記行·탐방·名畵/기행·여행.축제

[해외문화 기행] (4) 루브르 박물관의 재발견‥루브르를 폐허로 만든 남자 로베르…

바람아님 2013. 7. 30. 18:50
그의 기묘한 상상력이 피라미드에까지…
루브르 최초의 큐레이터 위베르 로베르
18세기말 남프랑스 풍경에 로마의 폐허 결합한 그림으로
엘리트 귀족들의 뜨거운 반응 이끌어                


폐허가 된 루브르라….이런 엉뚱한 상상의 주인공은 18세기 말 프랑스의 풍경화가 위베르 로베르이다. 그는 1790년을 전후해 루브르 궁을 상상적으로 재구성한 풍경화를 10여 점이나 그렸다.

그는 왜 이런 기괴한 이미지에 몰두했던 것일까? 또 대중은 왜 이런 낯선 이미지에 열광했던 것일까? 사실 그의 기벽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었다. 얌전한 외모와는 달리 어려서부터 멋진 풍경을 보면 화폭에 담아야만 직성이 풀렸던 이 화가는 아버지의

상전이었던 스텡빌 후작의 후원으로 21세 때 로마의 프랑스 아카데미 유학을 떠났다. 후작은 당시 루이15세 조정에서 외교를

담당한 유력자였으니 로베르는 일찌감치 출세의 든든한 배경을 갖게 된 셈이었다.

그는 로마에 머무르는 동안 조반니 파올로 판니니,피라네시 같은 폐허 이미지의 대가들과 교류하면서 상상적 풍경화에

매료된다. 폐허 이미지는 인간에 의해 자행된 파괴와 덧없는 시간을 상징한다. 르네상스기의 화가들은 그리스 로마 문명으로

대표되는 고대 세계의 몰락과 새로운 질서의 승리를 상징하기 위해 폐허의 이미지를 이용했다.

예수의 생애를 다룬 기독교 성화들이 고대의 폐허 이미지를 배경으로 자주 설정한 것 역시 기독교적 진리의 영원성과 그리스

로마로 대변되는 이교 문화의 한시성을 대비시키려는 의도에서였다.

특히 이탈리아 화가 판니니에 의해 폐허 이미지는 상상적으로 재구성된다. 그는 우리에게 친숙한 장소에 폐허가 된 그리스의

건축물들을 옮겨놓았다. 로마의 팡테옹 옆에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이 천연덕스럽게 이웃하고 있는 광경의 기묘함이란!

그것은 종로 한복판에 석굴암을 옮겨다 놓은 것과 다름없는 일이었다.

판니니의 기발한 착상은 동시대 사람들을 열광하게 했다. '카프리치오(Capriccio · 기발한 상상화)'로 불리는 새로운 장르는

이렇게 탄생했다. 이 시기에 카프리치오가 유행한 것은 당대에 이뤄진 폼페이와 헤라클레눔 같은 고대 도시의 발굴,여행을

통한 그리스 문명의 재발견 덕분이다.

카프리치오는 기벽을 추구하는 로베르의 기질에 딱 맞는 것이었다. 로베르는 귀국 후 파리와 남프랑스의 풍경에 그리스 로마의

폐허를 결합한 기발한 이미지 제작에 몰두하는데,이것이 엘리트 귀족들의 열렬한 반응을 얻게 된다. 그리스 · 로마 문화에 대한

동경심을 충족시키는 데 이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은 없었던 것이다.

이후 그는 왕실 미술품 관리의 책임을 떠맡게 되는 등 출세 가도를 달리지만 프랑스 대혁명 후 왕당파로 몰려 감옥에 갇히는

신세가 된다. 그러나 운명의 신은 그를 외면하지 않았다. 그는 혁명정권에 의해 사형을 언도받았는데 정작 단두대에 오른 것은

같은 이름의 다른 사람이었다. 형리들의 실수로 목숨을 건진 것이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 수립된 혁명정부는 1793년 왕실이 보유한 미술품을 모두 수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루브르궁의 그랜드

갤러리에 대중 박물관을 만들었다. 이것이 오늘날 루브르 박물관의 효시다. 로베스피에르 실각 후 로베르는 루브르 박물관의

운영을 책임질 5인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됨과 함께 루브르 최초의 큐레이터가 된다.

이렇게 해서 로베르는 지금은 이탈리아 회화가 전시돼 있는 그랜드 갤러리의 리노베이션을 맡게 되고,그 디자인 구상 과정에서

기발한 상상을 동원한 작품을 탄생시킨다. '폐허의 루브르 대회랑,그 상상적 풍경'은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을 보면 정교한 선 투시법으로 묘사된 루브르의 대회랑이 눈길을 끈다. 회랑에 늘어선 열주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1000년도 안 된 루브르궁의 공간이 마치 2000년 이상 된 그리스의 고전기 신전인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회랑 앞 오른쪽에는 왼팔을 뒤로 젖힌 누드의 조각상이 서 있고,왼쪽에는 그 유명한 '벨베데레의 아폴로 상'이 우아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회랑의 한가운데서는 마침 한 화가가 아폴로상을 스케치하고 있다. 한때 그리스인의 숭배 대상으로 그들의 삶을

지배했던 아폴로 신은 이제 예술품으로 전락해 한낱 화가의 심미안을 충족시킬 따름이다. 아폴로의 우아한 제스처는 과거의

영화를 보여주지만 한편으론 인간 문명의 한시성을 일깨우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로베르가 루브르 박물관의 폐허 이미지를 상상한 데는 고대의 지혜를 당대 현실에 접목하려는 또 다른 의도가 내포돼

있었다. 리노베이션을 담당했던 건축가들은 로베르의 충고를 따라 자연 채광을 중시한 고대 건축의 원리를 적용했다. 그랜드

갤러리 천장에 장방형의 유리창을 만들어 자연광이 전시 공간에 쏟아지게끔 한 것이다. 그래서 지금도 우리는 루브르의 그랜드

갤러리에서 산뜻한 자연광의 애무를 받으며 마치 야외를 산책하는 듯한 색다른 체험을 할 수 있다.

더욱이 로베르의 기발한 상상력과 고대 문화의 현대적 계승정신은 중국계 미국인 건축가 아이 엠 페이가 설계한 유리

피라미드를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방문객들은 루브르궁 안마당에 떡하니 버티고 있는 이집트 문화의 유산을 통해 박물관에 들어서면서 기묘한 상상의 즐거움을

맛보게 된다. '폐허의 사나이' 로베르가 우리에게 안겨준 유쾌한 선물인 것이다.

정석범 <미술사학 박사>

[한경기사 바로가기]


 

[큰 이미지 사진]

 

 

위베르 로베르 Hubert ROBERT(1733 - 1808)
[폐허가된 루브르 그랑갤러리의 상상도] Imaginary View of the Grande Galerie in the Louvre in Ruins
1796, Oil on canvas, 114,5 x 146 cm
Musee du Louvre, P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