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석, Fantasiless_performance, 2014년
실제 꽃이 아닌 꽃 글자를 조각으로 만들어 물을 주는 행위는 어떤 의미일까? 그리고 검은색 꽃 글자 문양을 관객들이 밟고 지나가게 한 의도는 무엇일까?
보통 사람들에게 꽃은 아름다움, 희망, 평화, 인생의 절정, 또는 허무함을 상징한다. 그런 이유에서 꽃을 지나치게 미화시키거나 자신의 욕망과 환상을 투영시키는 대상으로 삼기도 한다. 장준석은 감상적인 대상으로만 느껴지는 꽃이 아닌 꽃의 본성과 순수한 아름다움을 미술에 표현하고 싶었다.
꽃 글자의 자음과 모음(ㄲ, ㅗ, ㅊ)을 레이저로 오려내고 자동차 도색용 페인트를 칠해 인공미를 강조한 것도, 관객들에게 ‘꽃’ 글자 문양을 밟게 한 것도 인간이 꽃에 부여한 감각적인 면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한편 ‘꽃’ 조각에 물을 주는 행위에는 존재의 참모습을 추구하겠다는 예술가적 소망이 담겨 있다. 꽃 글자의 형상을 빌려 존재의 의미를 탐구한 장준석의 작품은 김춘수의 시 ‘꽃’에 나오는 문장들을 떠올리게 한다.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장준석의 꽃은 철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이다. 그래서 꽃을 감상의 대상이 아닌 인식의 대상으로 바라보게 한다.
이명옥 한국사립미술관협회장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이 있는 아침] 여행은 영감의 원천 (0) | 2014.08.24 |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131] 술에 의지했던 도시 노동자의 초상 (0) | 2014.08.23 |
[김영나의 서양미술산책] [19] 러시아 혁명과 말레비치 (0) | 2014.08.20 |
[김영나의 서양미술산책] [18] 메디치와 록펠러 김영나 서울대교수·서양미술사 (0) | 2014.08.19 |
[김영나의 서양미술산책] [17] 우사인 볼트와 제우스 (0) | 201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