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2011.04.03 이주향 | 수원대 교수·철학)
ㆍ소박한 시골 생활의 힘
저기, 무슨 말이 필요할까요? 그저 한 번 따라해보고 싶습니다.
시야를 가리는 것이 없는 넓은 평야에 서서, 멀리서 들리는 은은한 저녁 종소리에 맞춰 홀린 듯이 손을 모아보는 일!
편안한 신발, 편안한 옷이면 좋겠습니다. 감자밭을 뒹굴어도 아깝지 않은! 일을 하고 손을 모으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아는, 편안한 사람과 함께라면 더 좋겠지요? 맨 얼굴이 부끄럽지 않고, 격식을 차리지 않은 옷을 누추하게
느끼지 않는 좋은 사람과! 아, 땀 흘려 일한 직후라면 더더욱 좋겠습니다.
모자를 벗고 고개를 숙이고 손을 모으는 행위에 좀 더 힘이 붙을 테니까요.
저기 저 밀레의 만종엔 소박한 시골생활의 힘이 있습니다.
우아하고 품위있게 살게 하지는 못하지만 땅을 살피고 생명들을 보살피고 종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살게 하는 힘!
그러다 보면 직관을 믿게 되고 내면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게 되고 매사 감사하게 되지요.
그래서 고흐가 그토록 저 그림을 좋아했나 보지요? 고흐가 사랑한 그림들이 있습니다.
행복으로 충만한 여자의 표정과 남자의 손동작이 인상적인 ‘유대인 여자’, 그리고 저 그림 ‘만종’입니다.
그러고보니 저 그림의 정서가 ‘감자 먹는 사람들’과 통해 있지 않습니까? 산다는 것이 가난을 뜻한다 해도, 그 누구에게도
주목받지 못하는 보잘것없는 것이라 해도 생을 아끼며 사랑하며 누리며 기꺼이 받아들이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함 말입니다.
장 프랑수아 밀레, ‘만종’, 1857~59년, 캔버스에 유채,
55.5×66㎝, 오르세 미술관, 파리
만종에 관한 풍문을 들었습니다.
저 감자 바구니가 원래는 아기의 관이었다나요?
누가 그런 얘기를 하나 했다니 어마어마하게도 그 근원에 살바도르 달리가
있네요. 저 그림을 본 달리는 뭔지 모를 불안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달리답습니다. 그 불안감은 적중해서 원래 저 바구니에 담겨 있었던 것은
감자가 아니라 배고픔을 참지 못하고 죽은 아이의 시신이었다는 거지요.
그것을 끔찍하게 여긴 밀레의 친구가 바꾸라고 조언해서 밀레가 바꾼
거라는 겁니다.
그 얘기를 읽으며 웃었습니다. 세상에, 그렇게 드라마를 만들기 전에는 저렇게 손을 모으는 일이 이해되지 않는 사람들이
있으니까요. 하긴 매일매일 밭을 갈고 생명을 돌보는 사람에게만 생기는 생에 대한 감수성 없이 밀레를 이해하기는
힘든 일입니다. 아마 달리는 ‘감자 먹는 사람들’을 보고도 불안감을 느꼈을 겁니다. 달리의 그림들을 보면 모든 선이 불안으로
흐르지 않나요? 밀레의 그림을 패러디한 달리의 ‘atavism at twilight’를 보십시오. 불안은 달리에게 친숙한 정서입니다.
나는 분명히 말할 수 있습니다. 달리의 감성은 밀레를 이해할 수 있는 감성이 아니라고. 자연을 믿고 운명을 믿고
가난하고 소박한 생활에 감사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정서가 그에게는 낯설고, 그래서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밀레는 다릅니다. 밀레는 가난하고 소박한 삶이 불편하지 않은 정서 속에서 나서 자란 사람입니다.
밀레는 생에 감사하는 농부들을 그리게 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옛날에 저녁종이 울리면 할머니는 언제나 일손을 멈추고 감사의 기도를 드렸어!”
