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창-전수민] 數의 독재

바람아님 2016. 9. 3. 23:41
국민일보 2016.09.02. 18:14 

모든 것이 숫자화 돼 세상을 다스리는 현실, 數가 독재하면 잃을게 많다.. 그게 무섭다
뇌의 어느 한 구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 같다는 의심을 한 지 오래다. 두정엽(頭頂葉), 아마 여기 문제인가 보다. 정수리에서 뒤통수로 넘어가는 길목쯤에 있는 뇌의 이 부분이 맡은 역할 중 하나가 수학적 사고력이라고 한다. 나는 수학이 괴롭다. 요즘 말로 ‘수알못’(수학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학문 영역까지 갈 필요도 없다. 숫자가 싫다. 수(數)가 싫다. 이 감정은 자주 호오(好惡)의 경계를 넘어 공포로 내달린다. 고작 0부터 9까지 기호 열 개의 조합일 뿐인데, 제멋대로 뒤엉켜 있는 숫자들을 보면 가슴 한 구석이 묵직하고 번뜩 눈앞이 캄캄한 게 꽤 아찔하다.

피치 못하게 숫자를 접할 때면 정신을 똑바로 차리려고 애를 쓰지만 소용은 없는 편이다. 취재 과정에서 다뤄야 할 숫자가 세 자리를 넘어가면 꼭 몇 번은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 통계를 바탕으로 기사를 쓸 때는 여러 번 계산기를 두드리고 엑셀과 씨름한 뒤에도 마음이 편치 않다. 어처구니없는 실수로 귀결되는 일이 잦다. ‘숫자에 트라우마가 있다’고 기회 될 때마다 미리 앓는 소리를 해 둔다.


트라우마의 역사는 중학교 2학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출난 재능이 없으니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는데 수학과 좀처럼 맞지 않았다.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자)가 될 뻔했다. 그래도 대학에 가려고 버텼다. 막상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수학 답안지까지 살짝 밀려 썼다. 재수는 안 했다. 수학을 더 하는 걸 견딜 수 없었다. 그 뒤로 수와 최대한 멀어지고자 발버둥쳤다. 취업에 중요하다는 경제학이나 경영학은 한 과목도 듣지 않았다. 동생이 수학 문제를 알려달라고 하면 방문을 걸어 잠갔다. 시급이 아무리 높아도 수학과외보다는 콜센터 아르바이트가 편했다. 기자가 되기로 결심하고는 내심 안도했다. 언론사 입사 시험은 기업 입사 시험처럼 숫자들의 상관관계나 규칙 따위를 묻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른이 될수록 점점 더 수 앞에서 무기력한 나를 발견하게 된다. 나이, 키, 몸무게, 점수, 실적, 연봉, 재산 등 허다한 숫자들로 쉼 없이 평가를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인생이다. 수의 감옥을 벗어나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했다. 주민등록번호 열세 자리 숫자를 받아야만 비로소 합법적인 존재가 되는 주제에 무모한 반항을 했던 것이다.


수가 이 세상을 다스린다. 숫자 트라우마는 지배자에 대한 본능적인 두려움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수는 ‘셀 수 있는 사물을 세어서 나타낸 값’을 뜻한다. 계량의 편의에 최적화된 체계인 셈이다. 수를 둘러싼 약속의 틀은 예외 없이 닫혀 있다.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다. 정밀한 잣대라서 깔끔하고 효율적이다. 때로는 수의 지배가 합리적인 이유다.


문제는 헤아리기 힘든 가치들까지 수의 영토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왜곡이 일어나는 점이다. 1000만 영화, 수백명의 사상자를 낸 사고, 57.7조원이 배당된 예산, 50만부 팔린 소설, 5만원 혹은 10만원짜리 마음이 든 축의금 봉투. 인간의 존재가치까지 몇 개 수치로 버릇처럼 손쉽게 측정하고 표현한다. 그 중심에는 대개 ‘돈’이 있다. 오로지 수로 판단할 때 수량화되지 않는 모든 것은 낭비로 여겨지기 일쑤다. 이야기나 사정은 수의 그림자 뒤에서 위축을 거듭하다 제 빛을 잃는다. 수의 지배에 익숙해지면 셈은 빨라져도 감각이 무뎌지기 쉽다. 수의 세계는 냉정하다.


이번에도 숫자는 어김없이 위력을 떨쳤다. 10억엔, 약 108억원. 지난달 31일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화해·치유재단 계좌에 보낸 돈이다. 지난해 12월 28일 한·일 양국이 합의한 결과로 어김없이 입금됐다. 당사자가 소외된 합의였다. 이 돈의 대가는 지독하다. 위안부 문제는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해결된 것이 됐고, 국제사회에 호소할 통로까지 막혔다. 역사의 상징인 ‘소녀상’도 철거하란다. 위안부 피해자들이 평생을 기다려온 진심어린 사과는 끝내 받을 길이 없어졌다.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6명은 위로금을 받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


10억엔 뒤에는 어떤 셈법이 있을까. 꽃 같은 소녀들의 젊음, 상처받은 심신, 인간의 존엄,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를 무엇으로 측정해 값을 매기고 사칙연산을 했을까. 생존자는 1억원, 사망자는 2000만원이라는 결과는 무슨 공식으로 도출됐을까. 숫자가 지배하는 세계에도 함부로 넘어선 안 되는 ‘불가산’의 영역이 있다. 그 취약지대를 기억하고 경계해야 한다. 수의 ‘독재’로는 잃을 게 많다. 그게 무섭다.


전수민 사회부 기자 suminism@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