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0-19 김진현 객원논설위원 세계평화포럼 이사장입력)
1953년 휴전 이후 오늘까지 모처럼 전쟁 없는 한반도 평화기
강화도조약 뒤 艱難간난 기억한다면… 누구도 쉽게 평화를 말할 수 없다
만악의 원천이 미국이라는 폭론, 만병의 원인이 종북이라는 편견… 평화 지키기 위해 떨쳐내야
김진현 객원논설위원 세계평화포럼 이사장
1953년 7월 휴전 이후 2017년 10월 오늘까지 64년간의 평화.
한반도에서 전쟁이 없었다는 사실의 귀중함. 그간에 이룬 성취의 고마움을 우리 스스로
얼마나 깨닫고 있는가. 깨닫고 있다면 어찌 이리도 평화를 깨고 평화를 값싸게 떠드나.
인간은 이기적 유전자 탓인지 사물의 인지와 이해에서 자기 경험을 넘기 어려워한다.
거기서 아집 편견 독선 폭력이 싹튼다.
따라서 시간적으로 자기가 경험하지 못했던 사회 전체의 과거에서 미래까지, 공간적으로는
이질적 경험을 한 타자들까지 대조 평가 수렴 승화시킬 수 있는 능력은 비단 정치뿐 아니라 모든 분야 지도자들에게
특별히 요구되는 자질이다. 그런 자기 경험의 객관화 타자화가 성한 나라일수록 자유 다원 관용 민주정치가 가능하다.
우리 역사에서 자주적 평화, 얼마나 간절한 단어인가.
조선만 해도 건국 200년 만에 맞은 임진왜란·정유재란(1592∼1598),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1637)의
45년간 인구는 400만 명에서 절반으로 줄었다. 선조에서 인조에 이르는 82년간의 간난(艱難)에 이어 1637년 병자호란
끝내고 고종이 등장하는 1863년까지 226년간의 긴 평화는 아마도 이 땅에서 다시 없을지도 모른다.
1876년 문호개방 이후 청일 및 러일전쟁, 일제강점기(1910∼1945)와 태평양전쟁, 광복과 분단, 6·25전쟁(1950∼1953)까지
서세동점 근대화에 맞부딪친 간난의 77년(1876∼1953), 역사에 기록된 지옥을 넘나들었던 비평화 반평화의 77년을 정확히
회고 평가할수록 우리는 휴전 이후 64년간의 평화가 얼마나 귀중한가를 깨닫게 된다.
매년 추석 고향 성묘 갈 적마다 나는 산은 푸르다고만 아는 손자들에게 저 산이 푸르게 되기까지의 체험을 들려준다.
일제 말기 1943년부터 국민학교는 소년 노동캠프로 변했고 방과 후 어머니와 5리 길을 걸어 먼 산의 나뭇가지와 덤불 걷어
저녁밥을 끓였다. 그 절대 가난의 민둥산들이 지금 파란 하늘 아래 무거울 정도로 우거진 숲으로 변한, 64년간의 평화가 만든
자연을 본다. 그런 산의 자연과 평화가 어떤 조건들로 가능했는가.
첫째, 이승만 박정희 정권의 강압적 산림녹화정책이 30년 이상 계속됐다. 나무 베면 잡혀가는 나라였으니까.
둘째, 구공탄이라는 가정연료 대체재가 등장했다. 한 기업인의 혁신이었다. 이것만도 굉장한 변화였다.
그러나 냉정히 따져보면 이 두 요소만으로 숲의 평화가 온 것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셋째는 근대 산업·무역이 본격화되고 석유 원자력 등 인공에너지가 나무를 대체 가능케 하는 국제 시스템이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까지도 우리 역사로 보면 위대한 근대혁명이다.
그러나 그것은 완성이 아니다. 우거진 숲으로 산림은 끝나는 게 아니다. 자력 자강의 나라를 만들려면 ‘완전 조림’을
국가목표로 계획조림을 해야 한다. 1974년 아시아 농업언론인협회(AAJWA)가 도쿄에서 창립되고 규슈의 네 지방을
시찰했다.산은 울창한데 ‘조림계획 50% 달성’ 또는 ‘60% 달성…’이라는 브리핑이 계속됐다. 산에 나무 있는 것은 당연하고
마을과 산의 온도, 강수량, 토질 등에 맞는 최량의 경제수종과 주민의 전통까지 고려한 계획조림 실적이 얼마냐는 숫자였다.
