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2024. 2. 9. 04:08
요즘 주차장에서 벌어진 황당한 일들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달구는 일이 잦다. 배려는 기대조차 할 수 없고, 지켜야 할 원칙을 어겨 지적했을 때 오히려 욕을 듣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자신의 행동이 남에게 피해를 줬다는 걸 인정하고 사과하는 일이 그리 쉽지 않은 것 같다. 몇 달 전 한 아파트 주민이 주차장에서 경차 자리를 두 칸이나 차지한 중형 세단을 보고 관리사무소에 문제를 제기했더니 “주차 자리 없는데 뭐 어쩌라고” 하며 대응한 차주가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언제부턴가 배려 없는 행동을 지적받으면 자신을 돌아보기는커녕 “나한테 감히…”라며 적반하장으로 나오는 사례가 자주 눈에 띈다. 도로 위에서 벌어지는 시비 역시 비슷한 양상이다.....사전적으로 ‘감히’는 ‘말이나 행동이 주제넘게’라는 뜻이다. 이 단어를 자주 쓰는 사람에 대해 ‘자아가 비대하다’고 진단하는 전문가 분석도 있다. 이런 사람이 많아질수록 배려와 존중을 찾기 어려워진다. 상대를 나와 동등하다고 여기는 게 아니라 우위를 점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힐수록 남은 보이지 않는다.
누군가에게 ‘감히’라는 말을 할 수 있다는 건 그만큼 경쟁이 익숙한 사회라는 방증일지 모른다.....실제로 외국인들이 바라보는 한국은 경쟁 속에서 커 온 사회였다. 지난달 미국의 유명 작가이자 144만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마크 맨슨이 한국인의 정신건강이 위기를 맞은 이유를 찾고자 방한한 내용을 영상으로 올렸다. 그는 무엇 때문에 한국인이 우울하고 불안한지 찾고자 했다.
경쟁이 심한 회사는 ‘감히’라는 말이 좀 더 자연스럽게 들리는 조직이다. 한때 직장 내 꼰대 감별법으로 ‘꼰대 육하원칙’이 유행했다. 그중 하나가 “어딜 감히?”였다. 자신은 조직에서 우위를 점했고, 아래에 있는 사람의 주제넘은 행동을 용납할 수 없다는 마인드라면 꼰대가 맞는다. 직장에서 꼰대가 환영받지 못하듯 ‘감히족’은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한다. 사회는 경쟁이란 동력도 필요하지만 분명 배려도 필요하다.
https://v.daum.net/v/20240209040811951
[세상만사] 나한테 ‘감히’
[세상만사] 나한테 ‘감히’
요즘 주차장에서 벌어진 황당한 일들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달구는 일이 잦다. 배려는 기대조차 할 수 없고, 지켜야 할 원칙을 어겨 지적했을 때 오히려 욕을 듣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자신의 행
v.daum.net
'時事論壇 > 橫設竪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현기의 시시각각] '사과'의 세가지 유형 (2) | 2024.02.15 |
---|---|
[백광엽 칼럼] 이재용과 삼성을 마녀화한 사람들 (2) | 2024.02.13 |
“딥페이크 불법 선거운동 막아라”… 62명 투입 상시 모니터링 (2) | 2024.02.08 |
왜 86 운동권 정치는 청산되어야 하는가? [민경우의 운동권 이야기] (2) | 2024.02.07 |
회계사 출신 김경율이 본 민주당 인사들의 '세금 활용법' (2)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