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준(69) 이장은 “태양광 시설 주변 온도가 올라간다는 소문이 돌면서 주민들이 복숭아 농사를 망칠까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입력 2017.08.08 15:10
지난 5일 경북 영천 삼매리. 입구부터 시작해 마을 곳곳엔 ‘태양광 결사반대’ 등의 현수막이 걸렸다. 마을 인근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이 들어선다는 소식에 주민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것이다.
정영준(69) 이장은 “태양광 시설 주변 온도가 올라간다는 소문이 돌면서 주민들이 복숭아 농사를 망칠까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매리에서 차로 20분 거리의 고도리 야산엔 이미 태양광 패널이 빽빽이 들어서 있다. 이 시설은 주민과의 오랜 마찰 끝에 지난 4월 가동을 시작했다.
주민 손광화(63)씨는 “1960~70년대에 우리 아버지 세대가 손수 심은 나무들이 다 베어졌다. 환경파괴가 이루 말로 다 못한다"고 말했다.
‘탈(脫)원전’을 선언한 정부가 원자력 발전의 대안으로 태양광ㆍ풍력 같은 신재생 에너지(이하 신재생)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하지만 난개발ㆍ자연파괴를 우려하는 지역 주민의 반발에 부딪혀 전국 곳곳의 관련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친환경이 탈원전을 막는 모양새이다.
7일 오전 전북 고창 구시포항 앞바다. ‘해상풍력단지 공사 중단’ 등의 깃발을 단 고깃배 100여 척이 바다를 메웠다. 이 일대는 풍력발전기 20기를 세우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어민들은 지난 5월 공사 시작 이후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빈손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고 주장한다.
박진구(43)씨는 “어민들의 터전인 바다를 망치지 말아달라”고 하소연했다.
이처럼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설과 설립과 관련 마찰을 빚고 공사장이 전국에 수십 곳이다. 주민들은 태양광은 탄소배출을 줄이는 나무를 없애고, 풍력발전의 소음ㆍ저주파로 고통을 겪는다고 호소한다. 신재생도 해당 주민들에겐 원전처럼 유해ㆍ혐오시설일 뿐이다. 과거 신규 원전 부지 선정, 송전탑 건설 등에서 발생한 대립ㆍ갈등이 친환경이라는 신재생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 셈이다.
이종영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런 갈등을 방치하면 2030년까지 에너지 사용의 20%를 신재생으로 충당하겠다는 정부의 목표는 달성할 수 없다”며 “갈등을 줄일 분쟁조정기구를 도입하고, 주민들이 사업에 참여하게 하는 역할을 줘야한다”고 조언했다.
지자체들도 반발 여론에 밀려 신재생이 들어서지 못하도록 장벽을 쌓아가고 있다. 자치법규정보시스템 등에 따르면 ‘거리 제한’ 등 신재생과 관련한 규제를 강화한 지자체는 78곳이다. 올해 관련 법규를 제ㆍ개정한 곳이 42곳으로 지난해(32곳) 보다 되레 늘었다. 신재생 확대를 위해 규제를 풀려는 정부와 ‘엇박자’를 내고 있는 셈이다.
정부에서도 갈등 기류가 보인다. 주관 부서인 산업부는 신재생 보급 확대를 위해 절대농지(농업진흥구역) 규제 완화를 검토 중이다. 그러나 농림부에서는 “기본적으로 절대농지 밖 농지를 우선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식량안보, 우량농지 보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탈원전 대 친환경’ 갈등이 신재생 정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에선 기술우위ㆍ경제성 등을 내세워 탈원전의 속도 조절을 주문하는 주장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짐이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신재생 정책은 이런 갈등 뿐 아니라 한국이 적합한 지리ㆍ환경을 갖췄는지, 경제성ㆍ사업성은 높은지 등을 폭넓게 따져야하는 고차 방정식”이라며 “현재 기술 수준이나 한국의 여건을 고려하면 신재생이 완벽한 대안이 될 수는 없다“라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손해용ㆍ이소아ㆍ김유경ㆍ문희철ㆍ윤정민 기자 sohn.yong@joongang.co.kr
정영준(69) 이장은 “태양광 시설 주변 온도가 올라간다는 소문이 돌면서 주민들이 복숭아 농사를 망칠까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매리에서 차로 20분 거리의 고도리 야산엔 이미 태양광 패널이 빽빽이 들어서 있다. 이 시설은 주민과의 오랜 마찰 끝에 지난 4월 가동을 시작했다.
