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다니엘 린데만의 비정상의 눈] 비판과 조언은 큰 차이가 있다

바람아님 2015. 12. 11. 00:26
중앙일보 2015-12-10

다른 나라에서 생활하면 이런저런 문화 차이를 더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 나는 웬만하면 모든 문화 차이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려고 노력한다. 그 나라의 손님으로서 다양한 요구에 맞추려고 애쓴다. 그러나 최근 부쩍 자주 느끼는 문화 차이가 하나 있다. 이는 자칫 한국인과 외국인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도 있는 것이어서 언급해 본다.

 바로 비판의 방식이다. 일상생활에서 지금까지 “그런가 보다” 하고 별생각이 없었지만 하루에 세 번이나 이런 경우를 보았기 때문에 한 번 더 생각하게 됐다.


다니엘 린데만 JTBC ‘비정상회담’ 출연자
다니엘 린데만 JTBC ‘비정상회담’ 출연자

 

한국에선 일이 잘못됐을 때 “왜 이렇게 못해? 바보야”라고 직접 혼내는 경우, “이거 잘 못하시네”라고 점잖게 놀리는 경우, “그 사람 봤어? 진짜 못하더라!”라고 다른 사람들이 듣는 데서 비난하는 경우 등이 종종 있는 것 같다. 특히 셋째의 경우, 적은 사람 앞에서 이런 말을 듣는다면 괜찮을 수도 있겠지만 수많은 사람 앞에서 이런 비난과 놀림을 받았다면 당사자는 상당히 불편하고 창피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다. 한국인들은 ‘우리’나 ‘정’과 같은 개념 때문에 이런 말을 심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앞으로 함께 더 발전하고 더 성장하자는 각오로 쓰는 것 같다. 다만, 서양인에게 이런 말을 할 경우 달리 받아들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서양권에서는 이런 직설적인 비판을 잘 하지 않기 때문이다. 잘 못하는 부분이 있으면 먼저 잘하는 부분을 언급한 다음에 좀 더 개선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마지막으로 덧붙이는 문화가 있다. 서로 상대방을 존중하는 문화다. 그래서 외국인에게 “너 되게 못하더라”라고 얘기하면 쉽게 상처받는 것은 물론 그 말을 한 사람과 사이가 멀어질 수도 있다.


 이런 직설적인 비판 대신에 친절하게 조언을 하는 건 어떨까? 똑같이 성장하고 발전했으면 좋겠다는 의미로 사람에게 친절하게 얘기하면 오히려 큰 힘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 세상에는 완벽한 사람이 없다. 따라서 “너 되게 못하더라”라는 말은 듣는 사람에게 “그럼, 너는 다 잘하고 완벽해?”라는 반발을 부를 수 있다. “잘했는데, 다만 이런 부분은 다음부터 고치면 좋겠다. 그러면 정말 완벽할 것 같다”라고 말해 주면 듣는 사람도 “그래, 다음부터 더 잘해 보자”라는 생각을 저절로 하게 될 것이다. 직설적인 비판보다 조언을 하는 건 사회적으로도 중요하다. 그런 말투가 더욱 많아지면 다른 사람의 명예를 더욱 배려하는 사회가 되지 않을까 싶다.


다니엘 린데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