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023. 12. 28. 03:04
다시 주목받는 ‘용융염 원자로’
1954년 美공군서 최초로 기술개발
노심용융-방사능 물질 유출 없어… 가동 중단 없이 무인 연료충전 가능
韓, 2030년 해양용 1호기 건설 목표
안전한 차세대 원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됐다. 중국에 이어 미국도 물 대신 액체소금을 냉각재로 쓰는 용융염 원자로 건설에 나섰다. 한국은 후발주자이지만, 민관 합동 연구개발로 해양용 용융염 원자로 시장을 개척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미국도 액체소금 원자로 건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는 이달 중순 원자력 스타트업 카이로스파워의 시험용 원자로 건설을 허가한다고 발표했다. 총 1억 달러를 들여 테네시주에 2026년 완공할 이 원자로는 용융염 원자로(MSR·Molten Salt Reactor)이다.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차세대 기술로, 냉각재로 물이 아니라 고온으로 녹인 액체소금을 쓴다는 점이 다르다.
민간기업 중심인 미국과 달리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10여 년 전부터 용융염 원자로에 투자해왔다. 2021년 이미 용융염 원자로를 고비사막에 건설한 중국은 안전평가를 거쳐 올해 6월 원자로 시험 가동을 승인했다......이 밖에 캐나다 테레스트리얼에너지, 영국 몰텍스에너지 등 전 세계적으로 20개 이상의 기업이 용융염 원자로 개발에 뛰어들었다.
● 선박용 원자로에 집중하는 한국
한국은 용융염 원자로 기술에 있어 후발 주자이다. 올해 4월부터 국가연구개발 사업으로 선정해 정부 지원을 시작했다. 일단 2026년까지 용융염 원자로의 원천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인증을 거쳐 2030년 이후 해양용 원자로 1호기를 건설한다는 로드맵이 짜여 있다.
용융염 원자로에서 가장 큰 난제는 부식이다. 소금의 강한 부식성을 견딜 만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https://v.daum.net/v/20231228030422513
‘액체소금’으로 원자로 냉각… 안전성 높아 美-中 등서 개발 경쟁[딥다이브]
‘액체소금’으로 원자로 냉각… 안전성 높아 美-中 등서 개발 경쟁[딥다이브]
안전한 차세대 원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됐다. 중국에 이어 미국도 물 대신 액체소금을 냉각재로 쓰는 용융염 원자로 건설에 나섰다. 한국은 후발주자이지만, 민관 합동
v.daum.net
'人文,社會科學 > 科學과 未來,環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지면 느낀다”…촉감까지 더한 완벽한 가상현실 올해 나온다는데 (2) | 2024.01.05 |
---|---|
“나도 의심한다 고로 존재한다” 생각하는 AI 출현 (2) | 2024.01.01 |
‘여인의 눈물’ 香 풀어놓자 싸움 멈춘 남성들 (3) | 2023.12.22 |
“암흑물질 찾아라”… 땅속 깊이 들어가는 연구시설 (1) | 2023.12.14 |
로봇이 만드는 해저도시…SF영화 아니고 2026년 울산 얘기입니다 (2) |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