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마누엘 칼럼] 스마트폰 없는 한국 중앙일보 2018.12.07. 00:34 단순화된 정보에 빠져들수록 진짜 현실의 문제에서 멀어져 생각하지 않는 사회 막으려면 스마트폰의 폐해 심각히 봐야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지구경영연구원 원장 스마트폰이 없는 한국을 상상해 보자는 제안을 할 때마다 한국인들은 내게 무슨 엉뚱한 소리냐.. 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2018.12.09
[임마누엘 칼럼] '수학'이 다스리는 나라 대한민국 중앙일보 2017.06.24. 02:02 한국에서 가치를 매기는 것은 숫자 인간 체험을 순위로 평가하면 '폭력' 부패 막으려 수치가 필요했겠지만 이제 '뉘앙스' 있는 평가 방식 필요 임마누엘 패스트라이쉬경희대 국제대학 교수 나는 우리 학생들이 미래를 걱정하며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하다.. 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2017.06.25
[임마누엘 칼럼] 한국에는 기술보다 과학적 사고가 필요 [중앙일보] 입력 2017.04.22 01:44 임마누엘 패스트라이쉬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 오늘은 ‘지구의 날’이다. ‘과학을 위한 행진’이 부산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진행된다. 과학과 과학적인 사고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행사다. 한국인들은 내게 한국이 이룩한 최신 기술을 자랑한다. 혹.. 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2017.04.24
[임마누엘 칼럼] 한국을 둘러싼 역사 주기 5개의 종언 중앙일보 2017.04.01. 02:08 대통령 임기나 보수 집권 종료보다 중요한 변화의 원인은 장기적 주기 글로벌리즘·서구 쇠퇴하는 시대에 지식인이 나서지 않으면 혼란 가중 임마누엘 패스트라이쉬경희대 국제대학 교수 요즘 내가 만나는 한국 사람들은 혼란스러워한다. 그들이 이처럼 당혹스러.. 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2017.04.01
[임마누엘 칼럼] 무엇이 박근혜를 추락시켰는가 [중앙일보] 입력 2016.11.12 00:01 식자층 수동성이 통제 불능 낳아 인물·정책 아니라 정치문화에 문제 염치 사라지고 문화와 도덕은 퇴락 높은 윤리성으로 정치인 압박해야 임마누엘 패스트라이쉬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 우리가 그저 ‘내가 옳았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게 아니라 앞으로 나.. 時事論壇/時流談論 2016.11.14
[임마누엘 칼럼]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부활시키자 [중앙일보] 입력 2016.10.22 00:01 한국은 기후변화 문제 대응 위해 새로운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필요 기존 습관·문화 체제까지 바꾸면 한국은 글로벌 혁신 모델 될 것 임마누엘 패스트라이쉬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 한국 최고의 인재들이 꼼꼼하게 기술개발 계획을 짜던 때가 있었다. 경제개.. 時事論壇/핫 이슈 2016.10.23
[임마누엘 칼럼] 미래에 한국은 무엇을 수출할 것인가 중앙일보 2016-2-13 한국의 수출이 1월에 18.5%나 줄었다. 기록적인 급락이었다. 한국인들은 경제발전을 수출로 측정하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집단적으로 등골이 오싹함을 느꼈다. 수출 감소는 심각한 도전이다. 하지만 반전을 위한 더 많은 투자가 과연 해결책일까. 근본적인 전략 수정이 필..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2.13
[임마누엘 칼럼] 여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 한국의 위기 [중앙일보 2015-1-24 일자]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끝없이 추락하는 출산율 문제를 해결하려는 국가 차원의 노력이 매번 물거품이 되고 마는 괴로운 현실이다. 이를 어떻게 풀 것인가를 놓고 한국은 고민하고 있다. 정부는 2006년 이래 100가지도 넘는 정책을 추진하.. 時事論壇/時流談論 201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