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5.02.25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
|
초원(椒園) 이충익(李忠翊·1744~1816)이 1779년 봄에 현재의 북한 갑산군을 떠나며 지었다.
1755년 을해옥사(乙亥獄事)에 연루돼 그의 생부는 영남 기장으로, 양부는 갑산으로 유배됐다.
그때부터 그는 국토의 남북 양끝을 오가며 봉양의 세월을 무려 20년 넘게 보냈다.
1778년 11월 양부가 유배지에서 사망하자 다음해 봄 고향으로 시신을 모시며 드디어 갑산과 영이별했다.
갑산은 악몽 같던 청춘을 소비한 끔찍한 곳. 그러나 사람도 풍경도 담뿍 정이 들었다.
만감이 교차하여 맨 정신으로는 떠날 수 없다.
이별주를 마다 않고 마셔 만취한 채 떠나고 말았다.
깨고 나니 오히려 더한 슬픔이 밀려온다.
내 힘겨운 청춘을 지켜보던 망루며 나무에게 마지막 인사조차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기가 막힌 젊은 날의 풍경이 너무도 초초(草草, 바쁘고 급)하게 가슴속에 묻히고 말았다.
**각주 : 초초(草草)하다 -
1.몹시 간략하다. 2.갖출 것을 다 갖추지 못하여 초라하다. 3.바쁘고 급하다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슴으로 읽는 한시] 섬강에서 (0) | 2015.03.05 |
---|---|
정민의 世說新語 [304] 만상대반 (挽裳對飯) (0) | 2015.03.04 |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5> 중국 漢 시대 벽돌 용무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0) | 2015.03.04 |
[정민의 세설신어] [153] 윤물무성(潤物無聲) (0) | 2015.03.01 |
[그림이 있는 조선 풍속사] (47) 기녀와 하룻밤 童妓 초야권 산 사내 얼마나 냈을까 (0) | 201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