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詩와 文學

[책의 향기]신화가 된 천재의 맑은 영혼

바람아님 2014. 9. 14. 11:06

 

◇이중섭 평전/최열 지음/932쪽·4만8000원·돌베개

 이중섭의 소 그림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흰소 1’. 1955년 1월 서울 미도파화랑 이중섭 작품전에 출품됐다. 미술평론가인 저자는 “다리 동작에서 달리고 멈추는 움직임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어 그 어느 소 그림보다 힘이 넘치면서도 안정감이 충만하다”고 평가했다. 아래쪽에 한글 자모로 ‘ㅈㅜㅇㅅㅓㅂ’이라고 서명했다. 이중섭은 일제의 국어 말살 정책에 반발하는 뜻에서 한글 자모를 이용한 그림을 그렸으며 죽을 때까지 영문이나 다른 글로 서명한 일이 없다. 홍익대박물관 소장.

 

 

 1955년 1월 미도파화랑 개인전 당시의 이중섭. 부인 야마모토 마사코는 남편의 수려한 이목구비 중 특히 입술을 좋아했다고 한다.

 

1956년 9월 6일 서대문 서울적십자병원 시신 안치실 칠판에 어느 무연고자의 부고 공고가 성의 없는 글씨로 떴다. ‘오후 11시 45분. 간장염으로 입원 가료 중 사망. 이중섭 40세.’ 비운의 천재 예술가다운 죽음이라고 해야 할까. 국내 미술 시장에서 그림값이 박수근에 이어 두 번째로 비싼 작가의 끝은 비참했다.

한국을 대표하는 근대미술가를 꼽으라면 여러 이름이 떠오른다. 하지만 이 중 가장 극적인 삶을 살다 간 이는 이중섭(1916∼1956)이다. 재능과 미모에 부까지 지니고 태어났지만 가난과 추위, 외로움에 찌든 유랑 생활 끝에 몸도 마음도 병들어 요절했다. 뜨겁게 사랑하고도 아내와 어린 두 아들과는 떨어져 지내야 했다. 그가 시와 소설과 연극과 영화의 단골 주인공이 되는 이유다.

미술평론가이자 미술사학자인 저자는 ‘이중섭 실록의 완성’을 목표로 150여 종의 문헌 속에서 충돌하고 어긋나 있는 화가의 실체를 더듬어 작품 사진과 함께 두툼한 평전으로 맞추어 냈다.

이중섭은 1916년 9월 16일 평남 평원군에서 태어나 평양과 일본 도쿄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6·25전쟁 후 월남해 서울 부산 서귀포 통영 마산 진주 대구 칠곡 왜관을 전전했는데, ‘진실의 힘이 비바람을 이긴 기록’이라는 그의 그림엔 유랑의 흔적이 고스란히 배어 있다.

학창 시절에 보았던 평양부립박물관의 고구려 고분벽화는 신비롭고 초현실적인 이중섭 화풍의 기초가 됐다. 오산고보 시절 소도둑으로 몰릴 만큼 남의 집 소에 미쳐 있던 시간은 20세기 걸작 ‘소’ 시리즈의 출발점이었다. 미술대학 후배인 아내 야마모토 마사코에게 엽서 가득 그려 보낸 엽서화는 ‘미술사의 축복’으로 평가받는다. 부산에선 ‘전쟁의 쓰레기 더미에서 탄생한 새로운 미학’ 은지화 장르를 개척했다. 미군이 버린 쓰레기나 변소에서 주운 빈 담뱃갑 속 은종이에 못이나 송곳으로 그린 그림이다. 20세기 한국인 화가 작품 가운데 유일하게 그의 은지화 3점이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에 소장돼 있다. 서귀포 시절 이후 그림엔 게를 자주 그려 넣었고, 공예의 중심지 통영에 살 땐 공예 재료인 에나멜을 대담하게 시도했다.

이중섭의 작품은 유독 위작 시비가 많고 찬사와 함께 비판도 따라다닌다. “예술의 본질 규명을 하기엔 유작이 적고 본격 작품도 적다” “전쟁의 현장을 외면했으며 (작품) 모두 시대의식이 결여된 사적 세계”라는 것이 비판의 요지다. 저자는 “연구자들은 이중섭을 과대평가받는 작가로 꼽다가 어느 때는 최고 수준의 작가 반열에 올려놓는 변덕을 부린다. 이는 이중섭의 문제가 아니라 연구자들의 부실함과 나태함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살아남은 자들의 기억이 만들어낸 이중섭 신화는 과장됐다는 데엔 저자도 동의했다. “전쟁으로 상처받은 이들에게 필요한 건 황폐한 시절을 견뎌낼 만큼 순결한 영혼이었고, 그 기준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 이중섭이었다. 폭발하는 천재이자 맑은 영혼의 모습으로 부활한 이중섭은 순수의 상징이 되었다.”

신화 속 허상을 걷어내고 홀로 몸부림치다 떠난 이중섭의 생을 과장 없이 요약하자면 그의 고향 평안도 민요 ‘수심가’의 구절이 되지 않을까. ‘獨行千里 一生 一去(홀로 걸어 천리 길, 한 번 나고 한 번 가네).’

이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