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대작 되려던 꿈은 判知軒駟已無期 (판지헌사이무기)
이제 아예 글렀으니
주경야독 생계를 꾸려 耕讀營生計未非 (경독영생계미비)
사는 것이 옳고말고.
나물에 길들여진 창자라 肚慣果蔬嫌烈酒 (두관과소혐열주)
독한 술은 피하게 되고
삼태기에 삽질하는 몸이라 躬親畚鍤新衣 (궁친분삽파신의)
새 옷 입기 거북하네.
훈풍이 불어와도 風薰猶有披襟爽 (풍훈유유피금상)
옷깃을 헤치면 시원하고
이슬비가 뿌려도 雨細纔成灑面霏 (우세재성쇄면비)
얼굴이나 고작 적시네.
우두커니 좋은 철을 보내려니 坐對佳辰慚俗陋 (좌대가신참속루)
비루한 풍속 부끄러워라
온 마을 사람들 쑥을 뜯어서 傾村採艾日中歸 (경촌채애일중귀)
한낮에 돌아오네.
매천(梅泉) 황현(黃玹)
구한말 시인이자 역사가 매천(梅泉) 황현(黃玹·1855~1910)이 43세 되던 해에 지었다.
시골에 묻혀 농사를 지으며 사는 서생 겸 농부 매천 선생!
단오 무렵 날이 좋아 동네 친구들과 어울리니 시가 절로 나오고 속마저 터놓게 된다.
이제 40을 넘긴 나이라, 세상에 나가 보란 듯 성공하겠다던 허황한 옛 꿈일랑 버려야겠다.
되도 않은 꿈에 매달리느니 생계나 잘 꾸려가야지.
푸성귀에 막걸리 마시고, 삽 들고 흙 묻은 옷이나 입는다.
바람 불면 옷을 벗고 비 뿌리면 얼굴에 맞는다.
천생 농사꾼 처지다.
단오라고 쑥개떡 해먹으려는지 온 마을 사람들 쑥을 뜯어 돌아온다.
왠지 모르게 어설픈 그 풍경은 마음 한편에 아직도 남아 있는 헛된 꿈 탓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