주민 손광화(63)씨는 “1960~70년대에 우리 아버지 세대가 손수 심은 나무들이 다 베어졌다. 환경파괴가 이루 말로 다 못한다"고 말했다.
‘탈(脫)원전’을 선언한 정부가 원자력 발전의 대안으로 태양광ㆍ풍력 같은 신재생 에너지(이하 신재생)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하지만 난개발ㆍ자연파괴를 우려하는 지역 주민의 반발에 부딪혀 전국 곳곳의 관련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친환경이 탈원전을 막는 모양새이다.
7일 오전 전북 고창 구시포항 앞바다. ‘해상풍력단지 공사 중단’ 등의 깃발을 단 고깃배 100여 척이 바다를 메웠다. 이 일대는 풍력발전기 20기를 세우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어민들은 지난 5월 공사 시작 이후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빈손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고 주장한다.
박진구(43)씨는 “어민들의 터전인 바다를 망치지 말아달라”고 하소연했다.
이처럼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설과 설립과 관련 마찰을 빚고 공사장이 전국에 수십 곳이다. 주민들은 태양광은 탄소배출을 줄이는 나무를 없애고, 풍력발전의 소음ㆍ저주파로 고통을 겪는다고 호소한다. 신재생도 해당 주민들에겐 원전처럼 유해ㆍ혐오시설일 뿐이다. 과거 신규 원전 부지 선정, 송전탑 건설 등에서 발생한 대립ㆍ갈등이 친환경이라는 신재생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 셈이다.
이종영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런 갈등을 방치하면 2030년까지 에너지 사용의 20%를 신재생으로 충당하겠다는 정부의 목표는 달성할 수 없다”며 “갈등을 줄일 분쟁조정기구를 도입하고, 주민들이 사업에 참여하게 하는 역할을 줘야한다”고 조언했다.
지자체들도 반발 여론에 밀려 신재생이 들어서지 못하도록 장벽을 쌓아가고 있다. 자치법규정보시스템 등에 따르면 ‘거리 제한’ 등 신재생과 관련한 규제를 강화한 지자체는 78곳이다. 올해 관련 법규를 제ㆍ개정한 곳이 42곳으로 지난해(32곳) 보다 되레 늘었다. 신재생 확대를 위해 규제를 풀려는 정부와 ‘엇박자’를 내고 있는 셈이다.
정부에서도 갈등 기류가 보인다. 주관 부서인 산업부는 신재생 보급 확대를 위해 절대농지(농업진흥구역) 규제 완화를 검토 중이다. 그러나 농림부에서는 “기본적으로 절대농지 밖 농지를 우선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식량안보, 우량농지 보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탈원전 대 친환경’ 갈등이 신재생 정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에선 기술우위ㆍ경제성 등을 내세워 탈원전의 속도 조절을 주문하는 주장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짐이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신재생 정책은 이런 갈등 뿐 아니라 한국이 적합한 지리ㆍ환경을 갖췄는지, 경제성ㆍ사업성은 높은지 등을 폭넓게 따져야하는 고차 방정식”이라며 “현재 기술 수준이나 한국의 여건을 고려하면 신재생이 완벽한 대안이 될 수는 없다“라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손해용ㆍ이소아ㆍ김유경ㆍ문희철ㆍ윤정민 기자 sohn.yong@joongang.co.kr
'時事論壇 >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보균 대기자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 범세계적인 관점/시각)] 마오 “중국 오성홍기에 조선열사의 피가 스며있다” (0) | 2017.08.10 |
---|---|
北, 괌 향해 미사일 쏘는 순간.. 한반도 '일촉즉발' 위기로 (0) | 2017.08.10 |
[김진국 칼럼] 감동 없으면 새 정치 아니다 (0) | 2017.08.08 |
“북한과의 핵 전쟁 일어날 수 있다”…이를 피하려면? (0) | 2017.08.07 |
[메아리] 비핵화 둑 무너진 뒤의 안보 패러다임 (0) | 2017.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