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이 회를 치면서 맵짠 울음을 뽑아
밤을 쫓고 어둠을 짓내몰아 동켠으로 훠언히 새벽이란
새로운 손님을 불러온다
<윤동주-별동떨어진데>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민속학자) |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닭과 계란 중 먼저인 것은? 암탉이 울면 망하는가? 닭은 기억력이 나쁜가? 닭갈비는 불필요한 것인가? 등등 참으로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이 있다.
닭과 계란의 선후에 관한 지루하고 해결되지 않는 논쟁에 빠지기 보다는 새벽이란 새로운 손님을 불러오는 닭 울음소리처럼 AI나 정치 사회적 문제들이 한순간에 밝음과 희망으로 바뀌기를 기원하자.
암탉이 울면 망하는 것이 아니고 계란을 낳았다는 기쁜 소식이다. 춘천 닭갈비가 유명한 것처럼 불필요한 존재가 아니다. 닭은 기억력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사람에게 조롱받을 만큼은 아니다.
미래를 예지하고 예고하는 서조(瑞鳥)
한반도에 언제 닭이 자생하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대부터 닭을 길렀던 것 같다. 문헌상에 삼한시대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훨씬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닭(민화,종이,125x54,국립민속박물관) |
닭이 본격적으로 한국문화의 상징적 존재로 나타나게 된 것은 ‘삼국유사’에서 혁거세와 김알지의 신라 건국신화에서이다.
알영이나 김알지 같은 나라 임금이나 왕후가 나타날 때 서조(瑞兆)를 미리 보여 주는 새로 닭이 표현이 되어 있다.
천마총을 발굴했을 때 단지 안에 수십 개의 계란이 들어 있었고, 여러 고분에서 닭뼈가 발견된다. 능 속에 계란과 닭 뼈가 들어 있었던 것은 저 세상에 가서 먹으라는 부장식량일 수고 있고, 알 속에서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듯이 재생·부활의 종교적인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다.
계명성(鷄鳴聲)의 시보(時報)
닭울음은 천지개벽을 다룬 제주도 무속신화 천황 본풀이 서두에서는 혼돈(chaos)에서 질서(cosmos)로의 이행이라는 우주적 차원의 질서를 예고한다.
김알지 신화에서는 나라를 통치할 인물이 탄생했음을 알리며, 흰닭은 빛의 상징으로 자연상태의 사회에서 국가적 체계를 갖춘 단계를 예고한다.
닭은 울음으로써 새벽을 알리는, 빛의 도래를 예고하는 존재이다. 예고내용이 빛이기 때문에 닭은 태양의 새이다. 닭울음은 다양한 상징을 내포하고 있다.
닭(민화,종이,목단,105x41,국립민속박물관) |
닭의 울음은 때를 알려주는 시보(時報)의 역할을 한다. 시계가 없던 시절 새벽시간은 닭의 울음소리로, 날씨가 흐린날이나 밤시간은 닭이 횃대에 오르는 모습을 보고 시간의 흐름을 파악했다.
유시(酉時)를 오후 5시에서 오후 7시로 배치한 것도 바로 닭이 횃대에 오르는 시간에 맞춘 것이라고 한다.
특히 흐린 날 오후 주부들의 저녁시간 가름은 닭의 이러한 행동을 보고 알았다. 수탉은 정확한 시각에 운다. 그래서 그 울음소리를 듣고 날이 새었는지를 알 수 있었고, 조상 제사를 지낼 때는 바로 이 닭울음소리를 기준으로 뫼를 짓고 제사를 지냈다.
닭은 태양이 뜨는 때를 아는 예조의 능력을 지니고 있다. 닭이 동틀 때와 해질 때를 미리 선언하고 행동한다.
여명(黎明)과 축귀(逐鬼)의 닭
닭은 울음으로써 새벽을 알리고, 빛의 도래를 예고하는 동물이다. 닭이 울면 새벽이 온다.
