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단독]일제는 왜 비단 수의(壽衣)를 죄인 상징하는 '삼베 수의'로 바꿨나

바람아님 2017. 8. 15. 10:08
[중앙일보] 입력 2017.08.14 11:52
조선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수의 모습. 삼베로 짓지 않아 부드럽고 하려하다. [사진 단국대]

조선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수의 모습. 삼베로 짓지 않아 부드럽고 하려하다. [사진 단국대]

 
일제가 죄인을 상징하는 삼베로 짠 수의(壽衣)를 어떻게 식민지 조선에 등장시키고 확산해왔는 지 등을 확인시켜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드럽고 화려한 전통 수의. [사진 단국대]

부드럽고 화려한 전통 수의. [사진 단국대]

 
관혼상제(冠婚喪祭)를 중시하는 유교 사상 속에서 왕실 뿐만 아니라 민간 역시 비단 등으로 수의를 마련해 부모의 시신을 감싸는 것을 ‘효’로 여겼지만, 일제에 의해 ‘죄인’ 등이 입던 삼베 수의로 상례문화가 격하·왜곡된 과정을 설명해준다. 

중국산 삼베 수의. 전통 수의에 비해 단조롭고 거친 느낌이다. [사진 단국대]

중국산 삼베 수의. 전통 수의에 비해 단조롭고 거친 느낌이다. [사진 단국대]


조선시대 분묘 출토과정. [사진 단국대]

조선시대 분묘 출토과정. [사진 단국대]


14일 최연우 단국대(전통의상학과) 교수의 「현행 삼베수의의 등장 배경 및 확산과정 연구」논문에 따르면 삼베 수의는 1925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교원 김숙당(金淑堂·여)이 쓴『조선재봉전서(朝鮮裁縫全書)』를 통해 본격 등장한다.
 
김숙당은 그동안  한국 최초의 재봉교재의 저자로 알려졌는데 이번 논문에서 1916년부터 21년까지 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 촉탁직 교원으로 근무한 사실이 처음 확인됐다.

관련기사
 
평양여고보는 일제의 식민통치·수탈기관인 조선총독부의 직속 기관이다. 조선총독부 직원록을 보면, 김숙당은 월 급여로 15~50원을 받은 것으로 기록돼 있다.
 
'조선재봉전서' 저자 김숙당의 과거 조선총독부 급여기록. [사진 단국대]

'조선재봉전서' 저자 김숙당의 과거 조선총독부 급여기록. [사진 단국대]


김숙당은 이후 사립학교인 숙명여고보로 옮겨 조선재봉전서를 쓰기에 이른다. 당시는 일제가 3·1독립운동의 영향으로 식민정책을 무력에 의한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바꾼 시기다.  
 
그는 교원이라는 신분을 활용해 현실과 동떨어진 수의를 전면에 내세웠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조선인 김숙당이 왜 삼베 수의 정착에 발벗고 나섰는 지 명확히 설명되지 않았는데 과거 조선총독부 직원 신분이 드러난 것이다.
 
실제 우리 민족은 죄인을 상징하는 삼베 수의를 꺼렸다. 임진왜란때 피난 중인 선조를 문안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죄인이 된 성리학자 성혼(成渾·1535~98)은 자신의 유서에 “나는 군부에게 죄를 얻었으니 (중략) 옷은 삼베옷으로 하고 염은 삼베 이불로 하며 (중략) 나의 뜻을 어김이 없도록 하라”고 한 기록이 광해군 일기(3권)에 전해진다.

조선시대 전례서(典禮書:의례지침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의하면 수의는 모두 견직물(실크)을 사용한다고 돼 있다. [사진 단국대]

조선시대 전례서(典禮書:의례지침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의하면 수의는 모두 견직물(실크)을 사용한다고 돼 있다. [사진 단국대]

 
부모를 여읜 자식은 ‘죄인’이라는 의미로 삼베로 만든 상복을 입었다. 극빈층의 경우 어쩔 수 없이 입기도 했지만 “오죽했으면 삼베랴”라는 표현이 구전될 정도로 서민들도 등한시 했다고 한다.
 
조선총독부는 김숙당이 내세운 삼베 수의를 『의례준칙(儀禮準則·1934년)』에 담아 공포, 조선사회내 정착·확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김숙당이 친일반민족행위를 한 근거는 전해지지 않지만 결과적으로 의례준칙 속 삼베수의의 토대를 마련해준 셈이다.

조선총독부가 공포한 의례준칙. [사진 단국대]

조선총독부가 공포한 의례준칙. [사진 단국대]

 
조선총독부는 공무원 조직을 활용하는 것은 기본이고 각종 단체, 이동 강연회 등 모든 수단을 총동원, 의례준칙 뿌리 내리기에 나선다. 
 
삼베 수의는 수탈을 더욱 공고히하려한 식민정책의 일환이라는 게 최 교수의 설명이다. 의례준칙 공포 당시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 조선총독은 구태의 개선을 내세우고 있지만, 본격적인 전시체제를 앞두고 이뤄져서다. 일제는 공포 2년 후인 1937년 중일전쟁을, 1941년에는 태평양전쟁을 일으킨다.  
 
의례준칙을 통해 식민 조선인의 궁핍한 삶을 개선하려는 게 아닌 절약한 물자를 국방금(물품)으로 헌납하게 하려는 속셈이 깔려 있다는 게 최 교수의 설명이다.   

복원한 전통 수의 앞에서 사진촬영하는 단국대 최연우 교수. [사진 단국대]

복원한 전통 수의 앞에서 사진촬영하는 단국대 최연우 교수. [사진 단국대]

 
최 교수는 이날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죄인을 형상화하는 삼베수의를 보편화해 식민지 조선인들의 정신을 피폐화시켰다”며 “농가부업으로 장려해놓고 수익금의 일부를 국방금으로 헌납하게 한 ‘가마니짜기’처럼 삼베수의의 확산으로 얻은 잉여 자산이나 물자를 수탈하기도 했다. 식민정책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단국대는 지난해 ‘땅으로 시집가는 날’이라는 전통수의 전시회를 여는 등 전통 수의 복원사업을 벌이고 있다.
 
용인=김민욱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