 없으나, 일부 학자들은 원화 제도가

기생의 본류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서도 원화 제도가 기생의 본류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생(妓生) 혹은 기녀(妓女)는 춤·노래·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관기(官妓) ·민기(民妓) ·약방기생 ·상방기생 등 예기(藝妓)의 총칭이다.

천인 신분이었지만 춤, 노래, 시(詩) 등에 능한 예인(藝人)이었으며, 대표적인 기녀로는 16세기

사람인 황진이가 있다. 기생제도는 조선시대에 발전하여 자리를 굳히게 되어 기생이라 하면

일반적으로는 조선시대의 기생을 지칭하게 되며, 사회계급으로는 천민에 속하지만 시와 글에

능한 지식인으로서 대접받는 특이한 존재였다. 일제강점기에 살았던 기녀중에는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권번[기생조합]의 착취와 일본 제국주의에 항쟁한 김향화 같은 기녀도 있다.

 

목차

1. 역사

1.1 신라의 원화

1.2 고려여악

1.3 조선 시대

1.3.1 국가에서의 관리

1.3.2 기생,교양이 뛰어난 여성

1.3.3 신분

1.4 구분

1.5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1.5.1 권번

1.5.2 수입

1.5.3 기생 사진집

1.6 현대

2.  예술

2.1 기생문학

2.2 기생이 나오는 문학

2.3 춘화

2.4 기생화보, 기생엽서

3. 참고 문헌

 

1. 역사

  전 세계적으로 성매매의 역사는 역사시대의 시작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한국 역사상의 기생의 원류가 고조선 시대로 거슬러가는지는 알 수 없다.

1.1 신라의 원화

  신라의 원화 제도는 화랑 제도 이전에 있었던 제도로, 두 명의 여성을 대표로 뽑아 화랑도와

  같은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지만 첫 번째 대표였던 남모와 준정이 서로 시기하여

  준정이 남모를 죽이는 사건 이후 원화는 폐지되고 남성인 풍월주를 대표로 하는 화랑도로

  대체되었다.

  원화 제도와 기생의 연관성이 명확히 나와 있는 역사 자료는 없으나, 일부 학자들은 원화

  제도가 기생의 본류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서도 원화 제도가 기생의

  본류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벽화 등에도 기생과 비슷한 여성의 모습은 발견되고 있으나, 기록으로

  남은 것은 없다.

1.2 고려여악

  고려 초에 팔관회와 연등회 등의 행사에 필요한 여성을 공급하기 위해 고려여악이 제정되었다.

  가와무라 미나토 등의 기생 연구가들은 이 고려여악이 기생의 원조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려 시대 초기 삼국 통일 과정에서 발생한 포로를 관리하기 위해 고려 정권은 남자 포로를

  '노', 여자 포로를 '비'로 관리하였다. 이 '비' 중에서 가무와 예악에 뛰어난여성들은 따로

  골라내어 국가가 직접 관리하였다. 후백제의 후예로 고려에 반항적이었던 양수척 중에서도

  예악이 뛰어난 여성들을 뽑아 '기'로 삼았다. 왕실 주요 행사인 팔관회와 연등회에는 항상

  '여악'이 뒤따랐는데, 위의 여성들이 동원되었다.

1.3 조선 시대

1.3.1 국가에서의 관리

  조선은 기생을 일종의 제도로 정착시켜 국가가 직접 기생들을 관리, 감독하였다. 기생은

  기본적으로 관기로서, 관가에 등록이 된 기생만이 기생 활동을 할 수 있었다.

1.3.2 기생,교양이 뛰어난 여성

  기생은 교양이 있는 지식인이었다. 이들은 노래, 춤, 악기,학문, 시,서화(글과 그림)을 알고,

  말씨나 행동이 고상하여야 했다.장악원에 들어가서 몇년에 걸쳐 교육받고 훈련을 받아야

  하였다. 교육은 일정 나이가 지나거나, 출산 등의 이유로 은퇴한 퇴기들이 주로 맡았다.

  기생은 선배인 퇴기로부터 기본적인 춤과 노래, 시조 등을 배웠으며, 높은 관리를 대하는

  예절도 배웠다. 또한 명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몇몇 춘화에서는 춘화를 통해 나이 든

  기생이 어린 기생들에게 성교육을 시키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기생은 대개 소녀 시절부터 교육을 받으며, 15세가 되면 성년식을 치르고 본격적인 기생의

  업무에 종사하게 된다. 기생은 보통 정년이 50세로, 20세가 넘어도 활동하는 기생도 있었다고

  하나, 20대 중반만 해도 이미 '노기'로 취급받았다.

1.3.3 신분

       1910년대 무렵의 어느 작은 술집의 기생

 

  조선 시대의 기생은 법적 신분으로는 양민이었지만(다만 관노로서 기생이 된 자는 천민이다),

  직업의 특성상 생활은 중산층 이상의 생활수준을 향유했고, 사회적으로는 천민으로 대우

  받았다. 기생들은 천민이었지만, 상대하는 이의 격에 맞게 가무(歌舞), 시(詩), 서(書),

  화(畵)의 재능과 지조(志操), 지략(智略), 의협(義俠)의 덕목을 두루 갖춘 교양인이었다.

