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일보 2015.05.13 박두식 논설위원)
300년 넘게 정치 주물러 온 英 자유당 한순간에 무너져… 한국 야당도 불멸의 존재 아냐
국회선진화법 올라타고 앉아 계속 나라 후진시키면 몰락의 길 피하기 힘들 것
새정치민주연합은 다시 반등(反騰)할 수 있을까.
앞으로 어떤 선거에서든 의미 있는 승리를 거두고, 언젠가는 다시 집권할 수 있을 것인가.
보름여 전에 실시된 4곳의 국회의원 재·보선에서 새정치연합이 전패(全敗)하는 것을 본 뒤로
이 의문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솔직히 지난달 4·29 재·보선 전까지만 해도 우여곡절을 거치더라도
새정치연합이 우리 정치의 한 축을 담당하는 정당으로 재정립될 것이라고 믿었다.
이 정당이 꽤 오래전에 정상 궤도에서 일탈했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그렇게 생각했다.
지금은 '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는 현재의 야당은 지난 10년간 선거만 하면 졌고 거기에 맞춰서
툭하면 당 지도부를 갈아치웠다.
당 간판을 바꿔 달거나 장외(場外) 세력을 끌어들여 아예 새 당을 만든 일도 다반사였다.
이 당(黨)이 한국 정당사에 남긴 기이하고 희한한 기록은 셀 수 없을 정도다.
그런데도 이념·세대·지역적으로 새누리당과 한국 정치를 양분하고 있는 구도의 특성상 언젠가는 이 정당이 다시 정상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봤다.
그러나 이제는 점점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요즘 필자가 만난 몇몇 정치 전문가들이 그런 얘기를 먼저 꺼냈다. 그중에는 골수 야당 지지자도 있다.
물론 각자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새정치연합 이후의 대안(代案)은 제각각이다.
중요한 것은 이런 논의에서 새정치연합이 더 이상 중심에 놓여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새정치연합은 한국 정치에서 가장 오래된 정당이다.
10년의 집권 경험도 갖고 있다. 지역적으로 호남, 이념적으로 좌파, 세대별로 20~30대의 지지를 받아왔다.
이처럼 기반이 확실한 정당은 좀처럼 무너지지 않는다. 그러나 세계 정당사를 보면 꼭 그렇지도 않다.
대표적인 경우가 300년 넘게 영국 정치를 좌지우지해 온 자유당이라는 거대 정당의 몰락이다.
서울대 강원택 교수가 펴낸 '정당은 어떻게 몰락하나?'라는 책이 바로 이 주제를 다루고 있다.
자유당은 초창기 영국 의회에서 보수파 토리(Tory)에 맞서서 경쟁했던 휘그(Whig)의 적통(嫡統)을 이어받은 정당이다.
영국의 전성기였던 빅토리아 여왕 시절인 19세기 후반 글래드스턴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 정권이 네 번이나 집권했다.
자유당은 1906년과 1910년 총선에서도 연거푸 승리했다. 영국의 1차 대전 승리를 이끈 전시(戰時) 내각도
자유당의 로이드 조지 총리가 주축이었다.
자유당은 1906년 총선에서 400석을 얻어 157석의 보수당과 30석을 얻는 데 그친 신생 노동당을 압도했다.
그랬던 자유당이 1924년 총선에서 40석밖에 얻지 못하면서 제3당으로 밀려났다.
반면 보수당은 419석, 노동당은 151석을 차지했다.
그 뒤로 자유당은 다시는 정치 무대의 주역으로 올라서지 못했다.
얼마 전 끝난 영국 총선에서는 자유민주당이란 이름으로 650석 중 8석을 얻는 데 그쳤다.
집권당에서 불과 몇년 만에 군소 정당으로 추락한 자유당은 거대 정당 흥망사의 단골 소재다.
세계 정당사를 보면 영국 자유당과 비슷한 사례는 의외로 많다.
강원택 교수는 자유당 몰락의 원인으로 '내부 분열'과 '시대 변화에 대한 부적응'을 꼽았다.
내부 분열에 관한 한 새정치연합 역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목숨을 끊은 지 5년이 지났는데도 새정치연합에선 아직도 그의 이름에 친(親)하다,
그렇지 않다[非]는 말을 붙인 친노·비노로 나뉘어 다투고 있다.
여기에다 틈만 나면 '호남 정당론'이 고개를 든다.
100년 전 영국 자유당도 당보다 계파 이익을 더 중시했다고 한다.
일부는 보수당과 손을 잡으면 잡았지 내부 계파에 손을 내밀지 않았다.
새정치연합은 과연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당 지도부 회의에서까지 막말이 오가고,
기회만 나면 집단 삿대질에 비방이 난무하는 새정치연합의 사정은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을 것이다.
시대 부적응은 멸종을 앞둔 모든 조직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다.
영국 자유당은 참정권을 새로 얻고 조직화되기 시작한 노동자층의 등장을 간과했다.
새정치연합은 어떤가.
지난 10년간 국가의 미래가 걸린 주요 사안들에서 국민 다수가 공감할 만한 구상과 방안을 내놓지 못했다.
세상은 매순간 변하는데 새정치연합은 DJ(김대중)·노무현 말고는 내세울 게 없다.
최근 공무원연금 개혁과 '느닷없는' 국민연금 개편안 주장을 보면 이런 의구심이 더 강해질 수밖에 없다.
새정치연합은 지금 국회 난투극과 다수당 독주를 막기 위해 만든 국회선진화법에 올라타고 앉아서
이 나라를 후진(後進)시키는 존재처럼 행동하고 있다.
'한때 아무리 위대한 정당이었다 해도 그 정당이 대중의 신뢰와 기대감을 잃게 되면 정치적인 몰락은 불가피하다.'
영국 자유당 쇠망에 대한 강원택 교수의 결론이다. 요즘의 야당에 꼭 들려주고 싶은 얘기다.
============================================================================================
[300자 다이제스트] 정당은 어떻게 몰락하나? - 영국 자유당의 역사 外
(출처-동아일보 2013-12-28)
강원택 지음·269쪽·1만5000원·오름
'時事論壇 >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非盧를 과거정치로 보는 문재인의 인식 문제 있다 (0) | 2015.05.16 |
---|---|
[사설]'국회후진화법'과 '제왕적 야당'이 통과시킨 법안 달랑 3건 (0) | 2015.05.14 |
[서소문 포럼] 박근혜, 김대중의 친일에서 배워라 (0) | 2015.05.11 |
[김영희 칼럼] 악마와 춤을 (0) | 2015.05.08 |
[서소문 포럼] 표<票>퓰리즘의 종말 (0) | 201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