이것이 마을과 국가가 해야 하는 일이다. 자연자본 세계 1등이 일본인 까닭이 있다. 한국은 산 푸르게 만드는 것으로 그쳤다.
경제수종 계획조림이나 산을, 이 땅을 국력의 원천으로 가꾼다는 목표 자체가 없었고 지금도 없다.
64년간의 평화로 우리는 아시아 유일의 민주정치 시민자유국가로 대혁명을 이뤘다.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주동자로 옥고를 치른 뒤 인권전문가가 된 백태웅 하와이대 교수는 작년에 이런 말을 했다.
“한국이 내놓을 수 있는 두 가지 상품이 단시간 내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및 인권신장인데 그것을 제대로 마케팅하지 못하고
있다.” 평화의 소중함을 아는 사람만이 평화를 제대로 지킬 수 있다. 평화를 입으로만, 글로만 낭비하는 것, 평화의 적이다.
64년간의 평화에서 만든 소중한 인류 보편의 가치와 성취를 지키기 위해 촛불 독선, 태극기 독선,
만악의 원천이 미국이라는 반(反)진실의 폭론, 만병의 원인이 종북이라는 편견을 벗자.
내가 그 독선 그 폭론 그 편견의 원인 제공자가 아닌가. 남 욕하기에 앞서 진실에의 외경, 자기 경험의 반추와 객관화에
‘전쟁을 각오’하는 만큼 맹렬해야 한다.
[동아광장/김진현]/ 김진현 객원논설위원 세계평화포럼 이사장 |
[동아광장/김진현]이 귀중한 ‘64년간의 평화’ 2017-10-19 1953년 7월 휴전 이후 2017년 10월 오늘까지 64년간의 평화. 한반도에서 전쟁이 없었다는 사실의 귀중함. 그간에 이룬 성취의 고마움을 우리 스스로 얼마나 깨닫고 있는가. 깨닫고 있다면 어찌 이리도 평화를 깨고 평화를 값싸게 떠드나. 인간은 이기적 유전자 탓... [동아광장/김진현]미완의 나라 대한민국의 길 2017-09-22 03:00 ‘대한민국’은 이 세상 보통 나라들에 비해 매우 독특한, 거의 유일한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지리적 공간을 나누고 있는 나라들 중에서 유일한 민주시민국가이다. 이웃은 모두 시민 없는 신(神)과 황제의 나라들이다. 북한은 3대 세습 왕조, 김일성 주체 ‘유일사... http://news.donga.com/3/all/20170922/86452583/1 [동아광장/김진현]이 땅이 아프다 2017-08-31 03:00 이 땅이 아프구나. 이 땅속이 신음하는구나. ‘8월 장마철’ 용평 갔다 들른 월정사 초입까지의 길은 온통 파헤쳐지고 구멍 뚫리고 헤집어지고 있었다.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가는 길은 긴 장마에 상처 나고 옆다리들은 군데군데 부서졌다. 평창 올림픽으로 평창과 대한민국... http://news.donga.com/3/all/20170831/86091117/1 [동아광장/김진현]절절한 자강의 리더십 2017-08-04 03:00 “(말씀을 주저하시며) 우리나라 사람은 자발적으로 무엇을 못 하는 성격이 있으니 그 방면을 장려하지 않고는 별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과거 개성상인 이외에는 일본인을 이기지 못했다. 미국이 공산주의를 막아내기 위한 대한(對韓) 원조도 계속하지는 않을 것이니 우리가 자... http://news.donga.com/3/all/20170804/85679059/1 [동아광장/김진현]실패한 북핵 게임에서 나라를 지키려면 2017-07-06 03:00 북한의 핵·미사일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성공 앞에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쩔쩔매고 있다. 4일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까지 성공했다고 선언했다. 북한 WMD 성공의 극치다. 지난 27년을 회고하면 세계 최강대국이란 나라들 그리고 북한보다 44배나 경제 ... http://news.donga.com/3/all/20170706/85221708/1 [동아광장/김진현]대한민국 신주류 만들어야 2017-06-23 03:00 기대와는 달리 너무 빨리 문재인 정권의 외교, 인사, ‘협치’가 혼란스럽다. 원래 그런 유전자(DNA)를 가졌으니 당연하다는 논평이 이른바 보수 쪽에서 기다렸다는 듯이 나온다. 독선이란 유전자다. 