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업 일수 감소가 수출엔 악영향이라는 우려도 있었다. 하지만 정부는 이미 수출 부진으로 제조업 공장 가동률이 낮아 소비심리를 끌어올리는 편이 경제에 더 긍정적이라고 봤던 듯하다.
경제적 효과는 플러스, 마이너스해서 따져 보면 좋았을 수 있다. 이와는 무관하게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상대적 박탈감이다.
유망 수출기업인 N사도 납기를 맞추기 위해 이날 임직원이 전원 출근해 일했다. 영업이익과 매출이 모두 괜찮은 이 회사 직원들은 대체휴일 수당이라도 챙겨 다른 곳보단 사정이 나았다. N사 대표는 “돈 더 주는 게 문제가 아니라 다들 쉴 때 못 쉬는 직원들을 보는 게 속상했다”고 털어놨다.
다른 많은 중소기업 직원들은 6일 수당도 못 받고 일해야 했다. 직원들을 출근시켰던 중기 사장들이라고 미안하지 않았겠는가.
얼마나 많은 중기 종사자들이 황금연휴 혜택에서 소외됐는지는 알 길이 없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연휴 전인 지난달 말 중기 350곳을 대상으로 ‘임시공휴일 휴무계획 조사’를 했을 뿐이다. 이에 따르면 36.9%의 중기만이 휴무에 참여할 계획이었다. 미참여 이유로 50.3%가 “하루만 쉬어도 생산량·매출에 타격이 있어서”라고 했다. “갑작스럽게 결정돼 생산계획 변경이 어려워서”라는 응답도 34%였다.
연휴 후 실제 휴무 여부는 조사되지 않았다. 중기중앙회 입장에서는 정부가 “임시공휴일 지정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는데 거기에 ‘초’를 치는 결과를 내놓기가 꺼려졌을 수도 있다.
임시공휴일을 지정한다고 할 때 못 쉬는 중소기업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하지만 임시공휴일 지정이 10여 일 전 황급히 이뤄지며 이런 논의는 실종됐다.
정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청년 구직자들이 대기업에만 몰리는 데 대해 말한다. “중소기업을 꺼리는 것은 연봉, 미래에 대한 비전, 근무여건 이런 것들이 총체적으로 미흡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어찌 청년들의 등만 떠밀 수 있나. 정부가 중기를 대신해 실질적인 유인책을 내놔야 한다.”
정부는 중기 취업자 1만 명에게 1인당 900만원씩 쥐여주는 정책까지 오는 7월 도입하기로 했다. 그런데도 허겁지겁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 중기에 대한 배려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니 어찌 된 일인가. 청년 구직자들의 입장에선 ‘그것 봐라, 중기 가면 고생이다’는 생각이 들지 않겠나.
지난 6일의 임시공휴일이 청년 구직자들에게 중기를 피해야 할 ‘또 하나의 이유’를 만들어준 게 아닌지 정부는 되돌아봐야 한다.
최지영 경제부문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