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책·BOOK

[책세상]“4·3진상보고서 역사적 실상 왜곡” 현길언의 '정치권력과 역사왜곡'

바람아님 2016. 6. 29. 11:18

(출처-한라일보 2016. 06.24.이현숙 기자)


제주출신 소설가 현길언(77)씨가 '제주 4·3 사건 진상 조사 보고서'가 역사적 실상을 왜곡한 부실한 보고서이며 

정치권력에 의한 역사 왜곡이라고 주장한 책을 펴냈다. 


책 '정치권력과 역사 왜곡'에서는 진상보고서가 제주 4·3 사건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고 이로 인해 피해를 본 
제주 도민 보상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작가의 양심으로 역사적 사실이 명분주의와 정치적 실리성에 의해 왜곡되고 있는 현상을 외면할 수 없다"며 
"이 작업이 내 얕은 문학의 길을 성찰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과정이 될 것 같다"고 취지를 밝힌다.

이 책은 저자가 편집인 겸 발행인으로 있는 계간 '본질과 현상'에 실었던 내용을 포함해 최근 3~4년에 걸쳐 
작업한 결과물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김대중정부 시절 제정된 특별법의 문제점과 그 법에 의해 작성된 진상 보고서의 편향성을 밝히고 
4·3 사건의 비극을 극복하는 방법 및 보고서를 보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저자는 '4·3사건에 대한 입장'에서 "진압 과정에서 나타난 반인권적인 사례 때문에 자유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거부하려는 그 반란의 목적을 정당화할 수 없다. 
사건이 반국가적인 반란이더라도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야기된 반인권적인 사례 또한 정당화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태학사. 3만5000원.





<출판사의 책소개>

정치권력과 역사왜곡(제주4.3사건진상조사 보고서 비판)

저자 현길언/ 태학사 / 2016.05.30/ 페이지 558


1948년 4월 3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위한 5.10선거를 거부하려는 남로당의 전략의 일환으로 일어난 

제주 4..3사건은 제주 도민의 인명 및 재산 피해와 정신적으로 큰 상처를 남겼다. 

권위주의 시대를 거치는 동안 그 진상이 밝혀지지 않아서 도민들의 고통과 한이 컸다,

김대중 정부에 들어와 “제주4.3사건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 2000년1월 12일에 

공포되었고, 그 법에 의해 위원회가 조직되고, 진상조사보고서 작성 기획단이 구성되어 진상조사 활동이 

시작되었다.이 사업은 노무현 정부에 들어와서 비로소 “제주4.2사건 진상조사 보고서”가 내용의 편향성으로 

심의 과정에서 심한 논란을 거쳐 결국 심의위원의 다수결로 채택되었다. 그 보고서에 의해, 사태 진압 과정에서 

공권력이 남용으로 무고한 주민이 희생된 사건에 대해 대통령이 제주도민에게 사과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 특별법 내용을 검토하면, 법 자체가 4.3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는데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4.3의 정당성을 암묵적으로 시인하면서 그 사건을 기념하고 후세에 교육을 해야 한다는 취지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제주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는 4.3의 역사적인 실체를 규명하기보다는, 

김대중 노무현 두 대통령의 정치이념과 역사의식, 그리고 국정 지표를 실현하기 위한 “정치문서” 수준으로 

그 사태에 대한 역사적 실체를 외면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 보고서를 그대로 승인한다면, 왜곡된 보고서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로 굳어질 것이므로, 필자는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과 여론의 재판을 받으면서도 4.3의 역사적 실체를 밝히기 위해 이 책을 집필해야 했다.


[출판사 제공]



 <함께 읽을 책>

[태평로] 망각과 싸우는 기억의 戰士들


회상기_나의 1950년 : 유종호 에세이 

유종호/ 현대문학/ 2016/ 358 p

814.6-ㅇ596ㅎ/ [정독]어문학족보실(새로들어온책)

 

서울, 해방공간의 풍물지_

열세 살 소녀가 월남해서 처음 만난 서울사람, 서울문화 이야기 

강인숙/ 박하 쌤앤파커스/ 2016/ 296 p

911.6-ㄱ257ㅅ/ [정독]인사자실(새로들어온책)

 

정치권력과 역사왜곡_

제주 4.3 사건진상조사보고서 비판 

현길언/ 태학사/ 2016/ 558 p

911.072-ㅎ529ㅈ/ [종로]인문사회과학실/ [양천]책누리실(2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