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문화재연구소, '벌집형' 정촌 고분 발굴
금귀걸이·금장신구·마구·화살통 장식·돌베개 등 유물 쏟아져
현재까지 발견된 백제 금동신발 중에서는 가장 완벽한 형태를 자랑하는 유물이 전남 나주 복암리 고분군과 인접한 정촌 고분에서 발굴됐다.
나아가 흙으로 쌓은 봉분 하나에 시신을 묻는 시설 9곳을 설치한 이른바 '벌집형 고분'인 이 무덤에서는 금제 귀걸이와 금제 장신구, 마구(馬具), 화살통 장식, 화살촉, 옥, 석침(石枕·돌베개), 그리고 각종 토기류가 쏟아져 나왔다.
학술정비 차원에서 이곳을 발굴 중인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상준)는 지난해 확인한 돌방(石室)과 돌덧널(石槨), 옹관(瓮棺·독무덤) 등의 각종 매장주체시설 9곳 중에서 올해 돌방무덤 3기에 대한 내부 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런 성과를 얻었다고 23일 밝혔다.
이 중에서 금동 신발을 출토한 1호 돌방무덤은 규모가 최대 길이 485㎝, 너비 360㎝, 높이 310㎝로 현재까지 알려진 마한·백제권 초기 대형 돌방무덤 가운데는 가장 크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돌방 내부는 바닥에서 천장 쪽으로 올라갈수록 좁아 들게 축조하고, 출입구엔 돌로 문틀을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금동신발은 길이 32㎝, 높이 9㎝, 너비 9.5㎝로 발등 부분에는 용 모양 장식이 있고 발목 부분에는 금동판으로 된 덮개를 부착했다. 바닥에는 연꽃과 도깨비 문양을 투조(透彫·뚫어만듦)와 선각(線刻)으로 꾸며 화려하게 장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준 소장은 "그간 무령왕릉을 비롯해 고창 봉덕리, 공주 수촌리, 고흥 안동 고분 등지에서 백제 금동신발은 발견됐지만, 부분적으로 훼손되거나 일부 장식이 손상된 채 수습됐다"면서 "하지만 정촌 고분 금동 신발은 용 모양 장식과 발목 덮개, 연꽃과 도깨비 문양 등의 장식이 완벽한 상태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특히 신발 바닥 중앙에는 8개 꽃잎의 연꽃무늬를 삼중으로 배치하고 중앙에는 꽃술을 새겼다"면서 "도깨비 문양은 부릅뜬 눈과 크게 벌린 입, 형상화한 몸체 등이 연꽃 문양을 중심에 두고 앞뒤로 2개가 묘사됐다"고 덧붙였다.
신발 외에도 1호 돌방무덤에서는 마구와 고리칼, 금제 장신구 등이 함께 출토됐다.
연구소는 이들과 비슷한 유물이 남원 두락리와 월산리의 가야계 석곽 무덤을 비롯해 경주 황남대총 등지에서 확인된 바 있어, 무덤 주인공은 백제뿐만 아니라 가야, 신라와도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소는 앞으로 돌방무덤의 구조와 축조 방법 등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발굴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유물 수습을 완료하고, 다음 달 말에는 최종 발굴 성과를 발표함과 동시에 현장을 방문하는 국민을 대상으로 공개 설명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더불어 인근 지역 같은 벌집형 고분인 복암리 고분군과의 상호 연관성 등을 검토해 국가지정문화재 확대 지정 등 최적의 보존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生活文化 > 그때그일그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난 불교 문화재, 26년간 숨겼지만..결국 덜미 (0) | 2014.10.26 |
---|---|
잡식공룡 데이노케이루스 정체 반세기 만에 한국 과학자가 밝혔다 (0) | 2014.10.25 |
남극 눈 속에서 100년 전 수첩 발견 (0) | 2014.10.22 |
[오늘의 세상] 촘촘히 자개로 피운 모란꽃송이, 700년 光彩(광채)를 뿜다 (0) | 2014.10.21 |
창덕궁 앞 어도 복원, 본래 모습 되찾는다 (0) | 201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