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질환으로 사망가능성…"적극적인 제균이 최선책"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위암 원인균이다. 강력한 위산이 분비되는 사람의 위(胃) 점막 상피에 기생하는 유일한 균으로, 위암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의 질병 발생에 관여한다.
국내 중년층 이상의 헬리코박터균 보균율은 60%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 보통 건강검진에서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조기위암 등을 동반한 헬리코박터균이 검출되면 항생제를 이용해 제균하는 게 일반적인 치료법이다.
몸길이가 2~7㎛(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한 헬리코박터균이 세상이 알려진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지금으로부터 35년 전인 1983년 호주의 의사 배리 마셜과 로빈 워런 박사가 이 균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렸다. 이후 이 균이 위 관련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두 의사는 200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헬리코박터균이 언제부터 세상에 존재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이 균이 위염과 위궤양의 원인균이라는 마셜 박사팀의 발표가 있기 훨씬 이전부터 인체에 기생했을 것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가정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제시됐다. 지금보다 약 400년 전인 1600년대 조선시대 미라의 위 조직에서도 헬리코박균 감염이 확인된 것이다.
이은주(서울아산병원 내과)·신동훈(서울대병원 해부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국제학술지(Anthropologischer Anzeiger) 1월호에 발표한 논문을 보면 17세기 조선시대 미라 두 구의 위 표본에 대한 유전자 분석 결과, 헬리코박터균 유전자(DNA)가 처음으로 검출됐다.
연구팀은 두 미라의 위에 대한 내시경 및 조직검사를 거쳐 헬리코박터균 DNA를 선별했다. 또 각 헬리코박터균 유전자가 서로 다른 대립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사실도 유전체 분석기법으로 확인했다.
이는 두 미라가 당시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돼 위염이나 위궤양 등의 질환에 걸렸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이들 미라의 사망 당시 연령이 40대로 추정되는 점을 고려하면, 심한 경우 위염이나 위궤양이 위암으로 악화함으로써 조기시망에 이르렀을 수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이은주 교수는 "조선시대에도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유행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분석 결과"라며 "현대의 연구결과를 대입해본다면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하지 않는 자체가 다른 질환으로의 악화 위험도를 높였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하면 위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소화 약리학과 치료'(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하면 위암 이전 단계인 위축성위염과 장상피화생이 호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위암 발생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상복부 불쾌감·메스꺼움·구토 등 소화기계 증상을 보이거나 위암 정기 검진을 받은 환자 598명을 대상으로 위축성위염과 장상피화생의 변화를 최대 10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조사 대상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음성 그룹 65명,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양성에서 제균 된 그룹 442명, 제균 되지 않은 그룹 91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위 전정부(위의 아랫부분)와 체부(위의 윗부분)의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위축성위염과 장상피화생 증상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로 호전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실제로 헬리코박터 제균 그룹은 제균 하지 않은 그룹보다 위축성위염이 체부에서 68.6%, 전정부에서 50%가 각각 완전히 없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위에 염증이 반복되는 장상피화생 역시 체부에서 44.4%, 전정부에서 33.9%가 완전히 없어졌다. 위축성위염이 오랜 기간 지속하면 위 점막이 장 점막의 형태로 바뀌는 장상피화생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상인보다 위암 발생률이 무려 10.9배 정도 증가한다.
김나영 소화기내과 교수는 "헬리코박터균을 없애면 위축성위염뿐만 아니라 장상피화생도 호전될 수 있다"면서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위암 발생도 예방할 수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헬리코박터균을 치료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bio@yna.co.kr
'人文,社會科學 > 日常 ·健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선근 교수의 백년 쓰는 척추관절 운동법] [10] 엎드린 후 견갑골 모으기, 어깨 안정시켜 (0) | 2018.01.31 |
---|---|
추워서 운동 못 한다고? 효과 높은 겨울철 실내운동법 (0) | 2018.01.31 |
하지정맥류=혈관돌출? 생각보다 다양한 하지정맥류 증상 (0) | 2018.01.25 |
[정선근 교수의 백년 쓰는 척추관절 운동법] [9] '날개뼈 돌리기'로 어깨 관절 튼튼하게 (0) | 2018.01.23 |
찌개 사진 하나로 SNS ★…‘엘프’ 안젤리나 다닐로바 (0) | 2018.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