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부터 내진화 중요…가구배치·대피훈련 등 돈 안드는 대비도 많아"
일본 정부 기구인 지진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히라타 나오시(平田直) 도쿄대 교수는 한국도 규모 7 수준의 '내륙형 지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히라타 교수는 6일 도쿄 분쿄(文京)구 도쿄대 지진연구소에서 진행한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반도가 플레이트의 경계에 있지 않기에 동일본대지진(2011년 3월 11일·규모 9)급 지진은 없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규모 7 수준의 내륙형 지진은 과거에 일어났던 만큼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며 "대비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히라타 교수는 과거 규모 7 이상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한국 동부의 '양산(梁山) 단층'에서 일어났던 사실을 지적하며 올해 4월 16일의 구마모토(熊本) 지진(규모 7.3), 1891년 10월 28일의 노비지진(濃尾地震·일본 기후현서 발생·규모 8.0) 정도 규모로 내륙의 활성 단층에서 일어나는 지진은 한국에서도 있을 수 있다는 인식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5일 울산 근해에서 발생한 규모 5의 지진에 대해서는 특별히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성질의 지진은 아니라는 판단을 밝히며 "한국민들이 크게 놀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또 동일본대지진과 구마모토 지진 등 근년들어 일본에서 일어난 지진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에 대해 "최소한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히라타 교수는 "기본적으로 지진은 지진이 일어나기 쉬운 (지각) 상태였기에 일어난 것"이라며 "울산 근해 지진으로 지하의 에너지가 해소돼 다시 큰 지진이 일어나기 어렵게 됐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이런 지진이 또 일어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조심하는 편이 좋다"고 지적했다.
히라타는 한국의 지진 대비와 관련, 가장 중요한 것은 건물의 내진(耐震)화라면서 "개인 집은 개인 책임이지만 초·중등학교와 같은 공공시설부터 내진 설계를 하거나 내진 보강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불확실한 지진에 대비한 비용 투입이 공허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점에 대해 "같은 예산으로 집을 짓는다고 할때 내진화에 돈을 쓸 것인지, 인테리어에 돈을 쓸 것인지는 개인 철학의 문제"라고 밝혔다.
히라타는 그러면서 "돈이 드는 내진화말고도 대비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집이 무너지지 않아도 가구가 넘어지면 다치니 가구를 확실히 고정시키고 지진으로 집에 화재가 났을때 제대로 불을 끌 수 있도록 소화전의 위치 등을 점검하는 일, 피난 장소를 가족끼리 미리 정해놓거나 대피 훈련을 하는 일 등은 돈이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히라타 교수는 이어 "집 전체를 내진화하진 못하더라도 침실은 가구가 쓰러지지 않도록 배치를 새롭게 하고, 천장이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보강하는 일 등은 큰 돈을 들이지 않고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히라타는 또 "일본은 1995년 한신(阪神)대지진을 겪은 뒤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와 '지진조사위원회'를 정부 조직으로 만들어 역대 강진 발생 지역을 파악할 수 있는 지진 지도 등을 만들었다"며 한국 정부도 "과거 지진들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진 빈발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진 지도를 만들어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時事論壇 >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군사 主權 차원의 사드 배치' 中·러에 당당해야 (0) | 2016.07.10 |
---|---|
<사드배치 결정> 중·러 반발, 갈등고조..동북아 정세 '흔들'(종합) (0) | 2016.07.09 |
[강경희 칼럼] 못난이 삼총사가 되어버린 수재들 (0) | 2016.07.07 |
[김대중 칼럼] 2016 미국의 선택, 2017 한국의 선택 (0) | 2016.07.05 |
[데스크에서] 各自圖生의 시대 (0) | 2016.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