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기식 학습법 고집… 소수정예 인문학 배움터 '건명원'의 실험
동서양 고전 통째로 암기
한문·라틴어 原典 외워 "사유의 지평이 완전히달라지는 경험 할 수 있어"
'공부 모임 르네상스'다.
일반인들이 모여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공부하고 직장인들은 경쟁력 있는 보고서를 쓰겠다며 '글쓰기 교실'에
몰려들고 있다.
대기업 최고경영자들과 임원들이 대학 개설 '인문학 최고 과정'을 찾는 건 이젠 흔한 일이 됐다.
숱한 공부 모임 중에서 지난 3월 출범한 '건명원(建明苑)'은 유난히 튄다.
가장 핵심적인 학습 방법으로 암기를 강조한다.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전문을 암기하고 키케로·플루타르코스 같은 작가의 라틴어 원전(原典)을 통째로 외우는 식이다.
일종의 현대판 '스파르타식 서당(書堂)'인 셈이다.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학업을 따라오지 못하면 가차없이 탈락시키고 개인 사정은 안 봐줄 정도로 학사 관리도 혹독하다.
매주 출석과 시험·과제 점수를 종합해 부적격 수강생을 걸러낸다. 벌써 4명이 탈락했다.
과정이 끝나는 오는 12월에 몇 명이 살아남을지 아무도 모른다.
고리타분한 인상을 주는 동서양 고전, 이미 오래전부터 퇴물 취급을 받았던 암기식 교육 방법….
그런데도 여기서 교육을 받겠다는 지원자가 1000여명이나 몰렸다.
이 중 30대1이 넘는 경쟁률을 뚫고 19~29세 대학생·직장인·주부·군인 30명이 뽑혔다.
학점과 스펙, 취업만이 유일한 선(善)이자 가치로 취급받는 우리 사회에서 고전이라는 콘텐츠와 암기식 교육은
과연 어떤 매력과 위력이 있는 것일까.
지난 26일 서울 종로구 가회동 건명원에서 최진석 원장(서강대 철학과 교수·맨 왼쪽)이 수강생들에게 암기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최 교수는 “반복과 암기를 통해 텍스트에 숨겨진 의미의 핵심으로 돌파해 들어갈 수 있다”고 했다. / 이진한 기자 |
지난 26일 오후 9시쯤. 서울 종로구 가회동 한옥마을의 한 모퉁이를 돌자 불을 환하게 밝힌 한옥 한 채가 눈에 들어왔다.
이윽고 건명원 원장 최진석(서강대 철학) 교수가 시험지 뭉치를 들고 들어왔다.
서울대에 재학 중인 송승근(25)씨는 "한문 암기 시험을 4주째 보는데 볼 때마다 어렵고 외울 때마다 힘들다"며
건명원이 암기식 학습법을 고집하는 이유는 암기야말로 사람을 진정한 배움의 경지로 이끄는 소중한 길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서양 고전과 종교학 강의를 맡은 배철현(서울대 종교학) 교수는
"창의성은 훈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술 작품 속에서 진리 또는 비(非)진리의 출현을 기술(記述)해볼 수 있는가?"
이날 1교시에 '예술, 삶 안에 들어있는 거대한 번데기'라는 주제로 강의한 서동욱(서강대 철학) 교수가 이런 질문을 던졌다.
건명원 교수진은 훈련 원칙으로
처음 수강생들은 '너무 어렵다' '양이 비인간적으로 많다'는 반응을 보였다.
현대판 ‘스파르타식 서당’으로 불리는 건명원 모습. 건명원은 오정택 두양문화재단 이사장이 가회동 한옥을 포함한 사재 100억원을 출연해 설립했다. / 이진한 기자 |
건명원 교수진은 "훈련의 목적은 단지 창의성을 기르는 데만 있지 않다"고 했다.
건명원은 지난겨울 수강생을 모집하며 "'시대의 반역자' '창의 전사(戰士)'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최진석 교수는 "의심과 질문이야말로 자기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드러내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수강생들이 '의문의 근육'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들은 기존 상식을 뒤집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콜럼버스 위인전 보면 '당시 미신적인 유럽 사람들이 세계가 평평하다고 믿었던 반면 콜럼버스는 이미
주경철 교수는 당시 유럽인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직장인 강신우(28)씨는
공동체 운명, 공부에 달려
건명원은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조국이 더는 이런 후진적 비극을 겪어선 안 된다'고 생각한
그는 이후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가회동 한옥을 배움터로 내놨다.
배철현 교수는 "건명원은 단지 취업에 유리한 '스펙 한 줄'을 위한 곳이 아니다"며
김개천 교수는 "진정한 공부는 개인의 지적 유희나 성취에 머무르지 않고 타인과 공동체의 삶을 함께 고민하는 것"이라며
대학생 신수안(21)씨는 "건명원에 들어오기 전엔 낯설고 생소한 대상과 마주하면 두려운 마음부터 들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