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橫設竪設

[만물상] 한국인의 얼굴

바람아님 2014. 9. 9. 09:05

(출처-조선일보 2014.09.06 김태익 논설위원실)


"국물도 없다"는 말이 있다. 여기서 국물은 '뭔가 좋은 것'이다. 

그래서인가. 한국인들은 술 마신 다음 날 속이 쓰릴 때 국물을 찾는다. 뜨거운 해장국을 먹으며 "시원하다"고 한다. 

역사학자 주채혁 강원대 교수에 따르면 시베리아 원주민들도 술 마신 다음엔 반드시 뜨거운 만두국물을 먹으며 속을 푼다고 

한다. 바람 센 고원지대는 습기가 적어 수분 섭취가 필수적이다. 공기가 차갑다 보니 뜨거운 걸 좋아하게 된다. 

한국인의 체질 속엔 뭔가 시베리아와 통하는 게 감춰져 있다. 

주 교수가 한민족 북방(北方) 기원설을 주장하는 이유다.


▶그 시베리아 원주민의 한 갈래인 한민족 조상이 기원전 1세기 무렵 만주 대륙에 세운 나라가 부여(夫餘)다. 

동(東)부여 금와왕이 어느 날 강가에 나갔다가 유화 부인을 만났다. 

유화가 잉태한 알에서 나온 아이가 고구려를 세운 주몽(朱蒙)이다. 

주몽은 '활 잘 쏘는 사람'을 뜻하는 몽골어 '투멘(Tumen)'의 한자음에서 왔다고 한다. 

이름에서 기마민족의 냄새가 물씬하다. 

북방 유목제국 건국 신화의 주인공 중에는 '투멘'이란 이름이 많다.


만물상 일러스트


▶고구려의 처음 이름은 '졸본(卒本) 부여'였다. 

주몽의 아들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세운 백제는 '남(南)부여'라고도 불렸다. 

부여족이 한국 역사와 한국인들의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그만큼 크다. 

현재 한국인 가운데 시베리아를 통해 들어온 핏줄과 동남아를 통해 들어온 핏줄 비율은 8대 2가량 된다고 한다.


▶어제 본지 1면에 2000년 전 부여족 남자의 얼굴 모습이 실렸다. 

일제 강점기 만주 길림성 부여 왕궁터에서 발굴됐던 금동 얼굴상(像)을 미국 미네소타대 김민구 교수가 공개했다. 

긴 얼굴에 광대뼈, 홀쭉한 뺨, 쭉 찢어진 눈…. 남자의 얼굴은 전형적인 북방 시베리아인 모습이다. 

이목구비가 뚜렷하게 나온 걸로는 가장 오래된 한국인의 얼굴이다.


▶시베리아 브리야트 몽골족 마을에 가면 길거리에서 수많은 '철수'와 '영희'를 발견하고 놀라게 된다고 한다. 

그만큼 그들 유전자가 한국인과 닮았다는 얘기다. 

브리야트인들은 옛날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아이가 태어나면 어릴 때 이름을 일부러 '개똥이' '소똥이' 식으로 천하게 부른다. 

그들은 아리랑 가락을 따라 하며 "이건 우리 가락인데?"라고도 한다. 

시베리아는 먼 곳이 아니다. 부여에는 영고(迎鼓)라는 축제가 있었다. 

1년에 한 번 전 국민이 모여 하늘에 감사드리고 술과 음식을 나눠 먹으면서 노래와 춤을 즐겼다. 

우리도 이제 연중 가장 큰 명절인 추석을 맞는다.




<관련 다른 기사>

"갸름하고, 찢어진 눈… 가장 오래된 韓國人 얼굴 찾았다"

(출처 -조선일보 2014.09.06 허윤희 기자)

美 미네소타大 김민구 교수 "2~3세기 夫餘 얼굴상 2점 확인"
머리에 상투 튼 모양… 귓불엔 귀고리용 구멍 뚫려



	부여 2~3세기 금동 얼굴. 높이 17.9㎝. /김민구 교수 제공

 부여 2~3세기 금동 얼굴. 

높이 17.9㎝. 

