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만주(兪晩柱·1755~1788)의 글을 읽는데 이런 내용이 나온다.
"대기만성이란 말 한마디가 얼마나 많은 못난 선비들을 함정에 빠뜨려 죽였던고(大器晩成一語, 陷殺多少庸儒)."
이 말에 무릎을 치다 말고 씁쓸히 웃었다. 재능이 없고 노력도 않으면서 평생 입신출세의 허망한 꿈에 매달리는 인생들을
조소한 말이다.
하면 된다는 말이 사람 잡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한가지다. 해도 안 될 일에 헛된 희망을 심어주는 일은 어찌 보면 무책임하다.
그렇다고 너는 가망이 없으니 처음부터 포기하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소년이 묻는다.
소년이 묻는다.
"선생님 글을 쓸 때 자신의 견해를 어떻게 세워야 하나요?"
선생은 안경 너머로 소년을 올려다보며 말한다.
"음, 어려운 문제다. 내가 얘길 하나 들려줄까? 어떤 집에서 아들을 얻어 몹시 기뻤지. 한 달이 지나 덕담을 들으려고 손님을
청했단다.
한 사람이 말했어. '이 녀석 크면 큰 부자가 되겠는데요.' 부모는 기뻤지.
다른 사람이 말했다. '관상을 보니 높은 벼슬을 하게 생겼어요.' 더 흐뭇했지.
어떤 사람이 말했다. '이 아이는 나중에 틀림없이 죽겠군요.' 그는 술 한잔 못 얻어먹고 죽도록 매를 맞고 쫓겨났단다.
누구나 죽기 마련이니 그가 거짓말을 한 건 아니지.
누구나 죽기 마련이니 그가 거짓말을 한 건 아니지.
하지만 아무나 부자가 되고 벼슬을 하는 것은 아니니 그건 거짓말일 수도 있다.
거짓말한 사람은 보답을 받고, 사실대로 말한 사람은 죽도록 얻어맞은 셈이지.
" 소년이 대답했다. "선생님! 저는 거짓말도 하기 싫고 맞기도 싫어요. 그러면 어떻게 말해야 하지요?"
"이렇게 대답하면 된다. 와! 이 녀석은 정말! 허참! 이걸 좀 보세요! 어쩌면, 이야! 아이쿠! 햐! 허허!" 루쉰(魯迅)의 수필에 나오는 얘기다.
험한 세상에서 자기의 견해를 세우는 일은 거짓말하기 아니면 두드려 맞기다.
험한 세상에서 자기의 견해를 세우는 일은 거짓말하기 아니면 두드려 맞기다.
없는 말 하면 칭찬받고, 좋은 사람 소리를 듣는다.
입바른 말을 하면 노여움을 사서 내팽개쳐진다.
요즘 같은 인터넷 세상에서는 더구나 걷잡을 수가 없다.
아첨을 잘하면 누가 뭐래도 승승장구한다.
올곧은 말은 내침을 받는다.
입이 근질근질해도 끝까지 다 말하면 안 된다.
제 패를 함부로 내보이면 안 된다. 성공의 그날까지 꾹 누르고 억지로 참는다.
끝내 오지 않을 빛 볼 날을 기다리는 대기만성은 그래서 슬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