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환 도쿄총국장](http://t1.daumcdn.net/news/201608/27/joongang/20160827000410319ngdl.jpg)
그 이래 자민당의 아소 다로 총리, 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간 나오토·노다 요시히코 정권도 단명으로 끝났다. 민주당 집권 때는 참의원에서 거꾸로 자민·공명당이 다수파였다. 2006년 이래 아베 재등판까지 6명의 총리가 배출됐다. 1년에 한 명 꼴이다. 하토야마·간 내각의 각료 평균 임기는 8.7개월이었다. 단명 정권에는 참의원의 여소야대 구조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총리 지명은 중의원의 의결을 따른다). 정치의 기능 부전은 경기 대책을 비롯한 국정 전반에 주름살을 가져왔다. 후쿠다는 훗날 “대연정을 반대한 사람들은 도대체 무엇을 생각했던 것인가. 일본에 3~4년이 허송 세월이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의 재등장은 드라마틱한 반전이다. 2012년 재집권 이래 네 번의 선거에서 모두 승리했다. 자민당은 중·참의원에서 모두 단독 과반수가 됐다. 단임 정권의 불임 정치에 대한 민심의 대반동 때문이 아닐까 싶다. 아베에겐 당내 견제 세력도 없고, 권력도 총리실로 쏠리고 있다. 55년 자민당 창당 이래 없었던 현상이다. 급기야 아베의 임기 연장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임기 3년인 자민당 총재의 3선을 허용하는 당규 개정 작업이다.
그렇게 되면 아베는 2021년 9월까지 집권이 가능하다. 제왕적 총리의 장기 집권이 이뤄지는 셈이다. 중국 국가 지도자의 10년 임기에 손색이 없다. 한국(5년)과는 완전 역전이다. 중국은 의회가 거수기이고 일본은 내각과 중의원 권력이 일체화된 내각책임제다. 여기에 한국은 여소야대이고, 쟁점 법안의 국회 가결 정족수는 5분의 3이다. 국회는 군림하되 결정하지 못한다. 2000년대 중반의 일본 정치를 보는 듯하다. 세계가, 주변 정세가 그리 한가로운가. 내부가 똘똘 뭉쳐도 헤쳐가기 쉽지 않은 도전 요인이 가득하다. 뭔가 대타협이 필요하다. 연정이 안 되면 정책 연합을 통해서라도 생산할 수 있는 정치의 틀을 짜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우리는 격동의 시대에서 뒤처질지 모른다.
오영환 도쿄총국장
'時事論壇 >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북한은행 폐쇄..미얀마·독일 등 北외교관 추방 (0) | 2016.09.01 |
---|---|
"한국, 美·中 사이 명민(明敏·prudent)외교 펴야", "日서 실패한 무상시리즈 왜 베끼나" (0) | 2016.08.31 |
[朝鮮칼럼 The Column] 지금이 가장 치열한 대북 정책을 펼 때다 (0) | 2016.08.27 |
[동아광장/최강]이제는 중국을 넘어 미국을 봐야 할 때 (0) | 2016.08.21 |
[동아광장/조장옥]나라에 목표가 없다 (0) | 2016.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