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아트칼럼

렘브란트의 ‘야경’에서 배우는 미술복원 이야기 [송주영의 맛있게 그림보기]

바람아님 2023. 7. 11. 04:56

한국일보 2023. 7. 11. 04:30

<25> 400년 만에 발견된 그림 속 화학성분 ‘포름산납’

편집자주
아무리 유명한 예술작품도 나에게 의미가 없다면 텅 빈 감상에 그칩니다. 한 장의 그림이 한 사람의 삶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맛있게 그림보기는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그림 이야기입니다. 미술교육자 송주영이 안내합니다.

지난 1월 해외언론 문화 뉴스를 장식했던 짤막한 보도가 있었다. 17세기 네덜란드 거장 렘브란트의 ‘야경’(Night Watch) 복원 과정 중에 새로운 화학 물질이 발견됐다는 소식이다. 이번 이야기는 이 소식에 대한 나의 궁금증에서 시작한다.

미술사의 아픈 손가락, 렘브란트의 ‘야경’
‘빛의 화가, 자화상의 대가’로 통하는 렘브란트는 서양미술사의 대표 ‘셀럽’(유명인사)이다. 그가 남긴 많은 명화 중에서도 ‘야경’만큼 유명한 그림이 또 있을까 싶다. 사람으로 치자면, 태어나면서부터 산전수전에 공중전까지 겪으며 고단한 400년을 살아낸 신선과 같은 존재랄까. 높이 3.8미터, 너비 4.5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이 그림의 원래 이름은 ‘프란스 반닝 코크와 빌럼 반 루이텐부르크의 민병대’다.

태어날 때부터 욕먹고, 이후에 잘리고 뜯기고, 옮겨지고, 말려지고, 난도질 되고, 산이 뿌려지고…이처럼 고생한 작품이 또 있을까? ‘야경’에 대한 사람들의 애정이 남다를 수밖에 없다. 드디어 2019년, 암스테르담 미술관은 대대적인 복원 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400년 동안 ‘야경’은 많은 바니스 칠이 더해졌다. 다빈치의 ‘모나리자’도 5년마다 새로 칠해진다. 즉 우연의 복합으로 일어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이 있다. 유기물의 변화과정은 너무나 변수가 많다. 과학은 신중해야 한다. 하나의 근거로 확증적 답이라고 주장하면 안 되는 이유다. 

https://v.daum.net/v/20230711043059509
렘브란트의 ‘야경’에서 배우는 미술복원 이야기 [송주영의 맛있게 그림보기]

 

렘브란트의 ‘야경’에서 배우는 미술복원 이야기 [송주영의 맛있게 그림보기]

편집자주 아무리 유명한 예술작품도 나에게 의미가 없다면 텅 빈 감상에 그칩니다. 한 장의 그림이 한 사람의 삶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맛있게 그림보기는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그림 이야기입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