저렇게 기도하는 손이 삶의 중심인 한 저들을 무너뜨릴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저들이 손을 모으는 것은 사람이 약해서
종교로 도망가는 일이 아닙니다. 저들은 사람을 믿고 생명 있는 것을 믿고 자연을 믿어서 초자연의 신비를 뱃심으로
간직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소소한 일상에서도 감사할 줄 아는 사람들입니다.
그러고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이 저 그림 ‘만종’을 좋아하는 이유를 알 것 같지요? 교과서에 나와 있는 유명한 그림이어서가
아니라 만종의 정서에 친숙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유전자는 어머니가, 어머니의 어머니가 매일 새벽 정화수를 떠놓고
하늘에 기도하고 땅에 기도하는 일이 어떤 일인지 알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박수근이 밀레를 좋아했고, 밀레를 좋아하는 우리가 박수근을 좋아하는 겁니다
장 프랑수아 밀레, ‘만종’ (클릭하면 큰 이미지 가능) | 달리의 ‘atavism at twilight’ (클릭하면 큰 이미지 가능) |
그림 너머 그대에게 : 세상 속 당신을 위한 이주향의 마음 갤러리 이주향/ 위즈덤하우스/ 2012/ 271 p. 650.4-ㅇ885극/ [정독]인사자실(2동2층)/ [강서]2층 | 책소개 그림으로 전하는 성찰과 위로의 시간! 세상 속 당신을 위한 이주향의 마음 갤러리『그림 너머 그대에게』. 이 책은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경향신문에 저자가 '이주향의 철학으로 그림 읽기'로 매주 연재했던 글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서양 미술을 매개로 신화와 종교, 철학 이야기를 오롯이 들려주고 있다. 구스타프 클림트의 ‘다나에’, 마르크 샤갈의 ‘거울’, 앙리 마티스의 ‘원무’, 에두아르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식사’,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 앙리 루소의 ‘뱀을 부리는 여자’, 마르크 샤갈의 ‘떨기나무 앞의 모세’, 빈센트 반 고흐의 ‘아를의 별이 빛나는 밤’ 등의 그림 속에 담긴 집단 무의식을 통찰하고, 신화 속에 갇힌 생의 지혜를 풀어내고, 종교 속에 숨겨진 세상의 비밀을 들춰 보인다. 그림 속에 담긴 다양한 생각들을 읽어보며 그 안에서 자신만의 새로운 세계를 만나볼 수 있다. <이주향 교수의 다른 저서> (이주향의)치유하는 책읽기 이주향/ 북섬/ 2007/ 251 p 029.8-ㅇ885ㅊ/ [정독]어문학족보실(2동1층) 사랑이, 내게로 왔다 : 이주향의 열정과 배반, 매혹의 명작 산책 이주향/ 웅진씽크빅 시작/ 2008/ 296 p 818-ㅇ885ㅅ | 위치 : [정독]어문학족보실(2동1층)/ [강서]3층 나는 길들여지지 않는다 이주향/ 명진출판/ 1996/ 262p 818-ㅇ885나/ [정독]어문학족보실서고(직원에게 신청) |
'人文,社會科學 > 人文,社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인 양칠성은 왜 인도네시아 독립군으로 죽었나 (0) | 2017.08.11 |
---|---|
[남정욱의 영화 & 역사] 책 읽는 사무라이, 日 근대화를 이끌다 (0) | 2017.08.10 |
[서지문의 뉴스로 책읽기] [60] '헬조선'을 조성하는 인간들 (0) | 2017.08.08 |
[임문영의 호모디지쿠스] 마윈의 점원 없는 편의점, 인간과 인공지능 일자리 싸움 시작인가 (0) | 2017.08.06 |
[행복산책] "소셜미디어 속 멋진 인생에 흔들리지 마라" (0) | 2017.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