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영기싹과 보주 꿈틀~ 龍은 ‘만물 생성의 근원’
용은 ‘제1영기싹’이나 ‘보주’로 구성돼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를 납득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리의 과학적·철학적 사고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평생 한 번도 배우지 못한 지식일 뿐만 아니라 그 조형의 비밀을 해독한 사람도 없어서 낯설기 그지없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1영기싹은 형이상학적 용어다. 보주도 마찬가지다. 제1영기싹이나 보주를 올바르게 쓴 글을 세계 어디에서도 접해 본 적이 없다.
누군가에게 용이란 무엇인가를 물으면 모두 ‘상상의 동물’이라고 말한다. 이 말은 용의 개념을 전혀 모르고 있다는 뜻이다. 상상의 산물도 아니고 동물도 아니다. 우주의 영기를 압축한 형태인데 무슨 뿔이 있으며 코, 눈, 다리, 꼬리 등이 있단 말인가. 사람들이 조형예술의 세계에 대해 현실에서 봤던 비슷한 것을 찾아 무책임하게 명칭을 만들어 버리면 그것이 그대로 내려와 굳어 버려 고치기 어렵다. 게다가 용과 보주는 뗄 수 없는 관계인데 그런 글도 접한 적이 없다.
우선 ‘제1영기싹’은 도르르 말린 모양이다. 그 형태는 식물이나 동물이 처음 생겨날 때 취한 모양이지만 어떤 특정한 동물이나 식물로 지칭해서는 그 상징성이 축소될 수 있다. 현실을 초월한 형이상학적 용어이므로 무한히 다양하게 조형적으로 전개되며 무한한 상징성을 띤다. 만물 생성의 근원인 제1영기싹은 성장해 앞으로 무엇이 될지 알 수 없다. 우리가 현실에서 본 이 세상 모든 만물로 형상화될 수도 있고, 현실에 없는 형태로 형상화될 수도 있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형태로 표현하면 아무에게도 안 보인다. 필자의 작업은 바로 보이지 않는 영기문을 해독해 하나하나 여러분에게 보여 드리는 것이다.
중국 한(漢)시대에 만든, 속이 빈 벽돌 표면에 압인(押印)한 용무늬가 있다. 두 뿔도 제1영기싹 영기문이고, 꼬리는 물론 등이나 하반부의 등에서도 제1영기싹이 발산하고 있는데 실은 제1영기싹으로 구성된 용의 몸에서 나오는 제1영기싹이다. 앞가슴에도 제1영기싹이 내재돼 있으며 네 발 뒤꿈치나 발톱, 윗입술과 아랫입술에서도 위아래로 제1영기싹이 발산하고 있다. 이것은 용이란 존재가 제1영기싹으로 구성돼 있어서 제1영기싹이 여기저기 몸에서 발산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몸 가운데 곳곳에는 둥근 모양의 보주들이 배치돼 있다. 보주를 빽빽이 배치하면 조형상 보기가 좋지 않으므로 듬성듬성 배치해 용이란 존재가 보주의 집적이라는 것을 웅변한다. 용이란 원래 보이지 않는, 우주에 가득 찬 영기를 형상화한 것이다. 중국 한시대 용의 모습에 대한 설명을 읽어 보면 올바른 것이 거의 없다. 중국인이 창조해 놓고 알아보지 못하니 아이러니하다. 시대가 내려오면서 사람들은 뿔을 현실에서 보는 뿔처럼, 발톱도 현실에서 보는 날카로운 독수리 발톱처럼 표현하면서 본래의 조형을 점점 잊어버리게 됐다. 그러므로 우리가 상식으로 알고 있는 용은 용이 아니다. 그리고 옆으로 표현하면 용이라 부르고 용의 정면을 표현하면 괴수 혹은 귀면(鬼面)이라 부르니 어찌할 것인가.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文學,藝術 > 고전·고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민의 世說新語 [304] 만상대반 (挽裳對飯) (0) | 2015.03.04 |
---|---|
[가슴으로 읽는 한시] 갑산과 헤어지고 (0) | 2015.03.04 |
[정민의 세설신어] [153] 윤물무성(潤物無聲) (0) | 2015.03.01 |
[그림이 있는 조선 풍속사] (47) 기녀와 하룻밤 童妓 초야권 산 사내 얼마나 냈을까 (0) | 2015.02.28 |
[윤철규의 한국미술명작선] ⑪ 겸재 정선과 막상막하, 장시흥 (0) | 201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