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2017.11.09. 00:45
칼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
“지상천국을 건설하고자 하는 전체주의의 모든 시도는 비록 선한 의도에서 비롯됐다고 하더라도 결국 지옥을 만들 뿐이다.” “인류 역사는 닫힌 사회와 열린 사회 간 투쟁의 역사다. 우리가 인간으로 남고자 한다면 오직 하나, 열린 사회로 가는 길이 있을 뿐이다.”
칼 포퍼(1902~1994)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은 전체주의의 허구성을 통렬하게 비판한 책이다. 그는 1945년 출간한 이 책에서 나치즘과 마르크스주의 등 전체주의를 개인의 자유가 없는 닫힌 사회로 규정했다. 이런 닫힌 사회에서 벗어나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사회 구성원들의 합리적인 비판과 토론이 보장되는 열린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는 게 요지다.
포퍼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유대인이다. 나치 박해를 피해 뉴질랜드에 망명 중이던 1938년 독일 히틀러가 오스트리아를 병합했다는 소식을 듣고 이 책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그는 열린 사회를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개인들의 집합으로 파악했다. 개인은 전체의 일부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고유한 자유를 지닌다는 것이다. 그는 “열린 사회에선 사회 규범도 인간이 만든 것으로서 비판의 대상이 되며 정부 정책도 마찬가지”라며 “그래야 정책 실패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역설했다. “비판을 허용하는 열린 사회는 서로 상충하는 의견이 자유롭게 표출되고 엇갈리는 목표들이 다양하게 추구될 수 있는 다원적인 사회”라는 게 그의 견해다.
플라톤·마르크스, 닫힌 사회의 주범
반면 닫힌 사회에선 도덕과 법률, 정치제도가 자연법칙과 같이 절대적이어서 비판이 불가능하다. 그는 역사법칙주의와 민족주의를 열린 사회의 최대 적으로 꼽았다. 특히 플라톤과 마르크스를 역사법칙주의자로 규정하고, 이들을 ‘닫힌 사회의 주범’이라고 공격했다. 서문에서 이들을 겨냥, “이 책에서 위대한 지도자들에게 거친 말들이 퍼부어졌다. 그것은 나의 확신에 뿌리를 두고 한 소리”라고 썼을 정도다.
역사는 보편적 법칙에 따라 어떤 목표를 향해 발전한다는 게 역사법칙주의다. 역사는 인간이 다룰 수 없는 힘에 의해 정해진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다. 역사법칙주의의 뿌리는 플라톤에게 있으며,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이론으로 구현돼 전체주의를 형성하는 원동력이 됐다는 게 포퍼의 견해다.
포퍼는 “플라톤과 마르크스는 개인을 인류 역사의 발전에 별로 중요하지 않은 도구로 여기며, 역사엔 그 종착역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종착역은 플라톤의 이상국가론,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사회다. 또 “이들은 역사의 무대에서 정말로 중요한 것은 민족들의 위대한 지도자, 위대한 계급, 위대한 이념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지도자는 시민보다 우월한 사람이므로, 그가 절대 권력을 갖고 이상 국가를 통치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며 그 권위에 도전하거나 그 정책을 비판해서는 안 된다는 게 플라톤의 주장이다. 플라톤은 지도자의 조건은 철학자(철인왕)여야 하고, 선천적으로 우수한 민족이 있었다고 믿었다. 그리스인-야만인 관계를 주인과 노예 관계로 본 것이 그 예다. 포퍼는 “플라톤의 이런 관점이 게르만 민족주의를 내세운 히틀러식 파시즘의 뿌리가 됐다”고 분석했다. 또 “플라톤은 개인은 전체를 위해 존재한다고 규정짓고, 개인주의를 이기주의로 간주함으로써 전체주의 사상에 초석을 놨다”고 공격했다.
반증될 수 없는 절대적 진리는 없어
포퍼는 “개인의 책임을 집단의 책임으로 대체하는 민족주의는 평등주의와 인도주의를 지향하는 열린 사회와 정면으로 배치된다”며 “역사를 민족 대 민족의 대립항쟁으로 보는 관점이 20세기를 지배했고, 그 절정은 나치즘”이라고 규정했다.
포퍼는 전체주의에 맞서 ‘점진적 역사발전론’을 내세웠다. 그는 “사회는 혁명이란 수단을 동원해 정해진 목표를 향해 일거에 발전하는 게 아니다”며 “사람들 사이의 수많은 비판·토론과 시행착오를 통해 조금씩 발전하고 개선돼야 한다. 이게 열린 사회”라고 강조했다.
이 책의 핵심 중 하나는 ‘반증가능성 이론’이다. 과학에서 반증될 수 없는 절대적 진리는 없다는 것이다. 합리적인 가설 제기와 기존 이론이 지닌 오류를 찾아 반증하는 과정을 통해 더 나은 이론을 정립하면서 조금씩 진리에 접근한다는 이론이다. 포퍼는 “사회도 마찬가지”라며 “인간의 이성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서로의 비판을 허용하고 반증을 거쳐 점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플라톤의 철인왕과 마르크스의 노동자 계급은 역사법칙의 절대적 존재, 절대적 진리처럼 군림하고 있다”며 “이는 반증가능성이 없는 닫힌 사회의 대표적 사례”라고 꼬집었다.
포퍼의 열린 사회는 사고의 개방을 존중하고, 자기 교정이 가능하며 반대를 허용하는 비판적 합리주의를 추구한다. 새로운 규칙과 제도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반증될 수 있는 사회가 열린 사회다. 개인들은 이 사회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역사를 만들어가고 책임진다. 이게 바로 자유주의라는 것이다.
홍영식 논설위원 yshong@hankyung.com
'人文,社會科學 > 人文,社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온 일본 작가·미국 로봇학자 "공감, 상대 이해부터" (0) | 2017.11.13 |
---|---|
[Why] [남정욱의 명랑笑說] 항쟁만 늘어놓은 게 역사라고? (0) | 2017.11.11 |
[이주향의 그림으로 읽는 철학] (36) 렘브란트 '다윗과 요나단의 이별' (0) | 2017.11.10 |
[서지문의 뉴스로책읽기] 핵무기만 두려운 것이 아니다 (0) | 2017.11.07 |
[신화로 읽는 세상] 삶은 혹시 꿈이 아닐까 (0) | 2017.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