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時流談論

“당론 따르다 전문성 묻혀” … 반쪽 정치인, 홍위병 ‘자조’

바람아님 2015. 8. 3. 10:06

[중앙선데이] 입력 2015.08.02

여야 비례대표 41명 본지 설문 조사해 보니

반쪽 정치인, 인턴, 홍위병….

대한민국 비례대표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처지를 이렇게 자조했다. 내년 총선의 선거구 획정을 놓고 비례대표의 적정 규모 등 논란이 또다시 점화되고 있다.

중앙SUNDAY는 지난달 30~31일 각 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52명 전원을 대상으로 현행 비례대표 제도 운영과 문제점에 대해 무기명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 중 79%인 41명이 응답했다. 응답자 대부분은 국회 내에서 전문가 집단을 대표하는 비례대표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전문성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을 지적했다. 불투명한 선출 방식(11명)을 비롯해 ▶전문성과 상관없는 상임위 배정(9) ▶연임이 사실상 불가능한 정치 상황(8) ▶지역구에 비해 부족한 비례대표 의석(5) 순으로 애로사항을 꼽았다.

새누리당 비례 초선 A의원은 “직능대표로 뽑혔음에도 아직까지도 대통령과의 친분 때문에 발탁됐다는 말을 듣고 있다”며 “공천 과정을 외부로부터 검증받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당의 B의원은 “전문성을 발휘하고 싶어도 원내대표가 다선 우선으로 상임위를 배정하다 보니 밀릴 수밖에 없다. 당 지도부는 비례대표에게 더 강하게 당론에 따를 것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 C의원은 “처음 1~2년은 인턴사원처럼 국회에 적응만 하다 끝난다. 당에서 주는 당직 따라 정신 없이 뛰다 보면 어느새 다음 총선이다. 부랴부랴 지역구를 찾아 나서다 보면 전문성 발휘는 허울뿐”이라고 말했다.

현재 비례대표 52명 중 초선이 아닌 이는 한명숙(3선·새정치연합) 의원뿐이다. 비례대표 의원으로서 연임의 길이 거의 닫혀 있다 보니 정치 생명을 연장할 유일한 대안은 지역구 출마뿐이다. 응답자 41명 중 39명이 지역구 출마를 확정했거나 의사를 밝혔다. 새정치연합 D의원은 “올해는 지역구를 챙기느라 사실상 의정활동을 쉬고 있다. 편한 지역구를 따내기 위해 계파를 갈아타는 경우도 봤다”고 털어놨다.

정치 현안에 대한 인식은 여야에 따라 판이하게 갈렸다. 새누리당 답변 의원 20명 중 19명이 현행 의원 정수와 비례대표 수를 유지하거나(18명) 줄여야 한다(1명)고 답한 반면 새정치연합과 정의당 의원 21명은 모두 유지하거나(10명) 늘려야(11명) 한다고 했다.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도입도 여당은 18명이 반대한 반면 야당은 19명이 찬성했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