사람들은 닭울음소리와 함께 새벽이 오고 어둠이 끝나며, 밤을 지배하던 마귀나 유령도 물러간다고 생각했다.
닭의 태양 관련 상징성은 그 자체 속에 신성성을 함축하고 있다. 그리고 닭은 귀신을 쫓아내는 축귀(逐鬼)의 능력이 있다. 닭은 빛을 불러오면서 액을 물리치는 여명과 축귀의 상징이다.
닭그림은 세화(歲畵)로서 호랑이, 용, 개, 사자 그림과 같이 정초에 액을 없애고 복을 부르는 의도로 그려져 대문이나 출입구에 붙였다. 축귀와 벽사의 동물로 닭을 상정한 것이다.
입신출세와 부귀공명, 자손번창의 상징
조선시대에 학문과 벼슬에 뜻을 둔 선비은 서재에 닭그림을 걸었다.
닭은 입신출세와 부귀공명의 상징한다. 닭 볏은 관(冠)을 쓴 모습이다. 관은 학문적 정상과 벼슬을 하는 것과 같다.
특히 닭의 볏과 벼슬은 같은 발음이다. 닭과 함께 맨드라미, 모란을 함께 그린다. 닭의 볏과 맨드라미의 모습이 비슷하다. 이는 관 위에 관을 더하는 것으로 최고의 입신출세를 의미한다.
모란은 부귀를 상징하고, 수탉이 길게 우는 모습은 공명을 의미하다. 수탉, 즉 공계(公鷄)의 ‘公’과 ‘功’, 길게 운다는 ‘鳴’과 ‘名’의 음이 같은 데서 착안해 공명(功名)이 된다. 수탉이 모란과 만나면 부귀공명을 기원하는 의미가 된다.
봄날 갓 깨어난 병아리가 어미 닭의 보살핌을 받고 있는 그림이 있다. 이는 오복(五福)가운데 하나인 자식 복을 염원하는 것이다. 닭그림은 이처럼 입신출세와 부귀공명·자손번창을 기원하면서 선비의 서재에 걸었던 것이다.
한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는 서곡(序曲)
닭은 흔히 다섯 가지 덕을 지녔다고 흔히 칭송된다.
이는 옛 중국의 전요(田饒)라는 이가 노나라 임금 애공(哀公)에게 이야기하는 가운데 임금이 갖추어야 할 덕을 비유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즉 닭의 벼슬(冠)은 문(文)을, 발톱은 무(武)를 나타내며, 적을 앞에 두고 용감히 싸우는 것은 용(勇)이며, 먹이를 보고 꼭꼭거려 무리를 부르는 것은 인(仁), 때를 맞추어 울어서 새벽을 알림은 신(信)이라 했다.
닭은 보양자(保養子)하고 가족의 보호와 생활권을 위해서 용감하게 투쟁하고 시간의 흐름, 세상의 변화를 판단하는 서조(瑞鳥)이다.
캄캄한 어둠 속에서 여명(黎明)을 알리는 닭은 상서롭고 신통력을 지닌 서조(瑞鳥)로 여겨져 왔다. 밤에 횡행하던 귀신이나 요괴도 닭 울음소리가 들리면 일시에 지상에서 사라져 버린다고 민간에서는 믿고 있었다.
새벽을 알리는 우렁찬 닭의 울음소리! 그것은 한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는 서곡(序曲)으로 받아들여졌다.
'人文,社會科學 > 時事·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책자]가난한 마음 (0) | 2017.01.03 |
---|---|
[글로벌 아이] 스트롱맨 전성시대 (0) | 2016.12.31 |
목계지덕(木鷄之德)과 명의(名醫) 편작(扁鵲) (0) | 2016.12.29 |
[만파식적]'츤데레'현상 (0) | 2016.12.28 |
[벗드갈의 한국 블로그]한국에서 결혼이민자로 산다는 것 (0) | 2016.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