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橫設竪設

[일사일언] 제주 女神 '가믄장아기'

바람아님 2014. 12. 2. 09:33

(출처-조선일보 2014.12.02 김행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원장)


[일사일언] 제주 女神 '가믄장아기'전국성평등협의회 준비총회가 제주에서 열렸다.
겸사겸사 제주여성역사문화전시관도 방문했다. 
여러 전시 공간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신화관에는 제주의 창조신 '설문대할망' 등 
여신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이 중 '가믄장아기'는 딸만 셋인 가난한 집 
막내딸로 태어난 여신. 부모가 나무바가지 들고 
다니며 동냥해 키웠다고 해서 
'나무바가지 아기'로도 불린다. 
'가난'과 '여성'이라는 이중의 결핍된 존재다.

어느 날 부모는 딸 셋에게 
"누구 덕에 먹고 사느냐"고 물었다. 
첫째와 둘째 딸은 "하늘과 땅, 부모 덕"이라 말했다. 
그러나 '가믄장아기'는 "하늘과 땅, 부모 덕이기도
하지만 내 배꼽 아래 선그뭇(음부·陰部) 덕에 
먹고, 입고, 행동한다"고 답한다. 
당당하게 성 정체성을 주장한 '가믄장아기'는 
화가 난 부모에게 쫓겨난다. 
그 후 부모는 눈이 멀고 거지가 된다. 
갖은 고생 끝에 거부가 된 '가믄장아기'는 
'거지 잔치'를 열어 부모와 재회한다. 해피엔딩. 
신화가 갖는 긍정의 힘이다. 그런데 참 당돌한 신화다. 
과문한 탓인지 여성의 생식기에 대해 이처럼 돌직구를 던지는 신화는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한말(韓末) 제주에 온 미국인들은 이곳을 '조선의 아마조네스'라고 했나 보다.

김행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원장
척박한 화산섬 제주엔 유독 신화가 많다. 
1만8000여 신(神)의 태반이 여신이다. 
먼바다로 나간 남자들은 돌아오지 못하고 가난했던 제주엔 돌·바람·여자들이 남겨져서다. 
여자들은 맨몸으로 바다로 들어가 소라·미역·전복을 채취했다. 
거친 생존환경에 지친 여자들에겐 신화가 필요했다. 
생명과 풍요와 위로의 상상물인 강한 여신이. 
그렇게 탄생한 여신이 '설문대할망'이고 '가믄장아기'다. 
사회학자 질베르 뒤랑은 "신화라는 것은 인간의 원초적인 상상력의 진정한 활동이며 
원초적 인간 정신활동의 보편적인 표현양식"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가믄장아기'에 대한 학예사의 설명에 얼굴이 붉어진 육지 참석자들이 "제주에선 성평등이 필요 없네"라며 박장대소했다. 
그러자 설문대여성문화센터 고순아 소장, 목소리가 잦아든다. 
"요즘엔 육지의 가부장 문화가 엄청 들어왔다"며. 애고고!


============================= 제주의 설화 (제주 개념 용어)(說話) ============================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구전(口傳)되어 내려오는 허구적인 이야기의 총칭.


[개설] 제주도의 노인층에게는 설화니, 신화니, 전설이니, 민담이니 하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 

다만 ‘옛말’이라는 말이 있을 뿐이다. 이 ‘옛말’이라는 말 속에는 신화, 전설, 민담이 전부 내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속담·금기담·예조담(豫兆談) 등의 뜻까지 모두 담겨져 있다.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 세 가지로 분류된다. 

이것들은 모두 산문적인 이야기로 전승되며 화자(話者)와 청자(聽者)가 서로 대면하여 이야기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일부 사실적인 측면이 있으나 모두 허구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허구성을 띠고 있는 이야기라는 면에서 보면 구비 문학이요, 그 문학을 사상적인 면에서 보면 철학이다. 

따라서 제주도의 설화는 제주도라는 특수한 풍토 조건과 역사적 상황에서 삶을 영위해 온, 제주도민의 꿈이요, 

문학이며 철학이라 할 수 있다.



[특징]

제주 설화의 특징은 자연 전설과 역사 전설에서 찾을 수 있다. 

아흔아홉골 전설에서는 자연의 생김새로 인해 제주에서 왕이나 인물이 나지 않는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는데, 

이는 풍수지리적인 숙명관의 표현이라 하겠다.


역사 전설은 주로 장사에 관한 이야기이다. 

주인공들은 허기져 죽어가는 장사로 설정되는데, 용담동의 「말머리」 전설이 그 예이다. 

천성적으로 장사로 태어났지만 제주라는 한계로 타고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일찍 죽을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한계 의식은 제도적 한계로만 나타나지 않고 숙명관으로도 결정지워지는데, 풍수 설화가 그러하다. 

제주의 풍수 설화는 설촌(設村) 유래, 선조의 묏자리로 인한 후손들이 받은 혜택 등으로 나뉜다.


또한 ‘절 오백 당 오백’이라 할 만큼 많았던 절과 당의 영향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설화가 「용소와 기우제」이다. 

고대장이라는 무당이 용소에 용의 꼬리를 내리고 굿을 하여 비를 오게 했다는 내용은 용소의 효능을 보여준다.


관덕정을 지을 때 사람을 희생으로 했다는 설화는 에밀레종 전설과의 관련성이 엿보이며, 

나아가 희생제(犧牲祭) 설화의 전파를 상정하게 한다. 

또한 세계적 광포설화인 나무꾼과 선녀 설화와 유사한 방선문 설화는 주변국과의 교류를 상정케 한다. 

제주시에서 가장 대표적인 설화는 삼성 신화이다. 

삼성 신화는 문헌 신화에 속하며 제주의 상고사를 이해하는 기본 자료이다.



[참고문헌]

장덕순 외, 『구비문학개설』(일조각, 1971)

현용준, 『제주도 신화』(서문당, 1976)

『제주시 50년사』 (제주시, 2005)

松村武雄, 『神話學原論』(培風館, 1948)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