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디자인·건축 455

‘가우디 성당’ 137년 만에 건축허가…“2026년 완공까지”

조선일보 2019.06.09 11:36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명물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이 공사가 시작된 지 137년만에 공식 건축 허가를 받게 됐다. AP는 8일(현지 시각) 바르셀로나 시청이 전날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건설업자들에게 2026년까지 유효한 건축 허가증을 발급했다며 "중심 탑을 올리기에 ..

마음껏 놀고 떠들라..조선시대 천재가 지은 학교 '병산서원'

동아일보 2019.05.14. 16:37 이중원의 건축 오디세이 <11> 병산서원 건축가들에게 “우리나라 최고 전통 건축은?” 하고 묻는다면 석굴암을 드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부석사를, 혹은 종묘를 드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최고 서원 건축은?” 하고 묻는다면 이구동성으..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217] 군더더기 없앤 영국 스카우트 로고

(조선일보 2019.04.29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디자인 이노베이션) 영국스카우트연맹의 새 로고(위), 아래는 옛 로고, 2018년. 스카우트는 국가, 인종, 계급, 종교를 초월하여 형제애로 뭉친 청소년 훈련 단체로서 나라별로 구성된다. 스카우트 운동은 1907년 영국 예비역 육군 중장 로버트 베..

[유현준의 도시이야기] 고밀화 도시 만드는 데 실패했다… 그래서 조선이 망했다

(조선일보 2019.04.25 유현준 홍익대 교수·건축가) 한국 도시화 비율 91%, 이미 완료… 신도시 만들면 他도시에서 이주 공기업 혁신도시 매우 기형적… 다양성 없으면 기형 될 수밖에 대도시 해체는 국가 경쟁력 와해… 지난 5000년 도시는 고밀화 진화… 기존 도시 '똑똑하게' 고밀화해야 유..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216] '한옥 마당'을 되살린 옥상 정원

(조선일보 2019.04.22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디자인 이노베이션) 전통 한옥에는 마당이라는 '빈 공간'이 있다. 하지만 화강암 가루인 마사토가 깔린 마당은 그냥 비워둔 게 아니다. 햇빛을 반사하여 집 안을 밝게 해주고, 한여름 무더울 때에는 물 한 동이를 뿌려주면 천연 에어컨 역할을 ..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215] 장례 문화를 바꾸는 '서비스 디자인'

(조선일보 2019.04.15 정경원 세종대 석좌교수·디자인 이노베이션) 동서양을 막론하고 장례 문화가 바뀌고 있다. 고령화와 일인(一人) 가정의 확산 등으로 조문객이 줄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성직자가 홀로 장례 의식을 치르기도 한다. 이런 변화의 중심에 '서비스 디자인'이 있다. 핀란..

[모바일 픽!] 못생겨서 주목..자유분방한 벨기에의 주택들

서울신문 2019.04.13. 18:16 대부분의 인스타그램 계정은 살면서 더 좋은 것을 보여주는 화려한 사진으로 가득하다. 하지만 벨기에의 인스타그램 사용자 한스 쿠데니스는 추한 것을 선호한다고 자신한다. 특히 쿠데니스가 사는 나라에 있는 주택들은 디자인이 너무 못생겨서 그의 흥미를 끌고..

김정운의 바우하우스 이야기 (7) “소수를 위한 예술은 안 된다”…민중 위한 예술 추구

[중앙선데이] 2019.03.30 00:21 “예술은 대다수의 삶에 도움돼야” 구체적 삶과 유리된 ‘살롱예술’ 비판 근대건축 효시 ‘국제주의 양식’ 설계 네모반듯한 건물, 삼일빌딩도 해당 ‘예술가=천재’ 예술 지상주의 거부 독일 낭만주의 넘어서는 새 이정표 ━ 김정운의 바우하우스 이야기 &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