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이론 물리학자이자 대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과학자의 자서전치고는 무척 간결하다. 총 192쪽 가운데 역자 후기와
용어 해설을 빼면 157쪽. 사진과 문서 등 다양한 자료가 수록돼 있어 텍스트는 그보다 더 적다. 원서 출간과 동시에 국내에
소개된 스티븐 호킹(71)의 첫 자서전 '나, 스티븐 호킹의 역사'(원제 My brief history)는 그의 생애와 학문적 성과, 그리고
사생활을 둘러싼 루머 등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원했던 이들에겐 어쩌면 실망스러울 수도 있다. 하지만 전신마비와 기관절개
수술로 인해 컴퓨터와 음성합성기를 통해 1분에 최대 세 단어를 말하고 쓸 수 있을 뿐인 그가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혼자서
집필한 첫 육성 기록이란 점에서 어떤 방대한 자서전보다 깊은 진정성과 큰 울림을 느낄 수 있다.
호킹은 옥스퍼드대에서 의학을 공부한 아버지와 의사 집안 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출생 배경부터 수학과 물리학에 관심
이 많았지만 성적은 중간 정도였던 중·고등학교 시절, 그리고 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에서 우주론을 연구한 과정 등을 소개
한다. 자신의 출생 연도(1942년)가 갈릴레오 사후 300년이 된 해라든가 친구들이 아인슈타인이란 별명을 지어줬다는 점을
언급한 대목에선 남다름을 강조하고 싶은 인간적인 면모도 드러난다.
스물한 살에 발병한 루게릭병은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꿨다. "병을 진단받기 전에 나는 삶이 몹시 지루했다. 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는 듯했다. 그러나 병원에서 퇴원한 직후, 나는 처형을 앞둔 죄수가 된 꿈을 꾸었다.(중략) 어차피 죽을
거라면, 좋은 일을 하는 편이 낫지 않나 싶었다."(64쪽) 호킹은 30대 초반에 손이 마비돼 머리로만 연구를 진행하고, 40대 초반
에는 목소리마저 잃는 열악한 상황에서도 우주론 연구에 매진해 빅뱅과 블랙홀 연구의 대명사가 됐다.
그는 "루게릭병 진단을 받았을 때 나는 몹시 부당하다고 느꼈다. 왜 하필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야 하는가? 당시에 나는 내 삶
이 끝났고 내가 느끼는 나의 잠재력을 결코 발휘하지 못하리라고 생각했다"면서 "그러나 50년이 지난 지금 나는 내 삶에 대해서
평온하게 만족할 수 있다"고 고백한다. 그러면서 "나의 장애는 과학연구에서 심각한 걸림돌이 아니었고,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장점이었다"고 말한다.
실패로 끝난 두 번의 결혼에 대해서도 털어놓는다. 발병 초기에 만난 첫 아내 제인 와일드는 삶의 의지를 북돋워준 소중한 인연
이었다. 하지만 제인이 동네 청년과 가까워지자 그는 간호사 일레인을 데리고 집을 나왔다. 자신이 죽은 뒤 세 아이를 부양할
누군가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제인의 변심을 받아들인 것이다. 호킹은 1995년 일레인과 재혼했지만 2007년 헤어졌다. 항간에는
일레인이 호킹을 학대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호킹은 책에서 "나와 일레인의 결혼 생활은 격정적이고 파란만장했다"고만
간단히 언급했다.
전 세계에서 1000만부가 팔려 현대의 고전이 된 '시간의 역사' 출간(1988년)에 얽힌 비화도 소개했다. 그는 "일반 독자를 겨냥
해 우주에 관한 책을 쓸 생각을 처음 품은 것은 1982년"이라면서 이왕 시간과 노력을 들여 쓸 작정이라면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읽게 하고 싶어 '공항 서점에서 팔릴 만한 책'을 쓰려고 했다고 밝혔다. '시간의 역사'를 완성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날 뻔한 아찔
한 순간도 있었다. 1985년 스위스에 있는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CERN)로 이동하던 중 폐렴에 걸려 주립병원으로 옮겨졌을 때
병원 의료진은 가망이 없다며 인공호흡기를 뗄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제인이 이를 거절하고 구급항공기편으로 케임브리지로
옮겨 회복될 수 있었다.
호킹은 책에서 중력파 분출 탐지, 빅뱅, 블랙홀, 시간여행 등 자신이 연구한 이론들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노벨상을 받지 못한 데
대한 소회도 밝혔다. 그는 "대다수의 이론물리학자는 양자 방출이 일어난다는 나의 예측이 옳음을 인정할 것이다. 비록 그 방출
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내가 아직 노벨상을 받지 못했지만 나는 노벨상보다 더 값진 기초물리학상(2012
년)을 받았다"고 썼다.
세계 곳곳을 여행하고, 무중력 비행을 경험한 것도 모자라 우주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그는 "이론물리학을 연구하며 살아온
세월은 영광스러웠다"면서 "내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무언가를 보탰다면, 나는 행복하다"고 글을 맺었다.
'生活文化 > 그때그일그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작품]'시선 끄는 건물이 좋은 건물', 운생동의 건축작품 (0) | 2013.09.16 |
---|---|
'썩지 않는' 소녀 시신, 비밀은 주사 '한 방' (0) | 2013.09.15 |
9월 '메밀꽃 필 무렵'..그 하얀 꽃밭으로 (0) | 2013.09.13 |
'광주 환벽당(環碧堂) 일원' 명승 지정 예고 (0) | 2013.09.12 |
아우슈비츠수용소장의 딸, 40년간 숨어 지낸 사연 (0) | 201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