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비석에 새겨진 서체가 정연하지 않은 것에 대해 솜씨가 서투른 것이 아니라, 신라인의 성정이 드러난 결과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미술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정현숙 원광대 서예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은 6∼10세기 신라 글씨를 주제로 쓴 책 ‘신라의 서예’에서 6세기 신라 비석의 서체가 후진적이라는 주장을 반박했다.
경주 남산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남산신성비.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이 시기 신라 비석은 학문적으로 중요한 사료지만, 서체에 대해서는 정연하지 않고 솜씨가 서투르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부 학자들은 수수한 서체의 원인을 두고 고구려와 백제보다 미성숙한 문화를 꼽았다.
정 연구위원은 신라 금석문의 서풍이 전체적으로 질박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표면이 울퉁불퉁한 자연석에 글씨를 새긴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라 비석 글씨는 성숙한 서법을 체득한 뒤에 쓴 것”이라며 “비석 글씨의 특이함은 인위보다는 무위를 택한 신라인의 성정이 드러난 결과”라고 강조했다. 즉 자연에 대한 순응을 의미하는 ‘천연성’이 신라 서예의 정체성(天然性)이라는 것이다. 또 신라가 수나라와 당나라의 서예를 수용하면서도, 중국과는 다른 독창적인 서체를 완성해 나갔다고 주장했다.
그는 6∼7세기 신라 토기와 목간에 남아 있는 글씨의 특징과 비교하며 “신라 토기에서 나타나는 필법은 자유로우면서도 유창하다”면서 “함안 성산산성과 하남 이성산성, 경주 월성 해자에서 나온 목간의 글씨는 모두 힘차고 과감한 필치가 느껴진다”고 평가했다.
삼국 통일을 이룬 뒤 신라의 서체에 대해서도 높게 평가했다. 그는 “통일신라는 여러 방면에서 다양한 서풍을 표현하면서 당나라와 구별되는 그들만의 서예 문화를 창조했다”며 “서예가 김생과 최치원은 중국의 명필을 능가하는 독특한 글씨를 남기기도 했다”고 말했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生活文化 > 그때그일그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양도성 600년 책 한권으로 본다 (0) | 2017.01.16 |
---|---|
[임진년 그 사람들]⑭심유경, 동아시아 3국을 속인 희대의 국제사기꾼 (0) | 2017.01.15 |
"을사늑약은 군사강점과 문서위조로 점철된 불법 조약" (0) | 2017.01.12 |
[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수세식 공중화장실-화려한 정원… 절터 아래 펼쳐진 백제 왕궁 (0) | 2017.01.11 |
"원의 일본 원정 실패 원인은 '가미카제(神風)' 가 아니었다" (0) |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