  또한 기생이 머무는 곳인 기방에는 원칙적으로 양반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었다.[3] 다만

  풍류를 즐기기 위해 그들을 양반이 노는 곳에 불러올 수는 있었다. 그러나 일부 양반과

  왕족들은 기생집에 자유자재로 출입했고, 조선 후기에는 중인과 평민 상인들도 기방에

  출입하였다.

1.4 구분

  조선 말기에 기생은 일패, 이패, 삼패 세 부류로 나뉘었다. 일패 기생은 관에 소속된 관기로

  양반기생이라고도 불리며, 조선말부터 생긴 옥당기생과 임금 앞에만 나가서 노래,춤을 하는

  기생으로 예의범절에 밝고 일부는 남편이 있는 기생으로 몸을 함부로 하지 않으려고 하였다.

  송도의 황진이, 부안의 이매창은 일패 기생으로 주로 선비들과 학문과 시조를 나누고 교분을

  쌓던 인텔리들이다. 이패 기생은 '은근짜(隱君子)'로 불렸는데 관아나 재상집에 출입했고

  암암리에 몸을 파는 밀매음을 하기도했었다. 삼패 기생은 참녀로 몸을 파는 유녀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기생에게는 보통 기둥서방이라 부르는 남성 경호원 겸 일종의 가짜 남편이 존재하였고

  더러는 양반가의 첩이 되거나 그 특유의 재능을 인정받고 면천하거나 일부는 의녀나 궁녀로

  입궐하는 수도 있었다.

1.5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평양의 기생학교

 

1.5.1 권번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시대를 통해 기생 제도도 근대식, 일본식의 유곽제도로 모습을 변모해간다.

  조선 정부가 관기 제도를 통해 기생들을 통제했던 것처럼, 일본 정부 역시 허가된 권번을 통해

  기생을 통제했다.

  기생의 교육은 예전처럼 구전되는 것이 아니라, 기생학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기생학교는 3년간  

  기생이 필요한 조선, 일본의 전통 춤, 노래, 시조, 예절 등을 가르쳐주며, 졸업과 동시에

  기생의 자격을 부여했다.

  또한 기생들은 경성권번, 삼남권번과 같은 '권번'으로 정리되었는데, 경성에만 '4대 권번'이

  있었다고 한다. 권번은 일본인 여성들이 있는 유곽과는 엄격히 구별되었으며, 여타 문화권의

  근대식 성매매제도와 마찬가지로 정기적인 성병검진을 실시했다.

1.5.2 수입

  당시 기생들의 수입은 일본의 유녀, 게이샤의 1/3 수준이었지만, 조선인 여성 평균 임금은

  물론이고, 조선인 남성의 평균 임금을 상회하는 수입을 올렸다.

1.5.3 기생 사진집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인들은 '사라져가는 낭만의 나라 조선의 전통문화'로서 기생을 바라보았다 

  많은 일본인들이 유명한 기생들의 화보집, 엽서를 발행하여 많은 수입을 올렸으며, 잡지에서

  기생의 하루를 사진으로 찍어 팔기도 하였다.실례로 드라마 경성스캔들에서는 잡지사 사진

  기자와 편집자가 잡지에 실을 기생 사진을 찍는 이야기가 나온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민족말살정책으로 권번도 강압적으로 폐지되어 전통예악을 하는

  기생제도는 점차 사라지고 성매매를 하는 유녀만 남게되었다.

1.6 현대

  1945년 이후 지금까지 조선 시대의 '기생'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명기로 이름을 날렸던 몇

  기생만이 해방 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통 예술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기생학교와 권번

  제도를 통해 기생을 유지하던 일본 제국주의가 한반도에서 물러간 후 일부 요정(고급 음식점)

  에서 특권층을 상대로 기생과 비슷한 식의 성매매를 했었고, 1970년대 일본인들이 남한에 기생

  관광을 하러 온 적도 있었다. 현재 성매매 산업의 대부분도 풍류 제공보다는 성매매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전 기생 제도와는 거리가 멀다.

2. 예술

2.1 기생문학

  황진이 등이 지었다는 시조가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그 외에도 김홍도, 신윤복 등의

  화가들이 기생을 대상으로 한 그림들을 그린 바 있다.

2.2 기생이 나오는 문학

  * 조선의 소설 춘향전에서 주인공 춘향의 어머니는 기생이다.

  * 일제 강점기 때 기생이 등장하는 일본 소설이 많이 발표되었다.

2.3 춘화

  춘화는 조선시대 후기 유행했던 민속화의 일종으로, 남녀간의 정사를 가감없이 표현하고 있다.

  춘화에 등장하는 여성의 대부분이 기생으로 춘화를 통해 당시 기생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의 유명한 화가인 신윤복과 김홍도도 기생과 관련된 그림을 많이 그렸으며, 이들이

  그린 춘화도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2.4 기생화보, 기생엽서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인들은 당시 서울과 평양 등에서 인기가 높았던 기생들의 화보집과

  엽서 를 만들어 판매했다.

  화보와 엽서에 등장하는 기생들은 하나같이 조선의 전통 복장을 입은 소녀의 모습으로 나오는데,

  기생 연구가 가와무라 미나토는 이것을 도상학적으로 분석해 볼 때, 점령국 남성이 식민지

  여성을 도구화하는 전형적인 제국주의적 시선을 따르고 있다고 하였다.

3. 참고 문헌

  * 가와무라 미나토, 《말하는 꽃, 기생》,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