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科學과 未來,環境

국내 연구진, 양자컴퓨터 글로벌 선두 따라잡을 기술 개발

바람아님 2023. 10. 6. 05:30

조선일보 2023. 10. 6. 03:04

[사이언스 카페]
IBS, 세계 첫 전자스핀 큐비트 제작
세계 최고 권위 ‘사이언스’에 게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전자의 스핀(자전)을 이용한 큐비트(양자비트) 개발에 성공했다. 다른 나라 연구진들과 전혀 다른 설계로 양자컴퓨터의 기본 정보 단위인 큐비트를 만들어낸 것이다. 세계 각국이 초전도체(전기 저항이 없는 상태), 이온트랩(이온을 가둬놓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큐비트를 만들어 양자컴퓨터 개발에 도전하고 있는 가운데 국산 기술로 큐비트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IBM 등 글로벌 양자컴 선두 주자들을 따라잡을 수 있는 강력한 기술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장 연구팀이 원자의 전자 스핀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큐비트 개념을 제시하고, 시스템 구현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6일 게재된다.


https://v.daum.net/v/20231006030449654
국내 연구진, 양자컴퓨터 글로벌 선두 따라잡을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 양자컴퓨터 글로벌 선두 따라잡을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전자의 스핀(자전)을 이용한 큐비트(양자비트) 개발에 성공했다. 다른 나라 연구진들과 전혀 다른 설계로 양자컴퓨터의 기본 정보 단위인 큐비트를 만들어낸 것이다.

v.daum.net

 

양자 컴퓨터 새 가능성 열릴까… 국내 연구진 ‘전자스핀 큐비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2023. 10. 6. 03:01

IBS 연구팀, ‘사이언스’ 게재
고체 표면 위 원자 전자스핀 활용
1nm 이하의 양자집적회로 구현… 상호작용 조절 쉬워 안정성 향상
재료로 다양한 원자 사용할 수 있고, 여러 양자비트 한꺼번에 제어 가능

국내 연구진이 이끈 국제연구팀이 설계 방식을 바꾼 새로운 양자컴퓨터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물질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인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양자비트, 즉 큐비트를 사용하는 ‘양자비트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양자컴퓨터가 사용하는 정보 기본단위인 큐비트가 구현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이 환경에선 양자비트 간 정보 교환 시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쉽다. 이 때문에 양자컴퓨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이진법을 토대로 0과 1의 기본정보 단위를 각각 처리하는 기존 컴퓨터와 달리 양자컴퓨터는 0과 1의 상태를 동시에 갖는 큐비트를 정보 기본단위로 사용해 기존 컴퓨터보다 월등한 성능을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범용으로 쓰일 만큼 성능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한 양자비트 플랫폼은 나오지 않았다.


https://v.daum.net/v/20231006030116444
양자 컴퓨터 새 가능성 열릴까… 국내 연구진 ‘전자스핀 큐비트’ 개발

 

양자 컴퓨터 새 가능성 열릴까… 국내 연구진 ‘전자스핀 큐비트’ 개발

전자스핀 양자비트(큐비트) 플랫폼 개발에 참여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소속 연구자들이 전자스핀 양자비트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사용된 주사터널링현미경(STM)을 살펴보고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