/김민구 교수 제공


길고 갸름한 얼굴에 위로 쭉 찢어진 눈꼬리, 머리엔 상투를 틀고 귓불을 뚫은 중년 남성.

중국 지린성에서 출토된 한 뼘짜리 얼굴상이 고대 한국인 최고(最古)의 얼굴 조형물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민구(37) 미국 미네소타대 미술사학과(동양미술) 조교수는 "일제강점기 지린성 지린시 

동부 둥퇀산(東團山)과 마오얼산(帽兒山) 일대에서 출토된 금동 얼굴상 2점은 한민족계 

고대국가인 부여(夫餘) 2~3세기의 유물"이라고 밝혔다. 

최근 발간된 '미술사논단' 제38호에 수록된 '부여의 얼굴: 둥퇀-마오얼산 출토의 금동면구

(金銅面具)와 그 외연(外延)'이라는 논문에서다.


김 교수는 "둥퇀-마오얼산 일대는 중국 후한(後漢) 말기 혹은 고구려계 유적일 것이라 막연히 

추정했으나 중국 지린성문물고고연구소 등이 최근까지 발굴 조사한 결과 부여의 왕성지(王城址)임이 확인됐다"며 "금동 얼굴 역시 후한 말기나 훨씬 늦은 시대의 거란계 유물로 추정돼왔으나

 출토지가 부여 왕성지로 확인되면서 명실공히 부여의 유물로 확인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이 일대에선 금동 얼굴이 최소 6점 발견됐다. 

4점은 일찍 자취를 감췄으나 2점은 중국 뤼순박물관(추정)과 지린성박물관에 각각 전한다. 

그나마 국내 학계에선 광복 이후 잊힌 유물이다. 둘 다 얼굴은 갸름하고 인상은 강렬하다 못해 

기괴하다.



	지린성 마오얼산에서 출토된 부여 금동얼굴. 오른쪽은 훼손 전 원형을 추정한 그림. /김민구 교수 제공

 지린성 마오얼산에서 출토된 

부여 금동얼굴. 

오른쪽은 훼손 전 

원형을 추정한 그림. 

/김민구 교수 제공


이 중 둥퇀산에서 출토됐다고 전하는 얼굴상의 높이는 17.9㎝. 정수리 부분이 

상투를 튼 것처럼 볼록 솟아있고, 귓불에 천공(穿孔·구멍을 뚫은 흔적)이 있어 

귀고리를 착용했음을 시사하는 점 등이 고대 한민족 특유의 습속을 보여준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이마의 주름, 벌어진 입, 살짝 내민 혀…. 이 얼굴은 관동청박물관(현 뤼순박물관)이 

1926년 발간한 소장품 도록에 사진이 처음 등장한다. 

다른 한 점은 중국 고고학자 리원신(李文信·1903~1982)이 1934년 마오얼산 

아래 밭에서 발굴했다. 높이 13.8㎝. 지린성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얼굴상의 용도는 뭘까. 김 교수는 “마구(馬具)나 무기 등에 장식용으로 장착됐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부여(기원전 2세기 이전~기원후 346)는 철기를 기반으로 이 지역에 최초로 

고대국가를 성립한 세력이다. 이들의 문화가 이후 고구려·백제는 물론 바다 

건너 왜(倭)에까지 정치·언어·이념·종교 등 다방면으로 계승됐다. 

김 교수는 “따라서 이 얼굴상은 고대 한국인 자신의 모습이라 할 입체 조형 

최고(最古)의 걸작”이라고 했다.

미술해부학 박사인 조용진 얼굴연구소장은 “부여족과 연관된 브리야트족의 얼굴을 

조사한 적이 있는데 상당히 유사하다. 

긴 얼굴에 광대뼈, 홀쭉한 뺨, 얇은 입술 등 북방계 얼굴”이라고 했다. 

강인욱 경희대 교수(북방 고고학)는 “5~6세기 신라 기마인물형 토기의 얼굴과도 

비슷하다. 한국인을 포함한 극동 퉁구스 계통 민족의 공통적 특징을 잘 담고 있는 

전형적 북방계 얼굴”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