노무현 전 대통령처럼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불행한 역사’라... http://news.donga.com/3/all/20170623/85021738/1 [동아광장/김진현]핵에 포위된 한국의 실체 직시하라 2017-06-01 03:00 문재인 대통령의 등장은 우리 정치사에서 큰 변곡점을 찍었다. 당선 이후 20여 일간의 행보는 그를 바라보는 몇 가지 편견을 제거하는 데 일단 성공했다. 제2의 노무현이 아니라 보수·진보 20년을 뛰어넘겠다는 선언도 바로 봉하마을 부엉이바위 아래의 노무현 묘소에서 했다.... http://news.donga.com/3/all/20170601/84664628/1 [동아광장/김진현]절망과 개벽―대한민국의 새 길 2017-05-04 03:00 이 땅을 덮고 있는 분노 절규 불신 갈등 허무는 비관이라는 표현이 너무 한가하다. 특히 대통령 선거전의 구태의연한 풍경들은 지금 당장 이 나라에 몰려 있는 생존의 문제군들 (problematiques), 내외로 겹친 한말 이후 또는 건국 이후 최고의 위기들, 국가 공동체... http://news.donga.com/3/all/20170504/84197272/1 [동아광장/김진현]전쟁과 평화, 대한민국의 자강 2017-04-13 03:00 모든 도덕 종교에 공통된 기초는 ‘공짜는 없다. 스스로 돕는 자만을 돕는다’는 것이다. 제3세계 어느 나라보다 훌륭하게 근대화에 성공한 대한민국이 왜 국가·사회공동체의 기본인 안보 문제만은 자강 자립 주체적이지 않은지 신기하다. 여름마다 서울 한 대학 평화대학원에서 특... http://news.donga.com/3/all/20170413/83832712/1 [동아광장/김진현]기적만 빌지 말고 大참회운동을 2017-03-10 03:00 10일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탄핵이 인용될지 기각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아주 확실한 것은 있다. 헌재의 심판이 지금까지의 혼란과 대결의 매듭이 아니라 더 큰 충돌로 가는 가속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미 촛불과 태극기의 광장에서는 ‘혁명... http://news.donga.com/3/all/20170310/83256424/1 [동아광장/김진현]이 땅에서의 삶에 대한 묵시록적 성찰 2017-02-24 03:00 2016, 2017년에 걸쳐 대한민국은 역사적 기록을 만들고 있다. 이 땅에 조상들이 정착한 이후 최대의 기록을 세우는 중이다. 하필이면 융성과 다산을 의미하는 붉은 닭의 정유년으로 이어진 조류인플루엔자(AI) 때문에 닭과 오리 가금류 3300만 마리, 즉 국내에서 키... http://news.donga.com/3/all/20170224/83040842/1 [동아광장/김진현]역사의 정의와 촛불의 승화 2017-02-02 03:00 1993년 ‘20세기의 종언과 근대의 종언’을 쓴 미국 역사학자 존 루카치는 21세기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러시아인이 백인’이라는 것이라고 했다. 독일 재상 비스마르크가 1898년 죽기 전에 남긴 말 “다음 세기에 가장 중요한 사실은 ‘미국이 영어를 한다’는 것”... http://news.donga.com/3/all/20170202/82676391/1 [동아광장/김진현]2017년, 역사의 반복이냐 창조냐 2017-01-06 03:00 대한민국의 2017년은 역사의 반복이냐, 숙명론을 거부하고 새 역사 창조의 길을 열 것이냐의 결정적 갈림길이다. 이 땅에서 숙명처럼 반복된 반도의 충돌, 대결, 분단성을 넘지 못하고 또다시 압도적 대륙 세력과 해양 세력 간의 충돌에서 방황하다 승자에 복속, 조공, 식... http://news.donga.com/3/all/20170106/82204761/1 |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연국칼럼] 대통령의 눈 (0) | 2017.10.21 |
---|---|
<時評>'숙의'로 과대 포장된 脫원전 공론화 (0) | 2017.10.20 |
<시론>'정권 코드'가 법과 상식 눌러선 안 된다 (0) | 2017.10.19 |
<뉴스와 시각>지금 권력 심장부는 건강한가 (0) | 2017.10.18 |
[염주영 칼럼] 젊을 때 쉬고 늙어서 일하는 나라 (0) | 2017.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