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2023. 7. 11. 04:30
<25> 400년 만에 발견된 그림 속 화학성분 ‘포름산납’
편집자주 아무리 유명한 예술작품도 나에게 의미가 없다면 텅 빈 감상에 그칩니다. 한 장의 그림이 한 사람의 삶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맛있게 그림보기는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그림 이야기입니다. 미술교육자 송주영이 안내합니다. |
지난 1월 해외언론 문화 뉴스를 장식했던 짤막한 보도가 있었다. 17세기 네덜란드 거장 렘브란트의 ‘야경’(Night Watch) 복원 과정 중에 새로운 화학 물질이 발견됐다는 소식이다. 이번 이야기는 이 소식에 대한 나의 궁금증에서 시작한다.
미술사의 아픈 손가락, 렘브란트의 ‘야경’
‘빛의 화가, 자화상의 대가’로 통하는 렘브란트는 서양미술사의 대표 ‘셀럽’(유명인사)이다. 그가 남긴 많은 명화 중에서도 ‘야경’만큼 유명한 그림이 또 있을까 싶다. 사람으로 치자면, 태어나면서부터 산전수전에 공중전까지 겪으며 고단한 400년을 살아낸 신선과 같은 존재랄까. 높이 3.8미터, 너비 4.5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이 그림의 원래 이름은 ‘프란스 반닝 코크와 빌럼 반 루이텐부르크의 민병대’다.
태어날 때부터 욕먹고, 이후에 잘리고 뜯기고, 옮겨지고, 말려지고, 난도질 되고, 산이 뿌려지고…이처럼 고생한 작품이 또 있을까? ‘야경’에 대한 사람들의 애정이 남다를 수밖에 없다. 드디어 2019년, 암스테르담 미술관은 대대적인 복원 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400년 동안 ‘야경’은 많은 바니스 칠이 더해졌다. 다빈치의 ‘모나리자’도 5년마다 새로 칠해진다. 즉 우연의 복합으로 일어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이 있다. 유기물의 변화과정은 너무나 변수가 많다. 과학은 신중해야 한다. 하나의 근거로 확증적 답이라고 주장하면 안 되는 이유다.
https://v.daum.net/v/20230711043059509
렘브란트의 ‘야경’에서 배우는 미술복원 이야기 [송주영의 맛있게 그림보기]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488] 윈슬로 호머의 해변 풍경 (2) | 2023.07.18 |
---|---|
코르셋에 갇힌 황후[이은화의 미술시간]〈275〉 (2) | 2023.07.13 |
“관음男-노출女가 만났네요” 조롱…둘은 ‘환상의 짝꿍’이었다[이원율의 후암동 미술관-살바도르 달리 편] (2) | 2023.07.08 |
괴테, 그랜드 투어를 떠나다 [으른들의 미술사] (2) | 2023.07.06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486] 미국 독립선언문 집필 (2)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